2025년 6월 21일 토요일

SK이터닉스 (475150): 정책의 순풍을 탄 종합 에너지 솔루션 프로바이더

 



SK이터닉스 (475150): 정책의 순풍을 탄 종합 에너지 솔루션 프로바이더


SK이터닉스 분석 및 투자 의견


초록 (Abstract)


I. 투자 요약 (Investment Summary)

  • Investment Thesis: 종합 에너지 플랫폼으로의 도약, 가치 재평가 초입 국면

  • Key Investment Points:

    1. 정책 모멘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명확한 수혜주

    2. 가시화된 성장: 대규모 파이프라인 기반의 중장기 실적 도약

    3. 신사업 가치: 미국 ESS 및 전력중개 사업의 잠재력

  • Valuation Summary

  • Key Risks Summary

II. 기업 분석: Green Energy Solution Provider로의 진화

  • 사업 부문별 심층 분석

    • 풍력 (Wind Power): '스케일'을 담당하는 핵심 성장 동력

    • 태양광 (Solar Power): '속도'와 안정적 현금흐름 창출

    • ESS (Energy Storage System): 글로벌 전력 트레이딩 사업의 전초기지

    • 연료전지 (Fuel Cell): 고수익 EPC 사업 및 분산전원의 핵심

  • 재무 분석 및 전망

    • Table 1: 연간 손익계산서 요약 및 전망 (2023A - 2026E)

    • Table 2: 재무상태표 요약 및 전망 (2023A - 2026E)

III. 산업 및 정책 환경 분석

  •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새로운 시대의 개막

  • 정치적 변수와 시장 기대감 분석

  • 글로벌 시장 및 원자재 동향

    • Table 3: 주요 원자재(후판) 가격 동향 및 전망

IV. 경쟁 구도 및 관련 기업 분석

  • 국내 신재생에너지 섹터별 대장주

  • Table 4: 주요 경쟁사 밸류에이션 비교 (2025년 예상 기준)

  • 벤치마크 심층 분석: 씨에스윈드 (112610)

V. 리스크 요인 점검

  • 프로젝트 리스크 (Project Risk)

  • 재무 리스크 (Financial Risk)

  • 정책 리스크 (Policy Risk)

  • 시장 리스크 (Market Risk)

VI. 투자 전략 및 결론

  • 단기(3개월) 투자 전략 및 모멘텀

  • 최종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 결론

참고 자료


초록 (Abstract)


본 보고서는 SK이터닉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26,000을 제시하며 분석을 개시한다. SK이터닉스는 단순 신재생에너지 개발사에서 전력중개, 에너지저장장치(ESS) 트레이딩 등을 아우르는 고부가가치 '그린에너지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전환하는 변곡점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체질 개선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구체화된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과 신안우이 해상풍력, 다수의 연료전지 프로젝트 등 가시화된 파이프라인에 힘입어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신안우이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실행 불확실성과 높은 부채비율은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존재하나, 정책적 순풍에 기반한 중장기 성장 잠재력은 이러한 우려를 상쇄하고도 남을 것으로 판단된다.


I. 투자 요약 (Investment Summary)



Investment Thesis: 종합 에너지 플랫폼으로의 도약, 가치 재평가 초입 국면


현재 시장은 SK이터닉스를 프로젝트 기반의 EPC(설계·조달·시공) 및 개발 수익에 의존하는 기업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이는 동사가 추진하는 전력중개(VPP, 가상발전소) 및 미국 ESS 트레이딩과 같은 플랫폼 사업의 장기적이고 높은 수익 잠재력을 간과한 것이다. 동사의 전략적 방향 전환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요구하는 국내 전력 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정확히 일치하며, 이는 변동성이 큰 프로젝트 기반 매출을 넘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담보하는 핵심 동력이다.1


Key Investment Points:


  1. 정책 모멘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명확한 수혜주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38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121.9 GW(태양광 77.2 GW, 풍력 40.7 GW)로 대폭 확대하고,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ESS 설비 확충, 실시간 시장 및 지역별 차등요금제 도입 등 전력망 고도화를 명시했다.3 이는 SK이터닉스가 영위하는 풍력, 태양광, ESS, 전력중개 등 모든 사업 부문에 걸쳐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수요 증가를 의미한다. 정부 주도의 이러한 정책 방향성은 산업의 장기 성장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크게 해소시켜주는 요인이다.

  2. 가시화된 성장: 대규모 파이프라인 기반의 중장기 실적 도약
    동사는 풍력 2.2 GW, 연료전지 0.4 GW, 태양광 0.5 GW, ESS 0.4 GW 등 약 3.0 GW 규모의 풍부한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다.5 특히 390 MW 규모의 신안우이 해상풍력, 75 MW 군위풍백 풍력, 그리고 칠곡, 약목, 파주 등에서 진행되는 다수의 연료전지 프로젝트는 2026년 이후의 매출과 이익 성장에 대한 명확한 가시성을 제공한다.6

  3. 신사업 가치: 미국 ESS 및 전력중개 사업의 잠재력
    미국 텍사스 ESS 사업은 단순한 신규 수익원을 넘어, 세계에서 가장 선진화된 전력 시장으로의 전략적 교두보 역할을 한다.1 전력 가격 변동성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텍사스 시장에서의 전력 트레이딩 경험은 향후 국내 전력 시장이 자유화될 때 막대한 경쟁 우위로 작용할 것이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실시간 시장 도입을 예고한 만큼, SK이터닉스는 국내 VPP(가상발전소) 시장에서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1


Valuation Summary:


목표주가 ₩26,000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실적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2026년 예상 주당순이익(EPS)을 기반으로 산출되었다. 이는 동사의 프로젝트 중심 사업 모델과 성장 사이클을 고려할 때 합리적인 평가 방식이다.9 현재 주가 대비 충분한 상승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Key Risks Summary:


주요 리스크로는 1) 핵심 프로젝트인 신안우이 해상풍력의 최종 투자 결정 및 착공 지연 가능성, 2) 분할 상장 과정에서 발생한 높은 부채비율에 따른 재무 부담, 3) 향후 정권 교체 등에 따른 에너지 정책의 변화 가능성 등이 있다.


II. 기업 분석: Green Energy Solution Provider로의 진화



사업 부문별 심층 분석



풍력 (Wind Power): '스케일'을 담당하는 핵심 성장 동력


SK이터닉스는 풍력 발전 사업의 개발, EPC, 장기 운영까지 전 밸류체인을 내재화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모델을 추구한다.1

  • 신안우이 해상풍력 (390 MW): 총 사업비 약 3조 원, EPC 규모만 2.5조 원에 달하는 동사의 플래그십 프로젝트다.10 현재 PF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까지 완료되었으나, 일부 주주 구성 변경 문제로 당초 계획보다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6 2025년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본격적인 매출은 2026년부터 인식될 전망이다.6 이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착공은 2026년 실적 급증을 견인할 가장 중요한 단일 촉매제다.

  • 군위풍백 (75 MW) & 의성황학산 (99 MW): 이들 육상풍력 프로젝트는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기 전까지 단기적인 실적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6


태양광 (Solar Power): '속도'와 안정적 현금흐름 창출


동사의 태양광 사업은 기존 EPC 중심에서 개발된 태양광 자산을 직접 매입하여 장기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는 모델로 전환 중이다.10 이는 20~30년간 안정적인 반복 매출을 창출하여 실적 변동성을 완화하고, 기업들의 RE100 수요 증가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이다.1

  • 솔라닉스 1, 2호 (Solanix I, II): 솔라닉스 1호(40 MW)의 PPA 계약을 성공적으로 체결했으며, 2호(40 MW) 역시 추진 중으로 사업 모델의 실행 가능성을 입증했다.10


ESS (Energy Storage System): 글로벌 전력 트레이딩 사업의 전초기지


국내 피크저감용 ESS 시장 점유율 1위 사업자로서 축적한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1

  • 글로벌 확장: 미국 텍사스에서 100 MW 규모의 ESS 프로젝트 상업운전을 개시하며 본격적인 전력 트레이딩 사업에 뛰어들었다.1 이는 전력이 저렴할 때 구매하여 저장했다가 비쌀 때 판매하여 차익을 얻는 순수 트레이딩 사업이다. 2029년까지 미국 내 사업 규모를 900 MW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

  • 이 사업은 단순히 외형을 확장하는 것을 넘어, 미래 한국 전력 시장에 대한 선행 학습의 장이라는 점에서 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예고한 실시간 전력시장과 가격 변동성 확대는 텍사스 시장의 축소판과 같다. 지금 미국에서 쌓는 트레이딩 역량은 향후 국내 VPP 시장이 개화했을 때 SK이터닉스를 독보적인 플레이어로 만들어 줄 것이다.


연료전지 (Fuel Cell): 고수익 EPC 사업 및 분산전원의 핵심


세계 최고 효율의 블룸에너지(Bloom Energy)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국내 독점 공급권을 기반으로 고수익 EPC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1 연료전지 사업은 프로젝트 완공 시점에 매출이 일시에 인식되는 구조로, 이익률이 상대적으로 높다.5 금양에코파크 보은(20 MW) 발전소를 비롯해 칠곡(20 MW), 약목(9 MW), 파주(31 MW) 등 꾸준한 파이프라인을 통해 안정적인 고수익원 역할을 하고 있다.1


재무 분석 및 전망


Table 1: 연간 손익계산서 요약 및 전망 (2023A - 2026E)


구분 (단위: 억원)

2023A

2024A

2025E

2026E

매출액

N/A

3,322

3,467

7,853

영업이익

N/A

376

441

785

당기순이익

N/A

224

231

470

영업이익률 (%)

N/A

11.3%

12.7%

10.0%

주: 2023년은 분할 전으로 비교 의미 없음. 2025E, 2026E는 증권사 컨센서스 및 리포트 기반 추정치. 9

Table 2: 재무상태표 요약 및 전망 (2023A - 2026E)


구분 (단위: 억원)

2023A

2024A

2025E

2026E

자산총계

N/A

7,317

8,656

N/A

부채총계

N/A

4,897

6,004

N/A

자본총계

N/A

2,420

2,651

N/A

부채비율 (%)

N/A

202.4%

226.5%

N/A

주: 2023년은 분할 전으로 비교 의미 없음. 2025E, 2026E는 증권사 컨센서스 기반 추정치. 5

동사의 실적은 프로젝트 진행률에 따라 분기별 변동성이 크지만 5, 태양광 PPA 및 ESS 운영 등 안정적인 매출원의 비중이 점차 확대되면서 변동성은 완화될 전망이다.10 가장 큰 재무적 우려는 2024년 말 기준 202%에 달하는 높은 부채비율이다.14 이는 향후 프로젝트 파이낸싱 시 금리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따라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을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안정적인 영업현금흐름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부채를 축소해 나가는 것이 중장기적인 기업가치 제고의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III. 산업 및 정책 환경 분석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새로운 시대의 개막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국내 에너지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 핵심 조항:

  • 공격적인 신재생 목표: 2038년까지 태양광과 풍력을 합쳐 117.9 GW를 보급하는 목표는 관련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예고한다.3

  • ESS의 핵심 역할: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제어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장주기 ESS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대규모 확충 계획을 포함했다.3 이는 국내 1위 ESS 사업자인 동사에게 직접적인 수혜로 이어진다.

  • 시장 자유화: 가장 중요한 구조적 변화는 실시간 시장과 지역별 차등요금제 도입 계획이다.8 이는 과거처럼 단순히 보조금을 받고 전기를 생산하는 사업 모델에서 벗어나, 전력망 상황에 맞춰 에너지를 지능적으로 관리하고 거래하는 능력이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되는 시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SK이터닉스가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전환하려는 전략과 정확히 부합한다. 예를 들어, 전남 지역의 풍부한 태양광을 ESS에 저장했다가 전력 수요가 집중되는 수도권 데이터센터에 피크 시간대에 판매하는 VPP 사업 모델이 가능해지며, 여기서 막대한 부가가치가 창출될 수 있다.


정치적 변수와 시장 기대감 분석


  • 이재명 대표의 에너지 정책: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을 통한 전국 단위 스마트그리드 건설, '햇빛·바람 연금' 등 재생에너지 확대에 매우 우호적인 정책 기조를 꾸준히 밝혀왔다.19 이러한 발언들은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주가에 긍정적인 모멘텀으로 작용해왔다.11 특정 '지원금'의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없으나, 정책의 큰 방향성은 명확하다.

  • 선반영 분석: 현재 주가는 이재명 대표의 정책 방향성에 대한 '기대감'은 일부 반영하고 있으나, 정책이 실질적으로 구현되었을 때의 '가치'는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정치적 헤드라인에 따라 주가가 단기적으로 변동하는 것은 기대감이 일부 선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11 하지만 에너지고속도로와 같은 거대 인프라 구축과 전력시장 자유화는 수년에 걸쳐 진행될 장기 과제다. VPP 생태계에서 창출될 실질적인 이익은 향후 5~10년에 걸쳐 구체화될 것이므로, 장기 투자자에게는 현재의 주가 수준이 매력적인 진입 기회가 될 수 있다.


글로벌 시장 및 원자재 동향


글로벌 풍력 및 ESS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어 우호적인 거시 환경을 제공한다.23

Table 3: 주요 원자재(후판) 가격 동향 및 전망


구분 (단위: 원/톤)

2023년 하반기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2025년 2분기

국내 후판 유통가

70만 원대 후반

80만 원대 초반

80만 원대 초반

80만 원 내외

중국산 수입가 (관세 부과 전)

70만 원대 중반

70만 원대 중반

N/A

N/A

중국산 수입가 (관세 부과 후)

N/A

N/A

90만 원대 이상

90만 원대 이상

주: 언론보도 및 증권사 리포트 기반 추정치. 26

풍력 타워 원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후판 가격은 최근 정부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조치로 안정화되는 추세다.28 이로 인해 국내 철강사들이 가격 협상력을 확보하며 후판 가격이 소폭 상승했으나, 이는 원자재 수급 안정성을 높여 프로젝트의 원가 변동성 리스크를 줄이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IV. 경쟁 구도 및 관련 기업 분석



국내 신재생에너지 섹터별 대장주


  • 태양광: 한화솔루션(009830) - 폴리실리콘부터 모듈, 발전 사업까지 수직계열화를 완성한 대표 기업.30

  • 풍력: 씨에스윈드(112610) - 풍력 타워 '제조' 부문 글로벌 1위 기업. SK이터닉스는 '개발 및 운영' 사업자라는 점에서 사업 모델이 다르다.32

  • 연료전지: 두산퓨얼셀(336260) - 발전용 연료전지 기술을 선도하는 국내 1위 기업.33

  • ESS: SK이터닉스 자신을 포함하여, 배터리 제조사인 삼성SDI(006400), LG에너지솔루션(373220) 등이 주요 플레이어다.35


Table 4: 주요 경쟁사 밸류에이션 비교 (2025년 예상 기준)



기업명

시가총액 (억원)

매출액 성장률 (%)

PER (배)

PBR (배)

SK이터닉스

7,455

4.4%

31.0

2.7

씨에스윈드

17,269

75.2%

13.4

2.2

한화솔루션

55,263

N/A

48.3

0.6

두산퓨얼셀

N/A

N/A

N/A

N/A

주: 2025년 6월 20일 종가 및 FnGuide 컨센서스 기준. 일부 데이터는 가용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12


벤치마크 심층 분석: 씨에스윈드 (112610)


  • 사업 모델: 씨에스윈드는 풍력 터빈 타워와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을 '제조'하여 글로벌 터빈사 및 개발사에 '판매'하는 순수 제조업체다.39 동사의 실적은 글로벌 풍력 발전 투자 사이클과 후판 등 원자재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26

  • 경쟁력: 미국, 유럽, 베트남 등 핵심 수요처 인근에 생산 거점을 확보하여 물류비와 관세 장벽을 극복한 것이 핵심 경쟁력이다.41

  • SK이터닉스와의 차이점: 씨에스윈드가 '제품(타워)'을 판매하는 반면, SK이터닉스는 '에너지 생산 자산/플랫폼'을 개발, 소유, 운영한다. 따라서 씨에스윈드의 수익성은 철강 가격에 민감하고, SK이터닉스의 수익성은 전력 가격 및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금리에 더 민감하다. 이 비교는 SK이터닉스의 독특한 사업 포지션과 리스크 프로파일을 명확히 보여준다.


V. 리스크 요인 점검


  • 프로젝트 리스크 (Project Risk):

  • 신안우이 지연: 2026년 실적 전망의 핵심인 신안우이 프로젝트가 주주 구성 변경이나 2.5조 원 규모의 PF 조달 문제로 인해 추가적으로 지연될 경우, 예상 매출과 이익 인식이 미뤄지면서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6

  • 재무 리스크 (Financial Risk):

  • 높은 부채비율: 200%를 상회하는 부채비율은 금리 상승기에 금융 비용 부담을 가중시켜 수익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5 프로젝트로부터의 안정적인 현금흐름 창출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한 과제다.

  • 정책 리스크 (Policy Risk):

  • 현재의 우호적인 정책 환경과 달리, 미래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하향 조정하거나 관련 지원 제도를 축소할 경우, 산업 전반의 장기 성장성이 훼손될 수 있다.

  • 시장 리스크 (Market Risk):

  • 원자재 가격 변동: 후판, 구리 등 핵심 원자재 가격이 급등할 경우, EPC 사업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44

  • 경쟁 심화: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에 따라 다수의 신규 사업자가 진입할 경우, 개발 및 운영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어 수익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VI. 투자 전략 및 결론



단기(3개월) 투자 전략 및 모멘텀


향후 3개월 내 수익 실현 가능성은 아래와 같은 주요 촉매제(Catalyst)의 현실화 여부에 달려있다.

  1.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 (예정일: 2025년 8월 12일): 시장은 1분기 대비 대폭 개선된 실적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솔라닉스 2호 관련 개발 수익이 인식될 경우,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이 주가 상승을 견인할 수 있다.16

  2. 신안우이 프로젝트 진전 관련 뉴스: 지연 요인이었던 주주사 구성이 완료되고 금융 조달(PF)이 마무리되었다는 소식은 프로젝트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가장 강력한 주가 상승 모멘텀이 될 것이다.

  3. 신규 PPA 계약 공시: 추가적인 대규모 PPA 계약 체결은 태양광 사업 모델의 안정성과 성장성을 재확인시켜주는 긍정적 신호로 작용할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상기 모멘텀에 기반한 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나, 프로젝트 지연 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단기 상승폭은 제한될 수 있다.


최종 투자 의견 및 목표주가


  • 투자의견: 매수 (BUY)

  • 목표주가: ₩26,000

목표주가는 동사의 대규모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이 온전히 실적에 반영되기 시작하는 2026년 예상 EPSTarget PER 15.6배를 적용하여 산출했다.9 대규모 성장 투자 사이클에 있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미래 실적을 기준으로 삼는 것은 합리적인 접근법이다. Target PER 배수는 국내외 동종 기업들의 성장률과 밸류에이션 수준을 비교하여 결정했다.


결론


SK이터닉스는 단순 신재생에너지 기업을 넘어, 미래 에너지 시장에 최적화된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라는 강력하고 장기적인 정책적 순풍은 동사의 성장에 대한 명확한 활주로를 제공한다. 풍력, 태양광, ESS, 연료전지를 아우르는 다각화된 포트폴리오와 전력중개, 미국 ESS 트레이딩 등 고수익 플랫폼 사업으로의 전략적 전환은 현재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막대한 상승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프로젝트 실행과 재무적 리스크가 상존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단기 변동성을 감내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는 매력적인 보상이 기대된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6,000으로 분석을 개시한다.

참고 자료

  1. SK이터닉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keternix.com/

  2. SK이터닉스, RE100 수요기업에 40MW 태양광 전력 공급 - 에너지경제신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ekn.kr/view.php?key=20241119020333528

  3.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11차 전기본)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leehtyng/223790155803?recommendCode=2&recommendTrackingCode=2

  4.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최종안 확정! 실무안과 달라진 내용은? - 에너지 소식,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haezoom.com/notice_03/

  5. SK이터닉스(475150) - 삼성증권,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amsungpop.com/common.do?cmd=down&contentType=application/pdf&inlineYn=Y&saveKey=research.pdf&fileName=2010/2024051707262582K_02_02.pdf

  6. SK이터닉스 (475150),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stock.pstatic.net/stock-research/company/39/20241106_company_986217000.pdf

  7. 쑥쑥 크는 연료전지·ESS로 재생에너지 변동성 극복…'RE100 해결사' 자신 - 매거진한경,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406274959b

  8. 제1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주요 내용 -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esis.keei.re.kr/board.es?mid=a10306000000&bid=0060&list_no=2125&act=view

  9. [리포트 브리핑]SK이터닉스, '속도는 태양광, 스케일은 풍력' 목표가 ...,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526000535

  10. SK이터닉스475150,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stock.pstatic.net/stock-research/company/66/20250526_company_444026000.pdf

  11. SK이터닉스, 강력한 기술적 신호와 정책적 호재! 투자 시 체크해야 할 포인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ockfactory/kstockfactory/contents/250519142151264yy

  12. SK이터닉스(A47515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 에프앤가이드 상장기업분석,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gicode=A475150

  13. SK이터닉스 - 기업현황 - 기업모니터,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mp.wisereport.co.kr/company/c1010001.aspx?cmp_cd=475150

  14. 2025.03 - SK이터닉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keternix.com/upload/ir/cbc0026f15fc4733b29b447072286958.pdf

  15. 1월 1, 1970에 액세스,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475150&cID=&MenuYn=Y&ReportGB=&NewMenuID=101&stkGb=701

  16. SK이터닉스(47515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씽크풀,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thinkpool.com/compDiscuss/cont/1018411

  17. SK이터닉스 (475150),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stock.pstatic.net/stock-research/company/39/20250228_company_634776000.pdf

  18.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 법무법인 세종,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hinkim.com/kor/media/newsletter/2761

  19. 대선 2025, 에너지정책 공약은? '재생에너지' vs '원전 확대' 격돌,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611

  20. [조간브리핑] 원전은 유지, 재생에너지는 확대···이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 - 헬로디디,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128

  21. [살까팔까] 이재명 정부 출범 첫날 재생에너지·이차전지株 일제 비상 | 연합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04046751008

  22. SK이터닉스: 하락세 속 청정에너지 시장 전망 분석 - Goover,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5/go-public-report-ko-e74e049a-07c5-4f45-923f-4a730b2d7958-0-0.html

  23. 글로벌 풍력 시장 규모 및 점유율 분석 – 산업 연구 보고서 – 성장 동향 - Mordor Intelligence,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mordorintelligence.kr/industry-reports/global-wind-power-market

  24. 풍력 터빈 시장 규모, 2025-2034년 성장 기회 - Global Market Insights,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gminsights.com/ko/industry-analysis/wind-turbine-market

  25. 해외 풍력 에너지 시장 규모, 공유 | 2025 ~ 2033 - Business Research Insights,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researchinsights.com/ko/market-reports/offshore-wind-energy-market-106485

  26. [씨에스윈드] 분기보고서(일반법인) - KRX KIND,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InitInfo&acptNo=20240516002283&docno=

  27. [종합] 2025년 새해, 철강업계 전반 '인상 추진'…외부 변수에 '불안정' - 페로타임즈,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ferro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8829

  28. '반덤핑 관세' 영향에 국산 후판가격 인상 가닥…철강업계 반등 모멘텀 되나 - 녹색경제신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26228

  29. "중국산 못들어온다" 철강업계 웃는데…K조선 한숨 쉰 까닭 [분석+] - 한국경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78428i

  30. 태양광 테마주 관련주 35종목 정리 - 주달,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judal.co.kr/?view=stockList&themeIdx=121

  31. 주식시장서 가장 뜨겁다는 신재생에너지…어디에 투자할까 | 한국경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209124066i

  32. [2025년 최신] 그린뉴딜 관련주 & 테마주 36종목 총정리 - 알파스퀘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alphasquare.co.kr/home/theme-factor?theme-id=214

  33. 요즘 핫한 신재생 에너지 관련주 총정리!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h3h2003/223634026380?viewType=pc

  34. 신재생 에너지 관련주 전망 : : 수소 태양광 주식 등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1004goods/223902535829?fromRss=true&trackingCode=rss

  35. [2025년 최신] ESS 관련주 & 테마주 28종목 총정리 - 알파스퀘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alphasquare.co.kr/home/theme-factor?theme-id=330

  36. 씨에스윈드 - 금감원공시(전체) - 기업모니터,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mp.wisereport.co.kr/company/dart.aspx?cmp_cd=112610&cn=

  37. 씨에스윈드 주가 전망 목표주가 2025년 주식 시장 전망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alstjrsh15/223722730408

  38. 씨에스윈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ssl.pstatic.net/imgstock/upload/research/company/1708384416214.pdf

  39. [씨에스윈드] [정정]사업보고서(일반법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325000981&rcpno=20250325000771&orgid=F&tran=Y&langTpCd=0

  40. [기업분석] 씨에스윈드 - ② 정량적 & 정성적 분석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mjeong1992/222795563161?viewType=pc

  41. 씨에스윈드 | 미래에셋증권,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15601.pdf?attachmentId=2115601

  42. [씨에스윈드] 사업보고서(일반법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10322001547&rcpno=20210322001106&orgid=F&tran=Y&langTpCd=0

  43. SK이터닉스, 신재생 에너지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과 리스크 분석 - Goover,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4/go-public-report-ko-d13e2b5b-3cd1-4e9b-898d-60a825350b9b-0-0.html

  44. 글로벌 친환경 해상풍력 주목 ··· 韓 후판 관심 집중 - 철강금속신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www.sn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18539

  45. 국내 풍력현황 정리(토마토 증권통)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341895364

  46. SK이터닉스 실적 - Investing.com - 인베스팅닷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equities/sk-eternix-earnings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5년 6월 27일 주식시장 분석 - 외국인 매도세 속 숨은 기회와 위기 요인 심층 분석

  25년 6월 27일 주식시장 분석 - 외국인 매도세 속 숨은 기회와 위기 요인 심층 분석 2025년 6월 27일 주식시장 분석 목차 초록 (Abstract) I. 2025년 6월 27일 시장 종합 분석 (Market Overview: June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