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학적 리셋: 2025년 이스라엘-이란 휴전 합의의 시장 영향에 대한 애널리스트 보고서
목차
초록
1. 서론: '12일 전쟁'과 트럼프 독트린의 첫 시험대
1.1. 배경: 벼랑 끝에 선 중동
1.2. 휴전 발표: 거래적 긴장 완화
1.3. 보고서의 목적 및 분석 프레임워크
2. 전 세계적 위험자산 선호 현상: 즉각적인 시장 반응 분석
2.1. 유가 시장의 반전: 지정학적 리스크 프리미엄의 증발
2.2. 안도감과 비둘기파적 기대감에 급등한 주식 시장
2.3. 통화, 채권, 안전자산: 전형적인 위험자산 선호 로테이션
3. 섹터 및 기업별 승자와 패자
3.1. 미국 시장 분석: 뚜렷한 섹터별 분화
3.2. 한국 시장 분석: K-방산의 역설
4. 과거로부터의 교훈: 1991년 걸프전 휴전의 시장 선례
4.1. 1991년 걸프전: 분쟁과 해결
4.2. 1991년 시장 반응: 2025년의 청사진인가?
4.3. 맥락 비교: 2025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5. 거시 경제 전망 및 투자 전략
5.1. 인플레이션 문제와 연준의 새로운 유연성
5.2. 글로벌 무역 동맥의 재개
5.3. 투자 테제 및 향후 전망
6. 결론: 불안한 평화, 변동성 높은 시장
참고 자료
초록
본 보고서는 2025년 6월 24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중재 하에 발표된 '이스라엘-이란 전면 휴전 합의'가 미국 및 한국 주식 시장에 미친 영향을 애널리스트 관점에서 심층 분석한다. 이 합의는 전면전으로 치닫던 중동의 지정학적 위기를 극적으로 완화시키며 전 세계 금융 시장에 '위험자산 선호(Risk-on)' 심리를 촉발했다. 특히, 세계 원유 공급의 핵심 길목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라는 최악의 시나리오, 즉 '테일 리스크(tail risk)'가 제거되면서 국제 유가가 급락했다. 이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완화시키며 미국과 한국 증시의 동반 급등을 이끌었다. 한국의 KOSPI 지수는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순매수에 힘입어 더욱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시장의 환호 속에서 뚜렷한 명암이 엇갈렸다. 분쟁 격화의 수혜주로 각광받던 한국의 방위산업 관련주는 급락한 반면, 기술주와 내수 관련주는 강세를 보였다. 본 보고서는 이번 휴전이 단기적으로는 강력한 시장 촉매제로 작용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압박' 기조에 기반한 '거래적' 성격을 띠고 있어 근본적인 지정학적 갈등은 여전히 잠재되어 있다고 평가한다. 따라서 이 평화는 본질적으로 취약하며, 시장의 장기적 안정성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1. 서론: '12일 전쟁'과 트럼프 독트린의 첫 시험대
1.1. 배경: 벼랑 끝에 선 중동
2025년 6월, 중동은 전면전의 위기감에 휩싸였다. 이스라엘이 이란의 군사 시설과 고위급 지휘관을 선제 타격하며 시작된 갈등은, 미국이 B-2 폭격기를 동원해 이란의 핵심 핵시설인 포르도(Fordow), 나탄즈(Natanz), 이스파한(Isfahan) 3곳을 공습하며 최고조에 달했다.1 시장은 이란의 보복 수위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이란은 카타르에 위치한 미군 최대 기지인 알 우데이드(Al Udeid) 공군기지에 미사일 공격을 감행하며 맞대응했다.3
이러한 일촉즉발의 상황은 금융 시장에 극도의 경계감을 조성했다. 투자자들은 본격적인 지역 전쟁 발발과 함께 전 세계 원유 및 LNG 공급량의 약 20%가 통과하는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 가능성을 심각하게 우려했다.5 애널리스트들은 "예측 불가능한 파급 효과(unpredictable spillovers)"를 경고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은 극에 달했다.5
1.2. 휴전 발표: 거래적 긴장 완화
이러한 긴장 국면은 6월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Truth Social) 발표로 극적인 전환을 맞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이란이 "완전하고 전면적인 휴전(Complete and Total CEASEFIRE)"에 합의했으며, 이를 통해 "12일 전쟁(THE 12 DAY WAR)"이 종식될 것이라고 선언했다.1 휴전은 24시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발효되며, 이란이 먼저 공격을 중단하고 12시간 후 이스라엘이 공격을 멈추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명시되었다.1
이 사건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 정책 독트린이 현실화된 첫 사례로 분석된다. 이는 강력한 군사적 압박을 통해 상대방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는 '최대 압박(maximum pressure)' 전략과 최고 지도자 간의 직접적인 담판을 결합한 '거래적' 외교의 전형이다.8 즉, 이번 휴전은 근본적인 갈등 해결이 아닌, 미국의 핵시설 폭격이라는 결정적 무력시위 이후 이끌어낸 '전술적 긴장 완화'로 평가된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구하는 외교 방식의 핵심 원칙을 명확히 보여준다.
1.3. 보고서의 목적 및 분석 프레임워크
본 보고서는 기관 투자자들을 위해 이번 휴전 합의가 미국 및 한국 금융 시장의 다양한 자산군에 미친 영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휴전 발표 직후 시장의 즉각적인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수혜 및 피해 섹터와 주요 상장 기업을 식별한다.
과거 유사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역사적 맥락을 제공한다.
거시 경제적 파급 효과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 투자 권고안을 제시한다.
2. 전 세계적 위험자산 선호 현상: 즉각적인 시장 반응 분석
2.1. 유가 시장의 반전: 지정학적 리스크 프리미엄의 증발
휴전 합의 소식에 가장 극적으로 반응한 자산은 단연 원유였다. 분쟁 기간 동안 배럴당 81.40달러까지 치솟았던 브렌트유와 78달러를 넘어섰던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폭락세를 보였다.10 6월 24일, WTI는 배럴당 약 66달러, 브렌트유는 약 69달러 선까지 밀려나며 위기 정점 대비 10% 이상 급락했다.12
이러한 가격 붕괴의 핵심 원인은 '호르무즈 해협 리스크 프리미엄'의 소멸이다. 시장은 해협 봉쇄 시 유가가 배럴당 130달러에서 15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었다.17 휴전 합의는 이 가능성을 사실상 제거했으며, 시장은 즉각적으로 펀더멘털로 회귀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이제 유가가 분쟁 이전 수준보다 낮은 배럴당 65달러 선에서 안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충분한 공급량과 일부 수요 둔화 우려가 반영된 결과이다.11
2.2. 안도감과 비둘기파적 기대감에 급등한 주식 시장
미국 시장: 지정학적 불확실성 해소와 유가 급락에 따른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이 맞물리며 미국 증시는 강한 랠리를 펼쳤다. S&P 500 지수는 6월 23일(현지시간) 0.96% 상승한 6,025.17로 마감했으며, 24일 개장을 앞둔 선물 시장도 강세를 보였다.7 이는 단순히 전쟁 위협이 사라진 것을 넘어, 유가 하락이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에 비둘기파적(dovish) 여지를 제공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강력하게 작용한 결과다.21
한국 시장: 한국 시장의 반응은 더욱 뜨거웠다. KOSPI 지수는 2% 이상 급등하며 3년 9개월 만에 장중 3,100선을 돌파했고, 최종적으로 3,082.90에 마감했다.7 이러한 급등세는 수천억 원에 달하는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순매수가 견인했다.23
2.3. 통화, 채권, 안전자산: 전형적인 위험자산 선호 로테이션
시장은 전형적인 '위험자산 선호' 현상을 보였다.
통화: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미국 달러(USD)는 약세를 보였다.25 반면,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원화(KRW) 가치는 급등하여,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1,384원대에서 1,370원 아래로 하락했다.24
채권: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낮아지면서 국채 가격은 상승(수익률은 하락)했다. 인도의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유가 하락에 반응하여 하락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10 미국 국채 수익률 역시 하락세를 보였다.29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 금(Gold) 가격은 온스당 3,360달러 아래로 하락하며 매도세에 직면했다.30 반대로, 대표적인 위험자산인 암호화폐는 랠리를 펼쳐 비트코인 가격이 105,000달러를 재돌파했다.7
표 2.1: 주요 자산 성과 요약 (2025년 6월 21일-24일)
시장의 반응은 단순한 안도감을 넘어선 거시경제적 위험의 재평가였다. 핵심 동력은 인플레이션 전망의 변화였으며, 이는 중앙은행의 정책 경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유가 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이었고, 이는 연준의 매파적 기조를 강제하여 주식 시장에 큰 부담을 주었을 것이다.19 그러나 휴전은 이 시나리오를 막는 데 그치지 않고, 유가 붕괴라는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ary)' 충격을 야기했다.13 이는 연준에게 통화 완화(금리 인하)를 추진할 수 있는 상당한 유연성을 부여했으며, 주식 시장 랠리는 (1) 지정학적 불확실성 제거와 (2) 연준의 통화 완화 가능성 증대라는 이중의 부양 효과를 받은 셈이다.
3. 섹터 및 기업별 승자와 패자
3.1. 미국 시장 분석: 뚜렷한 섹터별 분화
휴전 합의는 미국 시장 내에서 명확한 섹터별 희비를 갈랐다.
패자 - 에너지 및 방산:
에너지 섹터 (ExxonMobil (XOM), ConocoPhillips (COP)): 10% 이상 급락한 유가는 이들 기업에 직격탄이 되었다. 원유 생산(Upstream) 부문의 매출과 이익 전망치가 즉각적으로 하향 조정되었다. 지정학적 희소성에 따른 횡재 이익 기대감은 잠재적 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로 바뀌었다.11
방산 및 항공우주 섹터 (Lockheed Martin, Northrop Grumman): 분쟁 격화에 대한 프리미엄이 주가에 반영되었던 이들 기업은 시장 전반의 상승세에 비해 부진한 성과를 보였다. 이는 '분쟁 프리미엄'이 해소되는 과정으로 분석된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군사력 강화 기조와 USS 제럴드 포드 항공모함 타격단(carrier strike group)의 중동 전개 등은 이 섹터의 장기적 전망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남아있다.8
승자 - 소비재, 산업재, 기술주:
소비 관련 섹터 (항공, 소매): 유가 하락은 항공 및 물류와 같이 운송 비중이 높은 산업에 직접적인 호재다. 또한, 휘발유 가격 하락은 소비자의 가처분 소득을 늘려 소매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산업재 및 제조업: 에너지 투입 비용 감소와 호르무즈 해협 리스크 해소에 따른 공급망 안정은 이들 섹터에 상당한 긍정적 요인이다.36
기술주 (AI, 반도체): 전반적인 위험자산 선호 심리와 금리 인하 기대감은 성장 지향적인 기술주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UAE와의 AI 계약 등 중동 지역에서의 기술 관련 거래를 강조해 온 점도 장기적인 테마로 긍정적이다.38
3.2. 한국 시장 분석: K-방산의 역설
한국 시장에서는 더욱 극적인 명암이 교차했다.
승자 - 기술주 및 시장 전반:
기술 대형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전자는 3.62%, SK하이닉스는 무려 5.97% 급등하며 시장 상승을 주도했다.7 이들의 강세는 한국 시장의 대표주로서 외국인 자금 유입의 최대 수혜를 입었고, 글로벌 위험 심리 및 원화 강세에 민감하게 반응했기 때문이다.
패자 - 분쟁 수혜주:
"K-방산" 섹터: 이번 휴전의 가장 큰 피해는 방산주에 집중되었다. LIG넥스원(-13.17%), 풍산(-12.50%), 현대로템(-7.43%), 한국항공우주(KAI)(-5.26%) 등 주요 방산주들이 두 자릿수에 가까운 폭락세를 기록했다.24 이는 중동 분쟁이 한국 방산 제품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과 사상 최대 규모의 수출 계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존의 기대감이 하루아침에 뒤집힌 결과다.39
정유 및 해운주 (S-Oil, HMM): 이들 섹터 역시 급락했다. S-Oil(-7.03%)과 같은 정유주는 유가 하락과 정제마진 축소 우려로 타격을 입었다. HMM(-4.25%) 등 해운주는 호르무즈 해협의 운항 차질 리스크가 사라지면서 급등했던 운임 및 보험료의 정상화 가능성에 주가가 하락했다.24
표 3.1: 주요 미국 및 한국 주식 성과 (2025년 6월 24일)
'K-방산의 역설'로 불리는 이 현상은 시장의 단기적인 과잉 반응일 가능성이 있다. 방산주의 급락은 '휴전 = 무기 불필요'라는 단순한 논리에 기반하지만, 중동 국가들이 한국산 무기를 찾는 근본적인 이유는 단순히 당면한 위협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과 러시아에 대한 무기 공급선 다변화, 한국산 무기의 가격 경쟁력, 빠른 납기, 맞춤형 개조 능력 등이 핵심 동인이었다.39 사우디아라비아/UAE와 이란 간의 구조적인 긴장 관계는 이번 휴전으로 해결되지 않았으며, LIG넥스원의 '천궁-II'와 같은 첨단 방공 시스템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유효하다.39 따라서 이번 휴전은 무기 도입의 '시급성'을 낮췄을 뿐, '근본적인 수요' 자체를 없앤 것은 아닐 수 있다. 시장이 단기적인 심리 변화를 장기적인 구조 변화와 혼동하고 있을 가능성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
4. 과거로부터의 교훈: 1991년 걸프전 휴전의 시장 선례
4.1. 1991년 걸프전: 분쟁과 해결
2025년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1991년 걸프전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당시 이라크는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인한 막대한 부채와 유가 분쟁을 이유로 쿠웨이트를 침공했다.44 이에 미국 주도의 다국적군이 결성되었고, '사막의 폭풍' 작전으로 명명된 대규모 공습과 지상전을 통해 1991년 2월 28일 휴전이 선포되었다.44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686호는 이라크의 철수, 전쟁 배상금 지급 등의 휴전 조건을 명시했다.44
4.2. 1991년 시장 반응: 2025년의 청사진인가?
1991년의 시장 반응은 2025년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유가: 1990년 하반기 급등했던 유가는 전쟁이 신속하게 마무리되면서 급락했다. WTI의 월평균 가격은 1991년 1월 배럴당 25.23달러에서 2월 20.48달러로 크게 하락했다.48
주식 시장: 1990년 약세를 보였던 S&P 500 지수는 강력한 랠리를 시작했다. 지수는 1991년 1월 말 약 343포인트에서 2월 말~3월 초 약 367포인트로 한 달 만에 7% 이상 상승했으며, 1991년 한 해 동안 26%가 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49
이는 '미국 주도의 중동 분쟁 해결은 유가 하락과 주가 상승을 이끈다'는 시장의 학습된 공식을 명확히 보여준다.
4.3. 맥락 비교: 2025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유사한 패턴에도 불구하고, 2025년의 상황은 1991년과 중요한 차이점을 가진다.
분쟁의 성격: 1991년은 영토 정복을 위한 전형적인 재래식 전쟁이었으나, 2025년은 핵 프로그램을 둘러싼 그림자 전쟁이 직접적인 국가 간 충돌로 비화된 양상이다.
경제 환경: 1991년 미국 경제는 저축대부조합(S&L) 사태 이후 경기 침체에서 막 벗어나던 시기였다. 반면 2025년의 세계 경제는 팬데믹 이후의 인플레이션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모든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21 이 점이 유가 하락의 파급력을 오늘날 더욱 중요하게 만든다.
지정학적 구도: 1991년은 냉전 종식 직후 미국의 '유일 패권(unipolar)' 시대였지만, 2025년은 중국과 러시아가 이란의 원유 제재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극(multipolar) 체제이다.8
결론적으로, 1991년의 선례는 '중동 리스크 해소 시 유가를 팔고 주식을 사라'는 시장의 투자 공식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그러나 2025년의 랠리는 휴전이 시장의 최대 거시경제적 공포(인플레이션)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1991년보다 더 강력한 촉매제를 얻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2025년 시장 반응의 속도와 강도를 설명하는 핵심적인 차이점이다.
5. 거시 경제 전망 및 투자 전략
5.1. 인플레이션 문제와 연준의 새로운 유연성
이번 휴전이 거시 경제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은 단기 인플레이션 전망의 하향 조정이다.13 유가 급락은 연준의 정책 결정 계산법을 근본적으로 바꾼다. 유가 쇼크가 매파적 긴축을 강요할 것이라는 리스크가 사라지면서, 연준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정책적 여력'이 크게 확대되었다.21 유가와 핵심 인플레이션 간의 강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경제 모델들은 이번 사태가 향후 몇 달간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의 하락으로 이어질 것임을 시사한다.52
5.2. 글로벌 무역 동맥의 재개
호르무즈 해협 위협은 이미 상하이-제벨 알리 간 운임을 55% 급등시키고, 유조선 운임은 154%, 해상 보험료는 60%나 폭등시켰다.33 휴전 합의는 이러한 비용 상승 요인을 즉각적으로 해소시켜, 홍해 및 파나마 운하 사태 등으로 이미 압박을 받던 글로벌 물류망에 숨통을 틔워주었다.36 이는 전 세계 제조업체와 소매업체에 직접적인 혜택으로 작용할 것이다.
5.3. 투자 테제 및 향후 전망
단기 전망 (3-6개월):
권고: 글로벌 주식에 대한 비중확대(Overweight) 전략을 추천한다. 특히 에너지 비용 하락과 소비 지출에 민감한 운송, 산업재, 필수소비재 섹터가 유망하다. 한국 증시는 글로벌 위험 선호 거래에 대한 높은 베타(beta)를 고려해 비중확대를 권고하되, K-방산 섹터는 단기적 변동성을 고려해 비중축소(Underweight)를 제시한다.
근거: 시장은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와 연준의 비둘기파적 전환이라는 이중의 호재를 계속해서 가격에 반영할 것이다. 자금은 안전자산(USD, 금)과 분쟁 헤지 자산(에너지, 방산)에서 성장 자산으로 이동할 것이다.
장기 전망 (12개월 이상):
주요 리스크: 가장 큰 리스크는 휴전 자체의 취약성이다. '거래적' 합의의 특성상, 근본적인 갈등이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긴장 재고조는 상존하는 위협이다.56
K-방산 재평가: 한국 방산 섹터에 대한 철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단기 전망은 부정적이지만, 중동 국가들의 무기 공급선 다변화라는 장기적 테마는 유효하므로 급락 이후 전략적인 진입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향후 무기 계약이 지연될지, 아니면 취소될지가 관건이다.39
트럼프 독트린과 변동성: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 스타일에 의해 발생하는 '진폭이 크고 기간이 짧은 위기'에 적응해야 한다. 이는 과거와 다른 새로운 지정학적 리스크 환경으로, 보다 전술적이고 민첩한 포트폴리오 관리가 요구된다.
6. 결론: 불안한 평화, 변동성 높은 시장
2025년 이스라엘-이란 휴전 합의는 금융 시장에 강력한 단기 촉매제로 작용했지만, 극도의 신중함이 요구되는 사건이다. 이번 랠리는 호르무즈 해협 봉쇄라는 파국적 시나리오의 제거와 그로 인한 유가 하락, 인플레이션 완화, 그리고 연준의 통화정책 전환 기대감이라는 거시경제적 호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한국 시장에서는 기술주가 급등하는 동안 방산주가 폭락하는 극심한 차별화가 나타났다. 이는 단기적인 과잉 반응일 수 있으나, 향후 중동의 실질적인 무기 수요 변화를 통해 그 지속 가능성이 판가름 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번 평화는 트럼프 행정부의 '거래적' 외교의 산물로서 매우 불안정한 기반 위에 서 있다. 근본적인 지정학적 단층선은 여전히 활성 상태이며, 평화는 짧았던 전쟁만큼이나 변동성이 클 수 있다. 향후 1년간 시장의 향방을 결정할 가장 중요한 변수는 이 합의의 지속 가능성이 될 것이며, 투자자들은 합의가 흔들리는 작은 신호에도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The Latest: Trump muses about regime change in Iran after U.S. ...,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apnews.com/article/israel-palestinians-iran-war-latest-06-23-2025-22bcdc063ea2e465f488cefb667517df
Middle East Conflict: From Diplomacy to Disruption | Neuberger Berman,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nb.com/en/link?type=article&name=article-middle-east-conflict-from-diplomacy-to-disruption
Middle East tension: Iran fires several missiles toward US base in Qatar; explosions heard across Doha,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world/middle-east/iran-us-tensions-explosions-rock-qatars-capital-doha-airspace-closed/articleshow/122030668.cms
Iran threatens retaliation following U.S. strikes. An expert breaks down Tehran's possible targets. - CBS New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cbsnews.com/news/iran-threatens-retaliation-us-strikes-expert-breaks-down-tehran-possible-targets/
Investors brace for 'unpredictable spillovers' in markets after Trump announces Iran strikes | Morningstar,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rningstar.com/news/marketwatch/20250621200/investors-brace-for-unpredictable-spillovers-in-markets-after-trump-announces-iran-strikes
What would happen to UAE and global energy markets if Iran closed ...,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world/middle-east/what-would-happen-to-uae-and-global-energy-markets-if-iran-closed-the-strait-of-hormuz/articleshow/122025996.cms
Asia-Pacific markets rise after Trump says Israel and Iran agree to ceasefire - NBC Chicago,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nbcchicago.com/news/business/money-report/asia-pacific-markets-set-to-rise-after-trump-says-israel-and-iran-agree-to-ceasefire/3774587/?os=999999.9&ref=app
The Middle East in 2025: Options for the New Administration | Issue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mericafirstpolicy.com/issues/the-middle-east-in-2025-options-for-the-new-administration
What Trump 2.0's Grand Strategy for the Middle East Could Look Like,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jcpa.org/what-trump-2-0s-grand-strategy-for-the-middle-east-could-look-like/
De-escalation of Iran-Israel conflict pushes oil down, aids India bond bull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m.economictimes.com/markets/bonds/de-escalation-of-iran-israel-conflict-pushes-oil-down-aids-india-bond-bulls/articleshow/122038675.cms
Israel-Iran Ceasefire Cools Crude Oil Prices on June 24, 2025 After Brief Spike - Angel One,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ngelone.in/news/israel-iran-ceasefire-cools-crude-oil-prices-on-june-24-2025-after-brief-spike
Asian shares rally after Trump announces Israeli-Iran ceasefire - CTPost,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ctpost.com/news/world/article/asian-shares-rally-after-trump-announces-20390766.php
Oil sells off as traders calmly look beyond the bombs in the Middle East,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apnews.com/article/oil-prices-crude-hormuz-iran-bombing-israel-gas-trump-tehran-c628662e5e3522e23c762a2c591d1580
Oil Prices Plunge 10% on Iran-Israel Ceasefire - AInvest,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invest.com/news/oil-prices-plunge-10-iran-israel-ceasefire-2506/
Crude oil suffers sharp losses -Analysis-24-06-2025 - Economies.com,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economies.com/commodities/oil-analysis/crude-oil-suffers-sharp-losses--analysis-24-06-2025-118989
Rupee Rises to ₹86.11/USD as Crude Falls on Ceasefire - HDFC Sky,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hdfcsky.com/news/rupee-jumps-65-paise-to-rs-86-11-usd-as-crude-oil-prices-tumble-post-ceasefire-signal
Crude oil prices seen stabilising at $65 after Iran-Israel ceasefire: SBI Report,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hindubusinessline.com/markets/commodities/crude-oil-prices-seen-stabilising-at-65-after-iran-israel-ceasefire-sbi-report/article69730549.ece
Oil prices likely to stabilize near $65 as Trump announces Iran-Israel ceasefire: SBI Report,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m.economictimes.com/industry/energy/oil-gas/oil-prices-likely-to-stabilize-near-usd-65-as-trump-announces-iran-israel-ceasefire-sbi-report/articleshow/122037436.cms
Israel and US have chosen war, unleashing fresh economic pain - Responsible Statecraft,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responsiblestatecraft.org/us-strikes-iran-oil/
Asian shares rally after Trump announces Israeli-Iran ceasefire | RiverBender.com,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riverbender.com/topnews/details.cfm?id=485792
A peek into the Fed's oil price shock playbook - Marketplace,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marketplace.org/story/2025/06/18/a-peek-into-the-feds-oil-price-shock-playbook
Stocks falter but avoid sell-off after US strikes on Iranian nuclear sites | The Independent,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independent.co.uk/news/business/goldman-sachs-israel-frankfurt-paris-pmi-b2775350.html
KOSPI Breaks 3100 Mark for First Time in 45 Months - KBS WORLD,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world.kbs.co.kr/service/news_view.htm?lang=e&Seq_Code=194015
Kospi surges past 3,080 on Israel-Iran cease-fire news - Korea JoongAng Daily,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2025-06-24/business/finance/Kospi-surges-past-3080-on-IsraelIran-ceasefire-news/2337233
USD/CAD holds below 1.3750 amid hope for Israel-Iran ceasefire - FXStreet,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fxstreet.com/news/usd-cad-holds-below-13750-amid-hope-for-israel-iran-ceasefire-202506232319
USD to KRW Exchange Rate and Currency Converter - OFX,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ofx.com/en-us/exchange-rates/krw/
Convert Dollars to South Korean Won, USD to KRW Foreign Exchange,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foreignexchange.org.uk/fx-rates/conversion/1/USD/KRW
Daily exchange rates - Bank of Canada,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bankofcanada.ca/rates/exchange/daily-exchange-rates/
Asian shares rally after Trump announces Israeli-Iran ceasefire - The Albertan New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albertan.com/national-business/asian-shares-rally-after-trump-announces-israeli-iran-ceasefire-10853440
Gold Prices Edge Lower: Check Gold and Silver Rates in Your City Today, June 24, 2025,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ngelone.in/news/gold-prices-edge-lower-check-gold-and-silver-rates-in-your-city-today-june-24-2025
GOLD Forecast and XAU/USD Analysis for June 24, 2025 - FOREX24.PRO,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forex24.pro/gold-price-forecast/gold-forecast-and-xau-usd-analysis-for-june-24-2025/
US President Donald Trump announces Israel-Iran ceasefire - Reuters - FXStreet,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fxstreet.com/news/us-president-donald-trump-announces-israel-iran-ceasefire-reuters-202506232243
Strait of Hormuz Under Threat: Global Oil and Freight Shipping Face Mounting Risk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freightcaviar.com/strait-of-hormuz-under-threat-global-oil-and-freight-shipping-face-mounting-risks/
US carrier strike group will embark on scheduled deployment amid Middle East tension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startribune.com/us-carrier-strike-group-will-embark-on-scheduled-deployment-amid-middle-east-tensions/601378230
U.S. Forces in the Middle East: Mapping the Military Presence |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cfr.org/article/us-forces-middle-east-mapping-military-presence
Iran Threatens Hormuz Shutdown as CFOs Brace for Supply Chain Impact | PYMNTS.com,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pymnts.com/news/b2b-payments/2025/iran-threatens-hormuz-shutdown-as-cfos-brace-for-supply-chain-impact/
How Long Can Global Supply Chains Survive a Strait of Hormuz Shutdown — and How Likely Is It? - TRADLINX Blog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blogs.tradlinx.com/how-long-can-global-supply-chains-survive-a-strait-of-hormuz-shutdown-and-how-likely-is-it/
Did Trump Just Upend Decades of U.S. Middle East Policy? - CSI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csis.org/analysis/did-trump-just-upend-decades-us-middle-east-policy
Middle East may turn to Korean defense industry as conflict rage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2025-06-16/national/defense/Middle-East-may-turn-to-Korean-defense-industry-as-conflict-rages/2331235
South Korea's Defense Export Boom: From Middle Power to Global Pivotal State,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defense.info/highlight-of-the-week/south-koreas-defense-export-boom-from-middle-power-to-global-pivotal-state/
South Korea eyes expanded arms sales to Iraq - Defence Blog,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defence-blog.com/south-korea-eyes-expanded-arms-sales-to-iraq/
South Korea targets Middle East and Africa with defense exports at IDEX 2025 - Chosunbiz,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en/en-industry/2025/02/12/6P5A7EJE35EN5KKWYPRZKWHGRA/
South Korea Eyes Defense Export Boost to Iraq Amid Expanding Middle East Strategy,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theasialive.com/south-korea-eyes-defense-export-boost-to-iraq-amid-expanding-middle-east-strategy/2025/04/24/
Milestones: 1989-1992. The Gulf War, 1991 - Office of the Historian,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history.state.gov/milestones/1989-1992/gulf-war
CIAO Case Study: Iraq and the Gulf War: Decision-Making in Baghdad,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ciaotest.cc.columbia.edu/casestudy/gaf01/
History in a Nutshell | The Persian Gulf War | Season 1 | Episode 10 - PB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pbs.org/video/the-persian-gulf-war-czrgdp/
Gulf War | National Army Museum,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nam.ac.uk/explore/gulf-war
Cushing, OK WTI Spot Price FOB (Dollars per Barrel) - EIA,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eia.gov/dnav/pet/hist/rwtcm.htm
S&P 500 Historical Annual Returns - Macrotrend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macrotrends.net/2526/sp-500-historical-annual-returns
Standard and Poor's 500 - SEC.gov,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sec.gov/Archives/edgar/data/357298/000035729801500016/sp500.html
Higher Oil Prices Complicate Monetary Policy - Raymond James - Advisor Perspective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advisorperspectives.com/commentaries/2025/06/18/oil-prices-complicate-monetary-policy
Oil Price Rise, Not Tariffs, Will Cause CPI To Tick Up - RIA - Real Investment Advice,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realinvestmentadvice.com/resources/blog/oil-price-rise-not-tariffs-will-cause-cpi-to-tick-up/
Oil Prices, Monetary Policy and Inflation Surges | Luca Gagliardone,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lucagagliardone.com/wp-content/uploads/2024/07/Oil_Prices__Monetary_Policy_and_Inflation_Surges.pdf
Oil Price Shocks and Inflation - EIA,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eia.gov/finance/markets/reports_presentations/2024/Kilian_slides_EIA2024.pdf
Spike in freight rates likely as Iran moves to close Strait of Hormuz - WorldCargo New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worldcargonews.com/news/2025/06/spike-in-freight-rates-likely-as-iran-moves-to-close-strait-of-hormuz/
A Market Perspective on Israel and Iran's Latest Conflict | Insights - Fisher Investments,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fisherinvestments.com/en-us/insights/market-commentary/a-market-perspective-on-israel-and-irans-latest-conflict
Will the war in Iraq trigger a global economic recession? Here's how Wall Street sees it… - Moomoo, 6월 24, 2025에 액세스, https://www.moomoo.com/news/post/54581967/will-the-war-in-iraq-trigger-a-global-economic-recession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