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로봇 섹터 심층 분석: K-로봇 경제의 서막, 기회와 리스크
지능형 로봇 섹터 심층 분석: K-로봇 경제의 서막, 기회와 리스크
섹션 1: Executive Summary & Investment Highlights
핵심 투자 논지
투자 추천 및 근거
Top Pick (대장주) - 레인보우로보틱스 (Rainbow Robotics, 277810.KQ) - 매수(BUY)
주요 경쟁사 - 두산로보틱스 (Doosan Robotics, 454910.KS) - 중립(HOLD)
핵심 부품주 - 에스피지 (SPG, 058610.KQ) - 매수(BUY)
시장 과열 여부 평가
섹션 2: 글로벌 로봇 르네상스: 새로운 자동화 시대의 개막
2.1. 글로벌 시장 규모 및 성장 전망: 폭발적 성장에 대한 컨센서스
2.2. 핵심 성장 동력의 전환: 산업용 로봇에서 지능형 서비스로
서비스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용 로봇
2.3. 지정학적 구도: 미국의 혁신 vs. 중국의 규모
섹션 3: K-로봇 경제: 정책이 견인하는 구조적 성장
3.1. 국내 시장 현황: 추격자에서 선도자로의 전환
3.2. 정책 심층 분석: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024~2028)'
정량적 목표 (2030년까지)
투자 규모
주요 추진 과제
3.3. '이재명 변수': 초당적 지지로 강화된 성장 동력
산업 육성 기조 일치
'로봇세' 논쟁의 실체
섹션 4: 대한민국 로봇 유니버스: 플레이어, 대기업, 그리고 가치사슬
4.1. 섹터 세분화: 다층적 생태계 지도
표 1: 대한민국 상장 로봇 섹터 핵심 기업 분류
4.2. 대기업 효과: 생태계 성장의 가속 페달
삼성 → 레인보우로보틱스
LG → 로보티즈, 로보스타
HD현대 → HD현대로보틱스
한화 → 한화로보틱스
섹션 5: 투자 분석: 밸류에이션, 핵심 종목, 그리고 전략적 제언
5.1. 밸류에이션 프레임워크: 이익 실현 이전 시대의 가치 평가
주가매출비율 (Price-to-Sales Ratio, PSR)
꿈의 가치 (Price-to-Dream, TAM 기반 평가)
사업부문별 가치합산 (Sum-of-the-Parts, SOTP)
5.2. 시장 과열 평가: 거품보다는 열기
5.3. 핵심 기업 심층 분석
5.3.1. 레인보우로보틱스 (Rainbow Robotics, 277810.KQ) - Top Pick (매수)
5.3.2. 두산로보틱스 (Doosan Robotics, 454910.KS) - 주요 경쟁사 (중립)
5.4. 글로벌 동종업계 밸류에이션 비교
표 2: 글로벌 주요 로봇 기업 밸류에이션 비교 (2025년 추정치 기준)
섹션 6: 2028년 전망: 미래를 향한 청사진
6.1. 2028년 시장 및 기업 전망
국내 시장 규모 전망
표 3: 2028년 주요 기업 목표주가 및 매출 전망
6.2. 장기 촉매제와 리스크 (2028년 이후)
장기 촉매제
장기 리스크
결론
참고 자료
섹션 1: Executive Summary & Investment Highlights
핵심 투자 논지
대한민국 로봇 산업은 정부 정책, 대기업의 전략적 필요성(삼성, LG, 두산 등), 그리고 자동화와 인공지능(AI)이라는 글로벌 메가트렌드가 절묘하게 맞물리며 구조적 성장 변곡점에 진입했다. 장기적 성장은 거의 확실시되나, 현재 시장 가치(Valuation)는 상당한 낙관론을 반영하고 있어 높은 변동성(Beta)을 동반하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과 수익(Alpha) 창출의 핵심은 높은 잠재력을 지닌 플랫폼 선도 기업과, 상대적으로 변동성은 낮지만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부품 공급 기업을 구분하여 투자하는 전략에 있다고 판단한다.
투자 추천 및 근거
Top Pick (대장주) - 레인보우로보틱스 (Rainbow Robotics, 277810.KQ) - 매수(BUY): 대한민국 휴머노이드 및 AI 로봇 분야의 미래에 투자하는 가장 확실한 선택지이다. 삼성전자의 전략적 인수는 1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재정적 지원, 기술 테스트 및 상용화를 위한 안정적인 내부 시장(Captive Market), 그리고 삼성의 AI 및 소프트웨어 역량과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세계적 수준의 하드웨어 및 부품 기술 간의 심층적 통합을 보장한다.4 이러한 시너지는 상용화 경로의 불확실성을 크게 낮추며, 현재의 높은 밸류에이션을 정당화하는 핵심 요인이다.
주요 경쟁사 - 두산로보틱스 (Doosan Robotics, 454910.KS) - 중립(HOLD): 강력한 브랜드와 광범위한 글로벌 판매망을 갖춘 협동로봇(Co-bot) 시장의 글로벌 리더이다.7 그러나 글로벌 제조업의 주기적 둔화와 중국 경쟁사들의 거센 가격 공세라는 단기적 역풍에 직면해 있다.10 주가 재평가(Re-rating)의 관건은 하드웨어 중심의 사업 모델에서 고수익의 AI 기반 통합 솔루션 제공자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 데 있으나, 이 전환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12
핵심 부품주 - 에스피지 (SPG, 058610.KQ) - 매수(BUY): 거의 모든 로봇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부품인 정밀 감속기(Reducer) 분야의 선도 제조업체이다.15 정부가 2030년까지 핵심 부품 국산화율을 80%로 상향하겠다는 목표를 세움에 따라 16, 에스피지는 정책의 직접적인 수혜주로 부상했다. 치열한 플랫폼 경쟁에서 한발 비켜서 있으면서도, 로봇 섹터 전체의 생산량(Unit Volume) 증가에 따른 수혜를 온전히 누릴 수 있는, 변동성이 낮으면서도 높은 레버리지를 가진 매력적인 투자 대안이다.
시장 과열 여부 평가
현재 로봇 섹터는 '뜨거운' 상태이지만, 근거 없는 비이성적 버블은 아니다. 높은 밸류에이션은 정부의 구체적이고 다년간에 걸친 지원 계획 16과 주요 대기업들의 명확한 투자 계획 1이라는 실질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주된 리스크는 산업의 붕괴가 아니라, 단기 실적이 시장의 높은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조정 또는 기간 조정의 가능성이다.
섹션 2: 글로벌 로봇 르네상스: 새로운 자동화 시대의 개막
2.1. 글로벌 시장 규모 및 성장 전망: 폭발적 성장에 대한 컨센서스
지능형 로봇 시장은 전례 없는 확장 국면에 진입하고 있다. 다수의 시장 조사 기관들은 향후 수년간 강력한 성장을 예측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 발전과 산업 수요가 맞물린 필연적인 결과로 분석된다. 글로벌 'AI 탑재 로봇(AI in Robotics)' 시장은 2023년 약 139억 달러에서 2028년 50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며, 연평균 성장률(CAGR) 약 29.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18 다른 보고서들 역시 이러한 고성장 추세를 뒷받침한다. '스마트 로봇' 시장은 연평균 21.5% 20, '생성형 AI 탑재 로봇' 시장은 39.2% 21, 그리고 가장 잠재력이 큰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연평균 39.2%라는 경이로운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20
이러한 예측치의 차이는 'AI 탑재 로봇', '서비스 로봇', '생성형 AI 로봇' 등 시장을 정의하는 범위의 차이에서 비롯된다.1 그러나 모든 보고서가 공통적으로 가리키는 방향은 명확하다. 다양한 예측을 종합 분석한 결과, 지능형 로봇의 전체 유효 시장(Total Addressable Market, TAM)은 2028년까지 약 500억~60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2. 핵심 성장 동력의 전환: 산업용 로봇에서 지능형 서비스로
성장의 무게중심은 전통적인 형태의 산업용 로봇에서 서비스 로봇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2025년 이후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가 제조 로봇 시장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은 이제 업계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24 이는 노동력 부족, 인건비 상승, 그리고 비제조업 분야의 효율성 향상 요구가 맞물린 결과이다.
서비스 로봇: 물류, 의료, F&B, 개인 비서 등 다양한 분야의 수요에 힘입어 연평균 약 15.9%의 견조한 성장이 예상되며 20, 특히 AI가 결합된 서비스 로봇 분야는 연 30%를 상회하는 폭발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18 이는 구조화되지 않은 복잡한 환경에서 인간과 상호작용해야 하는 서비스 로봇의 특성상 AI 기술의 중요성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휴머노이드 로봇: 아직 시장 형성 초기 단계이지만, 가장 파괴적인 잠재력을 지닌 분야다. 테슬라,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의 주도 하에 연평균 약 39%의 초고속 성장이 전망된다.20 휴머노이드 로봇은 단순 반복 작업을 넘어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는 범용성을 목표로 하기에, 기술적 난제가 해결될 경우 시장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할 것이다.
산업용 로봇: 성숙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팩토리(Industry 4.0) 구축 트렌드에 힘입어 연평균 11.7%에서 13.8%에 이르는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20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생산성 향상과 공급망 안정을 위한 투자가 계속해서 시장을 견인할 것이다.26
2.3. 지정학적 구도: 미국의 혁신 vs. 중국의 규모
글로벌 로봇 시장은 미국과 중국을 양대 축으로 하는 지정학적 경쟁 구도를 뚜렷하게 보이고 있다.
중국의 압도적 지배력: 중국은 세계 최대의 로봇 시장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설치의 50% 이상 차지 27), 빠르게 혁신의 허브로 변모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중국 로봇 시장이 2028년까지 현재의 두 배 이상인 108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22 이는 '중국제조 2025'라는 국가 차원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에 힘입은 결과다.27
미국의 AI 기술 리더십: 반면, 로봇의 '두뇌'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와 AI 기술에서는 미국이 확고한 리더십을 유지하고 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은 로봇 AI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단행하며 기술 생태계를 주도하고 있다.29
이러한 구도는 한국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하드웨어 제조 분야에서는 중국의 거센 도전에 직면하지만, 미국의 AI 기술과 결합하거나, 혹은 중국 기술에 대한 안보 우려가 커지는 서구 시장에서 대안으로 부상할 기회가 공존한다.
글로벌 시장의 동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면, 두 가지 핵심적인 변화의 흐름을 읽을 수 있다. 첫째, 로봇 산업이 '스마트폰 모멘트(Smartphone Moment)'에 근접하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의 로봇이 단일 기능만 수행하고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피처폰과 같았다면, 현재의 지능형 로봇은 하드웨어(고성능 센서, 액추에이터), 소프트웨어(AI 기반 운영체제), 그리고 연결성(5G)이 융합된 스마트폰과 유사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13 이는 로봇의 활용 범위를 공장과 같은 통제된 환경에서 물류, 의료, 가정 등 예측 불가능한 실세계로 폭발적으로 확장시키는 기폭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은 단순히 하드웨어를 제조하는 기업보다, 로봇의 운영체제(OS)나 통합 플랫폼을 장악하는 기업이 미래 시장의 지배자가 될 것임을 시사한다. 이는 삼성전자와 협력하는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한 긍정적 투자 논거인 동시에, 하드웨어 중심의 두산로보틱스가 직면한 전략적 과제를 명확히 보여준다.
둘째, 중국의 부상은 한국 기업에 위협이자 기회라는 양면성을 지닌다. 중국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저가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으며, 국내 서빙 로봇 시장의 과반을 점유한 사례가 이를 증명한다.24 이는 국내 하드웨어 제조사들에게 상당한 가격 압박 요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동시에 미국과 유럽 등 서방 국가는 로봇 기술을 국가 안보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시작했으며, 이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견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정학적 긴장감은 서구 시장에서 한국과 같은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의 가치를 높인다. 특히, 일본이 장악해 온 정밀 감속기와 같은 핵심 부품 시장에서 한국이 기술적 대안으로 부상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고 있으며, 한국 정부의 강력한 부품 국산화 정책은 이러한 기회를 현실화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이다.16
섹션 3: K-로봇 경제: 정책이 견인하는 구조적 성장
3.1. 국내 시장 현황: 추격자에서 선도자로의 전환
2021년 기준, 한국 로봇 시장 규모는 5.6조 원으로, 제조업용 로봇(51.2%)과 로봇 부품(32.6%)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다.24 제조업의 로봇 밀도는 세계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자동화 수준이 높지만, 이는 역설적으로 고성장 분야인 서비스 로봇 시장의 성장이 더디고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다는 취약점을 드러내는 지표이기도 했다.24 바로 이 역사적 배경이, 정부가 과거의 소극적 지원에서 벗어나 산업 구조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목표로 하는 공격적인 정책을 추진하게 된 이유다.
3.2. 정책 심층 분석: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2024~2028)'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은 현시점에서 국내 로봇 섹터에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촉매제다. 이는 단순한 비전 제시가 아닌, 구체적인 목표와 실행 방안을 담은 국가적 액션 플랜이다.1
정량적 목표 (2030년까지):
시장 규모: 5.6조 원 → 20조 원 이상 16
핵심 부품 국산화율: 44% → 80% 16
로봇 보급 대수: 100만 대 (산업용 68만 대, 사회/서비스용 32만 대) 16
매출 1천억 원 이상 기업 수: 5개 → 30개 16
투자 규모: 2030년까지 민관 합동 3조 원 이상 투자.1
주요 추진 과제: 8대 핵심 기술(하드웨어 5, 소프트웨어 3) 확보, 15,000명의 전문 인력 양성, 약 2,000억 원을 투자하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 구축 34, 그리고 로봇 특화 보험 및 규제 혁신 등 로봇 친화적 인프라 구축을 포괄한다.16
3.3. '이재명 변수': 초당적 지지로 강화된 성장 동력
사용자의 질의에 따라 야당 대표의 정책 방향성을 분석한 결과, 로봇 산업 육성은 여야를 가리지 않는 국가적 과제임이 확인된다. 이는 정책의 연속성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신호다.
산업 육성 기조 일치: 이재명 대표는 대한민국을 세계 3대 AI 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비전 아래, 100조 원 규모의 AI 투자 및 AI-로봇 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을 공약한 바 있다.36 이는 현 정부의 정책 방향과 궤를 같이하며, 정권 교체에 따른 산업 정책의 급변 리스크를 현저히 낮춘다.
'로봇세' 논쟁의 실체: 이재명 대표가 AI와 로봇 도입으로 인한 부의 편중을 막기 위해 '로봇세' 도입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37 이는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으로 비칠 수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산업 육성 이후의 '부의 분배'에 관한 장기적 사회경제적 아젠다이지, 산업 발전을 저해하려는 단기적 규제가 아니다. 여야 모두 로봇 산업의 육성이라는 대전제에는 이견이 없으므로, 로봇세 논의가 단기간 내에 산업 성장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된다.
정부 정책은 국내 로봇 산업의 가장 큰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과거 한국 로봇 산업은 '수요 부족이 기술 개발을 저해하고, 경쟁력 있는 기술의 부재가 다시 수요를 위축시키는' 고질적인 악순환에 갇혀 있었다. '제4차 기본계획'은 이 문제를 양쪽에서 동시에 해결하려는 시도다. 100만 대 보급 목표는 내수 시장이라는 확실한 '수요'를 창출하고 16, 3조 원 이상의 투자와 80% 부품 국산화 목표는 경쟁력 있는 '공급' 기반을 구축한다.16 이는 국내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 진출하기 전, 내수 시장에서 충분한 실적(Track Record)과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34 이처럼 강력한 정부의 지원은 타 국가 시장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한국 로봇 섹터의 투자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낮추는 핵심 요인이다.
더 나아가, 로봇 산업에 대한 초당적 합의는 강력한 강세 신호다. 다른 정책 분야와 달리, AI와 로봇 육성은 '반도체 이후'의 국가 경제를 책임질 미래 성장 동력으로 여야 모두에게 인식되고 있다.16 이는 정권의 향방과 무관하게 산업 육성이라는 정책의 큰 줄기가 흔들리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수적인 로봇 산업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정책적 안정성은 투자자들이 높은 확신을 가지고 장기적인 성장 스토리에 투자할 수 있게 하는 매우 귀중한 자산이다.
섹션 4: 대한민국 로봇 유니버스: 플레이어, 대기업, 그리고 가치사슬
4.1. 섹터 세분화: 다층적 생태계 지도
국내 상장 로봇 기업 생태계는 복잡하지만,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로봇산업 분류체계 38를 기준으로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투자자들이 각 기업의 위치와 역할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주요 기업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표 1: 대한민국 상장 로봇 섹터 핵심 기업 분류
이 표는 단순한 종목 나열을 넘어, 투자자가 가치사슬 내에서 기업의 역할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플랫폼 기업(두산, 레인보우)에 대한 직접 투자와 함께, 이들 모두에게 부품을 공급하는 감속기 기업(에스피지)에 투자함으로써 리스크를 분산하는 포트폴리오 전략을 구상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요청한 '대장주 및 주변 종목'에 대한 구조적인 답변이 된다.
4.2. 대기업 효과: 생태계 성장의 가속 페달
국내 대기업, 즉 재벌(Chaebol)의 전폭적인 참여는 한국 로봇 산업의 가장 독특하고 강력한 성장 촉매제다. 이들은 단순한 재무적 투자자를 넘어, 전략적 투자자, 핵심 고객(Anchor Customer), 그리고 글로벌 유통망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생태계 전체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 → 레인보우로보틱스: 가장 상징적이고 중요한 결합이다. 삼성전자의 지분 투자와 최대주주 등극 3은 사실상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삼성의 로봇 사업 전초기지로 만든 결정이다. 이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기술이 삼성의 막대한 반도체 및 가전 제조 라인에 직접 적용되고, 향후 소비자용 로봇 제품으로 이어지는 명확한 경로를 제공한다.2
LG → 로보티즈, 로보스타: LG전자는 자사의 서비스 로봇(예: 배송 로봇 '클로이') 개발에 로보티즈의 액추에이터 기술과 자율주행 솔루션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30, 오래전부터 로보스타를 인수하여 자사 생산 라인의 자동화 파트너로 삼고 있다.42
HD현대 → HD현대로보틱스: 그룹의 핵심 역량인 조선 및 중공업 분야를 기반으로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41
한화 → 한화로보틱스: 협동로봇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미국 로봇 피자 브랜드 '스텔라피자' 인수 등 F&B 자동화와 같은 신사업 분야로 적극 진출하고 있다.17
대기업의 참여는 로봇 산업에 대한 궁극적인 신뢰 보증(Validation)이자 성장 가속기다. 스타트업이 겪는 가장 큰 난관은 자금 조달, 초기 대형 고객 확보, 그리고 생산 및 판매망 확충이다. 삼성과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사례에서 보듯, 대기업과의 파트너십은 이 세 가지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해 준다. 이는 대부분의 로봇 스타트업이 겪는 실행 리스크(Execution Risk)를 극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 이는 투자의 성격이 불확실한 기술에 대한 투기에서, 자금과 전략이 명확히 확보된 사업 계획의 실행 여부를 판단하는 투자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레인보우로보틱스와 같은 기업은 독립적인 동종업체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훨씬 낮은 리스크 프로파일을 가진 투자 대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섹션 5: 투자 분석: 밸류에이션, 핵심 종목, 그리고 전략적 제언
5.1. 밸류에이션 프레임워크: 이익 실현 이전 시대의 가치 평가
현재 다수의 국내 로봇 기업들은 이익을 내지 못하거나 극단적으로 높은 주가수익비율(PER)을 기록하고 있어, 전통적인 밸류에이션 방식으로는 가치를 평가하기 어렵다.46 예를 들어, 티로보틱스의 PER은 865배에 달하며 유진로봇은 적자 상태다.48 따라서 고성장 기술주에 적합한 다각적인 평가 방법론을 적용해야 한다. 이는 초기 성장 단계의 SaaS(Software-as-a-Service) 기업을 평가하는 방식과 유사하다.49
주가매출비율 (Price-to-Sales Ratio, PSR): 이익이 발생하기 전 성장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다. 로봇 자회사 TXR로보틱스의 IPO 과정에서도 PSR이 활용된 바 있다.52 글로벌 고성장 로봇 및 SaaS 기업들의 PSR은 통상 5배에서 10배 이상에서 형성되며 50, 이를 벤치마크로 활용하여 국내 기업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꿈의 가치 (Price-to-Dream, TAM 기반 평가): 휴머노이드와 같이 장기적인 잠재력을 가진 분야는, 해당 기업이 미래의 거대한 전체 유효 시장(TAM)에서 차지할 예상 점유율과 성공 확률을 기반으로 가치를 산정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사업부문별 가치합산 (Sum-of-the-Parts, SOTP): 협동로봇과 휴머노이드 등 명확히 구분되는 사업부를 가진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5.2. 시장 과열 평가: 거품보다는 열기
로봇 섹터는 2023년 초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투자 발표와 글로벌 AI 열풍에 힘입어 밸류에이션이 급등했다.29 현재의 주가 수준은 완벽에 가까운 사업 실행을 전제로 한, 상당히 부담스러운 수준임은 분명하다. 기술 상용화가 지연되거나 성장률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주가는 급격한 조정을 겪을 수 있다. 그러나 강력한 정부 정책과 대기업의 실질적인 투자가 든든한 펀더멘털 바닥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상황은 순수한 투기적 버블과는 구별된다. 시장은 '뜨겁고' 높은 리스크 감내도를 요구하지만, 장기 성장 스토리는 여전히 유효하다.
5.3. 핵심 기업 심층 분석
5.3.1. 레인보우로보틱스 (Rainbow Robotics, 277810.KQ) - Top Pick (매수)
사업 및 전략: KAIST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휴보(HUBO)'에 뿌리를 둔 플랫폼 기업이다.55 협동로봇부터 군사용 로봇, 천문관측용 마운트까지 폭넓은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55, 특히 액추에이터, 감속기, 제어기 등 핵심 부품 기술을 내재화하여 원가 경쟁력과 기술 통합의 우위를 확보했다.57 장기 전략의 핵심은 2028년 휴머노이드 로봇 플랫폼의 상용화에 맞춰져 있다.59
삼성 시너지: 투자 논리의 심장부다. 삼성전자의 인수는 레인보우로보틱스를 유망 벤처에서 그룹의 핵심 전략 자산으로 변모시켰다. 삼성은 AI와 소프트웨어 역량을,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하드웨어 플랫폼을 제공하는 역할 분담이 명확하다.6 이 협력은 이미 창업자인 오준호 박사가 이끄는 삼성전자 내 '미래로봇추진단' 신설과 공동 R&D 프로젝트 착수로 구체화되고 있다.62 최종 목표는 삼성의 AI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하드웨어가 완벽히 결합된 차세대 AI 휴머노이드 로봇을 탄생시키는 것이다.
밸류에이션 및 목표주가: 현재 주가는 미래에 대한 높은 기대를 반영한 PSR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가치 평가는 2028년 시나리오에 기반한다. 협동로봇의 꾸준한 성장과 휴머노이드 로봇의 초기 매출 발생을 가정하여 2028년 매출을 추정하고, 시장 선도력과 높은 성장성을 감안하여 글로벌 최상위 AI 또는 SaaS 기업에 적용되는 15-20배의 목표 PSR을 적용한다.
리스크: 휴머노이드 상용화 일정 지연 가능성, 삼성전자에 대한 높은 의존도, 테슬라 및 Figure AI 등 글로벌 기업과의 치열한 경쟁.
5.3.2. 두산로보틱스 (Doosan Robotics, 454910.KS) - 주요 경쟁사 (중립)
사업 및 전략: 다양한 가반하중과 산업군을 겨냥한 M, A, H, E, P 시리즈 등 세계에서 가장 폭넓은 협동로봇 라인업을 보유한 글로벌 Top 5 플레이어다.7 전체 매출의 6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하는 등 강력한 글로벌 판매 채널을 구축했다.66 최근 단순 하드웨어 판매를 넘어, 수익성을 개선하고 반복 매출을 창출하기 위해 '다트 스위트(Dart-Suite)'와 같은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AI 기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의 전략적 전환을 선언했다.12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진출도 공식화하며 장기 성장 동력 확보에 나섰다.13
경쟁 구도: 전통적인 협동로봇 시장의 확실한 강자다. 주된 과제는 저가 중국산 제품의 공세 속에서 시장 점유율을 방어하고, 소프트웨어와 AI 기술을 통해 제품을 차별화하는 것이다.11 다양한 시스템 통합(SI) 기업들과 구축한 강력한 파트너 생태계는 중요한 경쟁 우위다.67
밸류에이션 및 목표주가: 현재 주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률과 수익성 문제를 반영하여 레인보우로보틱스 대비 할인되어 거래되고 있다.73 가치 평가는 협동로봇 시장의 회복과 솔루션 사업의 성장을 가정한 2028년 매출 전망에 기반한다. 기존 산업 자동화 기업들과 유사한 8-10배의 목표 PSR을 적용하며, AI 솔루션 전략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할 경우 추가적인 상승 잠재력이 있다.
리스크: 경쟁 심화에 따른 지속적인 마진 압박, 글로벌 제조업 경기 회복 지연, 소프트웨어/AI 사업의 수익화 실패 가능성.
5.4. 글로벌 동종업계 밸류에이션 비교
표 2: 글로벌 주요 로봇 기업 밸류에이션 비교 (2025년 추정치 기준)
주: 시가총액은 2025년 중반 기준. 2025E(추정치) 데이터는 증권사 컨센서스 및 자체 추정치 기반. 일부 데이터는 가용성 문제로 '-' 표시. 환율은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적용.
이 비교표는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부여된 높은 밸류에이션 프리미엄과 다른 기업들의 상대적 위치를 명확히 보여준다. 글로벌 선도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 로봇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이 전반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레인보우로보틱스의 PSR은 의료 로봇 분야의 독점적 지배자인 인튜이티브 서지컬과 유사한 수준이며, 이는 시장이 삼성전자와의 시너지를 통한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섹션 6: 2028년 전망: 미래를 향한 청사진
6.1. 2028년 시장 및 기업 전망
국내 시장 규모 전망: 정부의 2030년 20조 원 목표 달성을 위한 성장 경로를 감안할 때, 2028년 국내 지능형 로봇 시장 규모는 약 15조~17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16 이러한 성장은 '제4차 기본계획'에 명시된 대로 제조업, 물류,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의 로봇 도입 가속화가 주도할 것이다.16
표 3: 2028년 주요 기업 목표주가 및 매출 전망
이 전망은 보고서의 모든 분석을 종합하여 투자자에게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기준점을 제공한다. 특히 '핵심 가정' 항목은 목표주가 산출의 근거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투자자가 각자의 판단에 따라 전망을 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사용자의 3년 후 미래 전망에 대한 질의에 직접적으로 답하는 부분이다.
6.2. 장기 촉매제와 리스크 (2028년 이후)
장기 촉매제:
범용인공지능(AGI)의 출현: AGI 기술의 돌파는 로봇을 진정한 의미의 자율적 개체로 만들어, 그 가치와 활용 범위를 기하급수적으로 증대시키는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올 것이다.
인간-로봇 공존 모델의 성공: 정부가 추진하는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 16과 로봇 특화 보험 16 등이 성공적으로 정착되면, 공공 및 사적 영역에서 로봇 도입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져 대중화가 가속화될 것이다.
지정학적 재편 심화: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될수록, 서방 세계는 신뢰할 수 있는 첨단 기술 파트너로서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더욱 높게 평가하게 될 것이며, 이는 한국 로봇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장기 리스크:
'로봇세'의 현실화: 사회적 합의 없이 성급하게 도입되는 로봇세는 기업의 투자 의욕을 꺾고 기술 도입을 늦추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37
기술적 정체기(Technological Plateau): AI나 하드웨어 기술 발전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정체될 경우, 진정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용화 시점은 지연될 것이며, 이는 섹터 전반의 밸류에이션에 '혹한기'를 가져올 수 있다.
사회적, 노동계의 반발: 로봇 도입으로 인한 대규모 일자리 감소에 대해 적절한 사회 안전망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자동화에 대한 대중적, 정치적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
결론
대한민국 지능형 로봇 산업은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 대기업의 전략적 투자, 그리고 글로벌 기술 트렌드라는 세 가지 거대한 순풍을 타고 이제 막 이륙을 시작했다. 장기적인 성장 방향성은 명확하지만, 그 과정은 결코 순탄하지 않을 것이다. 높은 밸류에이션은 단기적인 실적 변동에 대한 높은 민감도를 의미하며, 글로벌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질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명확한 전략이 필요하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와의 결합을 통해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의 휴머노이드 혁명을 주도할 가장 유력한 후보다. 두산로보틱스는 검증된 글로벌 리더십을 바탕으로 안정성을 추구하지만, AI 솔루션 기업으로의 성공적인 변신이라는 과제를 증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에스피지와 같은 핵심 부품 기업들은 산업 전체의 성장에 베팅하면서도 플랫폼 경쟁의 직접적인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현명한 대안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K-로봇 경제의 서막은 열렸다. 투자자는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각 기업의 핵심 경쟁력과 장기 성장 전략을 면밀히 분석하여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야 할 시점이다. 기회는 분명하며, 그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분석과 장기적인 안목이 요구된다.
참고 자료
글로벌 및 국내 로봇산업 전망: AI 융합 시대의 핵심 성장동력 - NAVER,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site.naver.com/1K4qV
레인보우로보틱스, 시장의 변동성과 성장 가능성 속 현재의 투자 기회는? - Goover,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3/go-public-report-ko-e1ac35f2-dd27-4a9f-9966-4bec5e16529c-0-0.html
Machinery & Robotics -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추가 지분 확보,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sl.pstatic.net/imgstock/upload/research/industry/1678923858779.pdf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 iM증권,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2.imfnsec.com/upload/R_E08/2024/03/[14072719]_277810.pdf
삼성전자 로봇 파트너사로 '픽'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경쟁력은? [딥로봇] - 디지털데일리,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ddaily.co.kr/page/view/2023010411522955459
로보틱스 (Overweight) - iM증권,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imfnsec.com:442/upload/R_E09/2025/01/[02074704]_250012.pdf
레인보우로보틱스 다음 로봇 대장주 '이 주식' 어마어마한 상승의 기회다 (양승윤 연구원 풀영상) - YouTube,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r5EORkzwCoQ
두산로보틱스(A454910) | Snapshot - 에프앤가이드 상장기업분석,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454910&cID=&MenuYn=Y&ReportGB=B&NewMenuID=Y&stkGb=701
협동로봇 시장 급성장..두산로보틱스 글로벌 1위 정조준 - 한국정경신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kpenews.com/View.aspx?No=3539138
2024 하반기 로보틱스 산업 전망 - iM증권,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imfnsec.com:442/upload/R_E09/2024/06/[04072703]_241195.pdf
"중국산 로봇이 한국산으로 둔갑...정책 대응 필요" - 지디넷코리아,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zdnet.co.kr/view/?no=20250221102917
[보도자료]두산로보틱스, AI 혁신 선언…지능형 로봇 솔루션 출시하고 휴머노이드 기술 확보 나선다,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doosannewsroom.com/?p=50251&cat=8
두산로보틱스, AI 혁신 선언…'휴머노이드·지능형 로봇 솔루션 기술 개발' - 서울경제,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v2.sedaily.com/NewsView/2GRINND7YU
[100대 기업 보고서] 두산로보틱스 현금 창출력 '밑 빠진 독' [넘버스] - 블로터,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637400
시총 순위로 알아본 국내 로봇 기업 리스트 AI 다음은 로봇이다! - 네이버블로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kq2q/223480526928?viewType=pc
대형가속기 장기로드맵 및 운영전략 - 경제정책 시계열서비스 | 정책 ...,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pts.kdi.re.kr/polcTmsesSrvc/them?SEARCH_CTE_SEQ=76288&BIG_CD=RELT_THEM00078&MID_CD=RELT_THEM00087&SML_CD=RELT_THEM00242
[로봇신문 선정] '2024 국내 10대 로봇 뉴스' : Industry News - 스마트테크 코리아,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marttechkorea.com/Newsletter/?bmode=view&idx=138421428
$159 Billi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Robotics Global Market Opportunities and Strategies to 2033 - GlobeNewswire,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4/11/22/2985799/0/en/159-Billion-Artificial-Intelligence-in-Robotics-Global-Market-Opportunities-and-Strategies-to-2033-Investment-in-Start-Ups-New-Launches-Software-Platforms-Strategic-Partnerships-an.html
Intelligent Robotics Market worth $50.33 billion by 2030 - Exclusive Report by MarketsandMarkets™ - PR Newswire,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intelligent-robotics-market-worth-50-33-billion-by-2030---exclusive-report-by-marketsandmarkets-302458685.html
Robotics Market Research Reports & Consulting - MarketsandMarkets,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marketsandmarkets.com/robotics-market-research-112.html
Global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Robotics Market Set For 39.2% Growth, Reaching $6.2 Billion By 2028 - EIN Presswire,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www.einpresswire.com/article/766705146/global-generative-artificial-intelligence-ai-in-robotics-market-set-for-39-2-growth-reaching-6-2-billion-by-2028
中 로봇 시장, 향후 4년간 두 배 성장 전망…2028년 1080억 달러 전망 - 글로벌이코노믹,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6/2025061620363895290c8c1c064d_1
세계의 인공지능 로봇 시장(2024-2028년) - 글로벌인포메이션,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giikorea.co.kr/report/infi1502324-global-artificial-intelligence-robots-market.html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 - KDI 경제교육,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iec.kdi.re.kr/policy/callDownload.do?num=247119&filenum=2&dtime=20240121104657
Industrial Robotics Market worth $32.5 billion by 2028 - R&D - Maintworld,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maintworld.com/R-D/Industrial-Robotics-Market-worth-32.5-billion-by-2028
Intelligent Robotics Market Size, Share, Trends and Growth Analysis 2032,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marketsandmarkets.com/Market-Reports/intelligent-robotics-market-99226522.html
중국, 2028년 로봇 시장 규모 1080억달러 전망…글로벌 패권 굳힌다,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596
모건스탠리 "中 로봇 시장 규모 2028년 1000억 달러 넘어설 것" - 인베스팅닷컴,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522688
미국 로봇 대장주 로봇주 ETF botz 분석 : 네이버 블로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92happywoo/223714791196
“올해부터 폭발적 성장해요” 로봇 대장주 '이 기업' 전 세계 돈 쓸어 담을겁니다 (로봇 관련주, 로봇 주식) - YouTube,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8yHIHuWwEKQ
글로벌 이동형 로봇 시장 보고서 - 산업 동향 및 2028년까지의 예측 | 데이터 브리지 마켓 리서치,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databridgemarketresearch.com/ko/reports/global-mobile-robots-market
인공지능(AI)과 로봇 시대 도래무인·자동화로 인간이 사라진다 - 중소기업신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m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9011
K-로봇경제 실현을 위한 제4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 : 2024~2028,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nsp.nanet.go.kr/plan/subject/detail.do?nationalPlanControlNo=PLAN0000043368
2024~2028년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청사진 나왔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0879
2030년까지 지능형 로봇 100만 대 보급…부품 국산화율 80%↑ - 정책뉴스,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24862
이재명의 경제분야 주요정책 - 시민정치마당,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cpmadang.org/policy/471093
이재명 "로봇세 부과해 경제지속성 담보…AI혜택 모두 나눠야"(종합) | 연합뉴스,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0909076251001
로봇산업 특수분류,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kiria.org/portal/policysut/portalPlcyClasifi.do;jsessionid=BEF5F817773D9B5671D9AA8AA20E89E1
로봇신문, '2023 올해의 대한민국 로봇기업' 30개사 선정, 발표,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32
[2023 로보월드] 서비스 로봇 주요 출품업체 | Wonik Robotics - 원익로보틱스,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wonikrobotics.com/%EB%89%B4%EC%8A%A4/bodojaryo/2023-roboweoldeu-seobiseu-robos-juyo-culpumeobce
[2025년 최신] 로봇주, 로봇 관련주 & 테마주 41종목 총정리,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alphasquare.co.kr/home/theme-factor?theme-id=76
[2025년 최신] 지능형로봇 관련주 & 테마주 22종목 총정리 - 알파스퀘어,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alphasquare.co.kr/home/theme-factor?theme-id=407
[관심종목 #44-2]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전자 인수 내용 정리 - 네이버 블로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whitebanana_/223337695985
삼성전자 – 레인보우로보틱스 기업결합 승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iec.kdi.re.kr/policy/callDownload.do?num=263955&filenum=1&dtime=20250305151510
"큰 그림은 완성, 추진력 발휘할 때"...로봇 B학점 - 지디넷코리아,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zdnet.co.kr/view/?no=20240503125050
AI 로봇 관련주 휴림로봇 주가 전망 어떨까? - 네이버 블로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119dud/223766459490?recommendCode=2&recommendTrackingCode=2
레인보우로보틱스 2024년 1분기 재무제표 분석 ; Simple but Complex ?,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usymoon/kicpakpmg/contents/240605160123172at
티로보틱스 주가 전망 AMR 로봇 관련주 2차전지 SK온 스마트팩토리 첫 수주 시작,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q1772/223224094131
SaaS Business Valuation Multiples (EBITDA & Revenue) - Raincatcher,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raincatcher.com/saas-business-valuation-multiples/
2025 Private SaaS Company Valuations - SaaS Capital,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saas-capital.com/blog-posts/private-saas-company-valuations-multiples/
SaaS Valuation Multiples: 2015-2025 - Aventis Advisors,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aventis-advisors.com/saas-valuation-multiples/
TXR Robotics targets 200 billion won valuation with PSR amid IPO listing - CHOSUNBIZ,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en/en-finance/2025/02/19/MPFXDSRFDVHPXPF5ZZOS3CEE5Q/
Robotics & AI: 2025 Valuation Multiples (Revenue and EBITDA) - Finerva,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finerva.com/report/robotics-ai-2025-valuation-multiples/
휴보부터 삼성까지…'주가 20배↑' 레인보우로보틱스 발자취 - 지디넷코리아,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zdnet.co.kr/view/?no=20250102095505
[레인보우로보틱스] 사업보고서(일반법인) - KRX KIND,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321000820&docno=&viewerhost=&
오준호, 카이스트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 소장 / YTN 사이언스 - YouTube,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zmuhQC_Jz5A
레인보우로보틱스(A277810) | Snapshot | 기업정보 | Company Guide,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277810&cID=&MenuYn=Y&ReportGB=B&NewMenuID=Y&stkGb=701
필요한 핵심 기술?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액추에이터 actuator - YouTube,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w4ZtfatmGL8&pp=0gcJCf0Ao7VqN5tD
"2028년 휴머노이드 상용화"…레인보우로보틱스, R&D에 올인 - 지디넷코리아,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zdnet.co.kr/view/?no=20250322142703
레인보우로보틱스, 변동성 높은 시장 속에서도 미래 성장 가능성 주목 - Goover,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3/go-public-report-ko-d02bf464-a76e-47bd-97cf-8a29506c112f-0-0.html
레인보우로보틱스, R&D 집중! 2028년 휴머노이드 상용화 목표! | '상한가 로켓배송' (출연자,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_xfPQgsk5Sc
[Who Is ?] 오준호 레인보우로보틱스 창업자 겸 삼성전자 미래로봇추진단장 - 비즈니스포스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4194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최대주주 지위 확보…미래로봇 개발 가속화,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ainbow-robotics.com/pr/241231-1
[두산로보틱스] 사업보고서(일반법인) - KRX KIND,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40320002379&docno=&viewerhost=&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시장의 폭발적 성장과 글로벌 투자 기회 분석 - 재능넷,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jaenung.net/tree/15864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할 것" - 뉴스톱,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91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Doosan Robotics,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doosanrobotics.com/pdf/investment/KR_Doosan%20Robotics%20IR%20Material_Kor.pdf
두산로보틱스 감사보고서 - 네이버 블로그 - NAVER,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eungdaee&logNo=223229713306
두산로보틱스, AI 중심 로봇 혁신 선언…"지능형 솔루션·휴머노이드 개발 박차" - 녹색경제신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25543
두산로보틱스,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진출 - 한국경제,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140292i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수술보조 솔루션 실제 수술에 첫 활용...이롭과 협력 - 헬로티,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hellot.net/news/article.html?no=87822
한국로봇산업협회, 5G 기반 첨단제조로봇 기반구축 및 활성화 세미나 개최 - 로봇신문,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435
두산로보틱스, 적자 115% 늘었지만 'AI 로봇' 자신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6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3107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