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23일 월요일

KOSPI & KOSDAQ 시장 분석 및 전략: 지정학적 충격과 국내 정책 모멘텀의 교차로 (2025년 6월 23일)

 



KOSPI & KOSDAQ 시장 분석 및 전략: 지정학적 충격과 국내 정책 모멘텀의 교차로 (2025년 6월 23일)


목차


초록


1. 시장 요약: 지정학적 리스크, 3,000선 돌파 랠리를 위협하다

1.1. 2025년 6월 23일 시장 동향

1.2. 주요 하방 압력: 밤사이 터진 두 개의 악재


2. 거시 경제 환경: 엇갈리는 통화정책과 침체하는 펀더멘털

2.1. 글로벌 통화정책: Fed의 신중론 vs. 한은의 완화

2.2. 국내 경제 펀더멘털: 수출 둔화와 내수 부진

2.3. 환율 및 원자재 시장: 변동성 증폭


3. 한국 증시의 핵심 동력: 정책 모멘텀 재평가

3.1.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성과와 한계

3.2.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기대와 현실


4. 주요 산업별 전망 및 투자 전략

4.1. 반도체: HBM의 영광과 지정학적 그림자

4.2. 2차전지 & 전기차: 캐즘(Chasm) 속 옥석 가리기

4.3. 바이오/헬스케어: 기술수출 랠리의 지속성

4.4. 코스닥 유망 테마: AI 소프트웨어와 로봇


5. 종합 투자 의견 및 전략

5.1. 종합 평가: 상저하고(上低下高) 전망의 균열

5.2. 투자 의견: 중립 (Neutral)

5.3. 포트폴리오 전략: 방어적 성장과 정책 수혜주 중심의 압축


결론


참고 자료



초록


2025년 6월 23일 대한민국 주식시장은 극심한 줄다리기 국면에 처해 있다. 코스피 3,000선 돌파의 원동력이었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기대감 등 강력한 국내 모멘텀이, 미국-이란 간 군사적 긴장 격화 및 반도체 산업의 중국 사업장에 대한 직접적 위협이라는 두 가지 급성 외부 충격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 상충하는 동인들을 심층 분석하고, 섹터별 취약성과 기회 요인을 평가한다. 결론적으로, 지정학적 안개가 걷힐 때까지 신중한 ‘방어적 성장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략을 권고하며, 투자의견 **중립(Neutral)**을 제시한다.


1. 시장 요약: 지정학적 리스크, 3,000선 돌파 랠리를 위협하다



1.1. 2025년 6월 23일 시장 동향


2025년 6월 23일 국내 증시는 밤사이 발생한 대형 악재에 급격히 냉각되었다. 코스피 지수는 개장 초 3,000선이 붕괴되며 출발했으나, 장 후반 개인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낙폭을 일부 만회하며 전일 대비 0.2% 하락한 3,015선에 마감했다.1 반면 성장주 중심의 코스닥 지수는 더 큰 타격을 입어 1.1% 하락한 782선에서 거래를 마쳤다.1

금융시장의 불안은 외환시장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은 개장가 1,375원에서 가파르게 상승하여 장중 1,380원선을 돌파, 종가 기준 1,384.3원까지 치솟았다.3 이는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에 따른 대표적인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다. 수급 측면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400억 원, 8,400억 원 규모의 순매도에 나선 반면, 개인 투자자들이 1조 3,0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순매수로 대응하며 지수 3,000선 방어에 나서는 모습을 보였다.1

이러한 급격한 시장 반전은 최근 외국인 순매수와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코스피가 3년 6개월 만에 3,000선을 돌파하며 축제 분위기를 연출했던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2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가 단 하루 만에 극단적인 낙관에서 비관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날 나타난 개인과 기관/외국인 간의 극명한 수급 대치는 시장 충격 국면의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준다. 개인 투자자들은 최근의 강세장 경험과 ‘저가 매수(Buy the Dip)’ 심리에 기반하여 이번 하락을 매수 기회로 인식했다. 반면,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은 예측 불가능한 지정학적 리스크 앞에서 위험 회피(De-risking)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자본 보존을 위해 신속하게 주식 비중을 줄였다. 코스피가 3,000선이라는 심리적 지지선을 힘겹게 지켜낸 것은 개인의 강력한 매수세 덕분이지만, 외부 리스크가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이러한 방어선의 지속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1.2. 주요 하방 압력: 밤사이 터진 두 개의 악재


시장을 공포로 몰아넣은 것은 주말 사이 발생한 두 가지의 치명적인 악재였다.

첫째,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군사적 충돌로 격화되었다. 미국이 이란의 주요 핵 시설을 공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고, 이에 이란은 보복 공격과 함께 세계 원유 교역의 핵심 통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까지 시사했다.1 이는 단순 대리전이 아닌 주요국 간의 직접적인 군사 충돌로, 과거의 분쟁과는 차원이 다른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둘째, 미-중 기술 전쟁이 한국의 핵심 산업을 직접 겨냥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 장비를 반입할 수 있도록 허용했던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제도의 유예 조치를 철회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10 이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생산 능력과 원가 경쟁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다.

시장은 현재 단일 충격이 아닌, 성격이 다른 두 개의 심각한 위기에 동시에 노출되어 있다. 이란 사태는 유가, 글로벌 위험 선호 심리, 물류에 영향을 미치는 전형적인 지정학적(Geopolitical) 리스크다. 반면, 반도체 장비 규제는 한국 경제의 심장부를 겨냥한 지경학적(Geo-economic) 리스크다. 이 이중 충격은 시장을 두 가지 다른 방향에서 공격하여 안전한 피난처를 찾기 어렵게 만든다. 예를 들어, 이란 사태로 정유·에너지주는 급등했지만 1, 반도체 규제 소식에 기술주와 시장 전반은 하락하며 극심한 시장 내 순환매와 변동성을 야기하고 있다.


2. 거시 경제 환경: 엇갈리는 통화정책과 침체하는 펀더멘털



2.1. 글로벌 통화정책: Fed의 신중론 vs. 한은의 완화


글로벌 통화정책의 방향성은 뚜렷한 탈동조화(Decoupling) 현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2025년 6월까지 4차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4.25~4.50% 수준에서 동결했다.14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와 관세 정책이 야기할 수 있는 인플레이션, 이른바 ‘트럼플레이션(Trumplation)’과 경기 모멘텀 둔화 속 물가 불안이 공존하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16

반면, 한국은행은 국내 경기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 들어 이미 두 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했으며, 지난 5월 기준금리를 2.50%까지 낮췄다.19 이러한 정책적 차이는 각국의 상이한 경제 상황에서 비롯된다. 미국 경제는 둔화 조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플레이션 압력이 잔존하는 반면, 한국 경제는 훨씬 더 가파른 침체 국면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정책의 불일치는 한국은행을 심각한 딜레마에 빠뜨린다. 한은은 부진한 내수와 수출을 살리기 위해 금리를 인하해야 하지만 20, 연준이 매파적 기조를 유지하면서 한-미 금리 격차는 더욱 확대된다. 이는 원화 가치에 구조적인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며 자본 유출 리스크를 키운다. 즉, 내수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금리 인하가 오히려 환율 불안을 심화시켜 금융시장 전반을 위협할 수 있는 정책적 함정에 빠진 것이다. 이는 비기축통화국이 겪는 전형적인 어려움으로, 한은의 향후 정책 운용 폭을 크게 제약하는 요인이다.


2.2. 국내 경제 펀더멘털: 수출 둔화와 내수 부진


한국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은 취약한 국내 경제 펀더멘털을 방증한다. KDI, 현대경제연구원 등 주요 기관들은 ‘통상 여건 악화’를 핵심 이유로 들며 2025년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0.7%~1.0% 수준까지 대폭 하향 조정했다.23 경제의 핵심 엔진인 수출은 2025년 역성장이 예상되며(현대경제연구원 -4.0% 전망), 실제로 1분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24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등 내수 역시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26

최근 코스피 3,000 돌파 랠리는 이러한 부진한 경제 현실보다는 정책 기대감에 의해 주도되었다는 점에서 위험한 괴리가 존재한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이라는 기대감이 외국인 자금 유입을 촉발하며 지수를 끌어올렸지만 6, 경제의 기초체력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괴리는 본질적으로 불안정하며, 6월 23일에 터진 외부 충격은 시장이 그동안 외면해왔던 취약한 펀더멘털을 직시하게 만드는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정책의 꿈’이라는 서사가 붕괴되고 주가가 부진한 경제 전망에 맞춰 하향 재조정될 리스크가 커진 것이다.


2.3. 환율 및 원자재 시장: 변동성 증폭


5월과 6월 초 안정세를 보이던 원/달러 환율은 이번 사태로 1,380원대로 급등했다.4 만약 중동 사태가 악화되어 국제유가가 급등할 경우, 일부에서는 환율이 1,460원에서 1,500원 수준까지 오를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제기된다.1

한편, 2025년 내내 국제유가(WTI 기준)는 배럴당 70달러 초반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왔다. 소폭의 공급 과잉이 예상되어 유가가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31 그러나 미국-이란 간의 군사적 충돌은 이러한 안정적인 유가 환경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

그동안 시장은 안정된 에너지 비용이라는 ‘골디락스’ 환경의 혜택을 누려왔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억제하는 데 긍정적인 요인이었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이 가정은 산산조각 났다. 지속적인 유가 급등은 한국 경제에 삼중고(Triple Blow)를 안겨줄 것이다. 첫째,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절대적인 한국의 생산 비용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킨다. 둘째,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자극하여 연준의 매파적 기조를 강화하고, 이는 달러 강세와 원화 약세로 이어진다. 셋째, 글로벌 소비 심리를 위축시켜 한국의 수출에 추가적인 타격을 준다. 안정적인 유가라는 시장의 버팀목 하나가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3. 한국 증시의 핵심 동력: 정책 모멘텀 재평가



3.1.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성과와 한계


지난 1년간 추진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한국 증시의 체질을 바꾸는 실질적인 성과를 보여주었다. 코스피 시가총액의 약 50%에 달하는 153개 기업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34, 이는 2024년 역대 최대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이라는 가시적인 주주환원 확대로 이어졌다.34 지난 5월에는 KB금융, HD현대일렉트릭, SK하이닉스 등 10개사가 ‘밸류업 우수기업’으로 선정되며 정책의 모범 사례를 제시했다.38 이는 저PBR 업종의 재평가와 외국인 자금 유입의 핵심 동력이었다.

표 1: 2025년 밸류업 프로그램 우수기업 및 주주환원 정책 요약

회사명

시상 등급

주요 밸류업 계획 하이라이트

2024-25년 주요 주주환원 활동

KB금융

경제부총리상

중장기 자기자본이익률(ROE) 목표 제시, 배당성향 점진적 상향

분기배당 정례화, 대규모 자사주 매입 및 소각

HD현대일렉트릭

경제부총리상

성장 전략과 연계된 투자 계획 및 주주환원 정책 발표

배당 확대 및 자사주 소각

메리츠금융지주

금융위원장상

'주주환원율 50%' 원칙 유지, 적극적 자사주 소각

포괄적 주식 교환, 주주환원율 50% 정책 이행

삼양식품

금융위원장상

해외 성장 기반 수익성 개선 및 주주가치 제고

배당 확대 정책 발표

케이티앤지

금융위원장상

3개년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 발표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중장기 계획에 따른 자사주 매입 진행

SK하이닉스

거래소 이사장상

주주 및 시장과의 소통 강화, 기업가치 제고 노력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 및 계획 공시

자료: 한국거래소, 각사 공시자료 35





이처럼 밸류업 프로그램은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환원 확대라는 구조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진정한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기반은 아직 취약하다. 첫째, 일본 모델과 달리 참여가 자율에 맡겨져 있고 미이행에 대한 페널티가 없어 강제성이 부족하다.41 둘째, 프로그램의 성공은 지속적인 정부의 정책 의지와 투자자들의 압력에 크게 의존한다. 현재와 같은 외부 충격은 기업과 투자자의 관심을 장기적인 가치 제고에서 단기적인 위기 대응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강력한 순풍이지만, 지정학적 허리케인에 맞서기에는 그 힘이 부족할 수 있다.


3.2.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기대와 현실


시장의 또 다른 핵심 모멘텀은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여부다. 관련 결과는 6월 25일(한국 시간) 발표될 예정이며 2, 선진국으로 승격되기 위해서는 최소 1년간 ‘관찰대상국(Watch List)’에 등재되어야 한다.44 정부는 그동안 외환시장 선진화, 공매도 제도 개선 등 MSCI가 요구해온 시장 접근성 개선 조치를 적극적으로 이행해왔다.45 편입 시 순유입될 자금 규모는 적게는 50억 달러에서 많게는 7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46

MSCI 편입 결정은 시장에 매우 중요한 이분법적 사건(Binary Event)이며, 현재 그 리스크는 비대칭적이다. 시장은 정부의 노력과 일부 투자은행들의 긍정적 보고서에 힘입어 관찰대상국 등재라는 긍정적 결과를 상당 부분 선반영해왔다.6 만약 관찰대상국에 등재되더라도 이는 수년에 걸친 과정의 첫 단계에 불과하므로 시장의 추가 상승은 제한적일 수 있다.

반면, 등재에 실패할 경우의 실망감은 매우 클 것이다. 이는 정부의 자본시장 선진화 노력의 실패로 비춰지며 ‘코리아 프리미엄’ 서사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 특히 이 기대감으로 상승했던 금융주를 중심으로 상당한 매물 출회가 예상된다. 이미 지정학적 충격으로 투자 심리가 극도로 취약해진 상황에서 MSCI의 부정적 결정은 시장을 무너뜨리는 마지막 지푸라기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6월 25일 발표는 잠재적 보상보다 실망에 따른 리스크가 훨씬 큰 상황이다.


4. 주요 산업별 전망 및 투자 전략



4.1. 반도체: HBM의 영광과 지정학적 그림자


AI 혁명은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를 이끌고 있으며, 2025년 수요는 2024년의 두 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50 SK하이닉스가 시장을 선도하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AMD 납품 확정 및 엔비디아 인증 추진 등으로 맹렬히 추격하고 있으며, 마이크론 역시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며(2024년 5% → 2025년 20% 전망)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51

표 2: 글로벌 HBM 시장 점유율 전망 (2024-2025년)

회사명

2024년 점유율(%)

2025년 예상 점유율(%)

강점 / 약점

SK하이닉스

~50-55%

~45-50%

HBM3/3E 시장 선점, 기술 리더십 / 후발주자 추격

삼성전자

~35-40%

~30-35%

압도적 생산능력(CAPA), 1c D램 등 차세대 기술 / HBM3E 시장 진입 지연

마이크론

~5%

~20%

HBM3E 엔비디아 공급 성공, 빠른 점유율 확대 /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 규모

자료: TrendForce, 증권사 리포트 종합 52





하지만 이러한 화려한 성장 스토리의 이면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존재한다. 바로 미국 정부의 중국 공장 장비 반입 규제 리스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은 전체 낸드플래시와 레거시 D램 생산에서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0 투자자들은 이제 동일 섹터 내에서 완전히 다른 두 가지 서사를 마주하게 되었다. HBM은 고부가가치 성장 스토리를, 중국 공장은 저마진이지만 생산 기반을 위협하는 지정학적 리스크를 상징한다. 적절한 기업가치 평가는 HBM이 주는 프리미엄에서 중국 리스크에 따른 페널티를 차감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중국 공장의 생산 차질에 따른 이익 감소분이 HBM의 이익 증가분을 상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4.2. 2차전지 & 전기차: 캐즘(Chasm) 속 옥석 가리기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기를 지나 성장률이 둔화되는 ‘캐즘(Chasm, 일시적 수요 정체)’ 구간에 진입했다.55 2023년 33.5%에 달했던 성장률은 2024년 16.6%로 둔화될 전망이며, 2025년 역시 비슷한 수준의 성장이 예상된다.56 성장의 중심은 중국이며, 유럽 시장은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CATL 등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점유율이 1%에서 38%까지 급증하며 한국 업체들을 위협하고 있다.55 여기에 트럼프 재집권 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정책의 불확실성까지 더해져 전반적인 투자 환경은 비우호적이다.58

과거 고성장 국면에서는 섹터 전체가 동반 상승하는 ‘묻지마 투자’가 유효했지만, 이제는 ‘승자독식’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 험난한 시기를 극복하고 승자가 될 기업은 첫째, LFP 대비 고성능인 하이니켈, 실리콘 음극재,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등 뚜렷한 기술적 우위를 통해 가격 경쟁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업 58, 둘째, IRA 정책 변화에도 상대적으로 안전한 북미 공급망 내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기업 58, 셋째, 특정 완성차 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고객사를 다변화한 기업이다. 한편, 장기간 하락했던 리튬, 니켈 등 핵심 광물 가격이 2025년을 기점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제기되는데 60, 이는 원가 부담을 고객에게 전가하기 어려운 셀 제조업체에게는 부담으로, 소재 기업에게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4.3. 바이오/헬스케어: 기술수출 랠리의 지속성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K-바이오 산업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25년 상반기(6월 기준) 기술수출 계약 규모는 총 10조 원을 돌파하며 이미 2024년 연간 실적을 훌쩍 뛰어넘었다.62 특히 에이비엘바이오(GSK에 4.1조 원), 알테오젠(아스트라제네카에 1.9조 원), 알지노믹스(일라이 릴리에 1.9조 원) 등이 체결한 대규모 계약은 단일 신약 후보물질이 아닌 항체-약물 접합체(ADC), RNA, 뇌혈관장벽(BBB) 셔틀 등 다양한 신약에 적용 가능한 ‘플랫폼 기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63

이러한 변화는 K-바이오 산업이 ‘고위험 고수익’의 벤처 단계를 넘어 ‘방어적 성장주’ 섹터로 성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플랫폼 기술 계약은 단일 파이프라인의 성공 여부에 따라 명운이 갈리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후속 제품에서 지속적인 마일스톤과 로열티 수입을 기대할 수 있어 훨씬 안정적이다. 이는 글로벌 빅파마들이 한국 바이오 기업의 기술력을 일회성 ‘복권’이 아닌, 복권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내는 ‘인쇄기’로 인정한 것과 같다. 경기 변동에 둔감한 헬스케어 산업의 특성과 맞물려, 바이오 섹터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흔들리는 시장에서 매력적인 피난처가 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4.4. 코스닥 유망 테마: AI 소프트웨어와 로봇


코스닥 시장에서는 AI 소프트웨어와 로봇이 장기적인 성장 테마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가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1조 8,000억 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하는 등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고 있으며 67, 오픈AI의 로봇 개발 착수 소식은 관련 테마에 대한 투자 심리를 다시 한번 불붙였다.68

과거 한국의 기술력이 반도체, 로봇 등 하드웨어에 집중되었다면, 코스닥의 다음 성장 동력은 소프트웨어와 통합 AI 플랫폼에서 나올 가능성이 높다. 네이버(NAVER)처럼 핵심 서비스에 AI를 접목하는 대형 플랫폼 기업은 물론 69, 특정 산업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강소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로봇 산업 역시 하드웨어 자체보다는 로봇을 제어하고 학습시키는 AI 모델과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가치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68 이러한 테마들은 단기적인 지정학적 충격에는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지만, 구조적인 성장성을 바탕으로 장기 투자자들에게 시장 조정 시 분할 매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5. 종합 투자 의견 및 전략



5.1. 종합 평가: 상저하고(上低下高) 전망의 균열


2025년 증시에 대한 연초의 지배적인 전망은 ‘상저하고(상반기 부진, 하반기 강세)’였다.71 이는 하반기 글로벌 경기 회복과 주요국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전제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6월 23일 발생한 외부 충격은 이 시나리오의 근간을 흔들었다. 지정학적 리스크는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성격이며,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직접적인 타격은 한국의 핵심 수출 동력에 제동을 건다.

기존의 ‘하반기 회복’ 서사는 이제 ‘하반기 불확실성’으로 대체되었다. 유가 상승발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한 연준의 매파적 기조 유지, 반도체 섹터의 실적 악화, 지속적인 글로벌 위험 회피 심리 등은 강력한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다. 밸류업 프로그램과 MSCI 편입 기대감이라는 국내 순풍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훨씬 더 거세진 역풍과 싸워야 하는 형국이다. 하반기 증시가 횡보하거나 오히려 하락할 가능성이 이전보다 현저히 높아졌다.


5.2. 투자 의견: 중립 (Neutral)


시장에 대한 종합적인 투자의견은 **중립(Neutral)**이다.

  • 매수(Buy) 주장 근거: 밸류업 프로그램이 기업의 체질 개선과 주주환원 확대라는 구조적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34, 저PBR 종목들의 밸류에이션 매력은 여전하다.72 6월 25일 MSCI의 긍정적 결정은 강력한 투자 심리 개선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개인 투자자들의 풍부한 유동성은 지수의 하방을 지지하고 있다.1

  • 매도(Sell) 주장 근거: 미국-이란 충돌과 미-중 기술 전쟁 격화라는 이중 충격으로 외부 환경이 극적으로 악화되었다.1 이는 한국 경제와 핵심 산업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며, 외국인 자금의 급격한 이탈 리스크를 높인다. 취약한 국내 경제 펀더멘털 역시 부담이다.23

  • 결론: 강력한 국내 정책 모멘텀과 심각한 외부 리스크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섣부른 방향성 베팅은 위험하다. 불확실성이 너무 높아 ‘매수’를 추천하기 어렵고, 동시에 구조적 개선과 밸류에이션 지지력을 고려할 때 전면적인 ‘매도’를 주장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현시점에서는 중립 의견이 가장 합리적인 판단이다.


5.3. 포트폴리오 전략: 방어적 성장과 정책 수혜주 중심의 압축


불확실성이 높은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포트폴리오 전략을 제안한다.

  1. 방어적 성장주 비중 확대(Overweight): 글로벌 교역 및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노출이 적고, 비경기적 수요를 기반으로 구조적 성장이 가능한 섹터에 대한 비중을 늘려야 한다. 검증된 플랫폼 기술 수출을 바탕으로 성숙기에 접어든 바이오/헬스케어 섹터가 최적의 대안이다.62

  2. 정책 수혜주 선별적 비중 확대(Selective Overweight):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 수혜주, 특히 구체적인 주주환원 계획을 발표한 선도 금융지주 및 저PBR 기업에 대한 노출은 유지한다.38 다만, MSCI 발표 전후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야 한다.

  3. 반도체 중립(Neutral-weight), HBM 선도주 중심: HBM 성장성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공존하는 반도체 섹터는 중립 비중을 유지하되, 섹터 내에서는 HBM 경쟁에서 명확한 우위를 보이는 기업(예: SK하이닉스)을 선호한다. 동시에 중국 공장 리스크에 대한 평가도 병행해야 한다.10

  4. 경기민감주 및 수출주 비중 축소(Underweight): 글로벌 경기 사이클과 무역 분쟁에 민감한 석유화학, 철강 등과 같은 경기민감주는 비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 업종 역시 글로벌 수요 둔화와 관세 전쟁의 영향권에 놓일 수 있다.74

  5. 코스닥 장기 성장 테마 분할 매수: 장기 투자 관점에서 시장 약세를 이용해 양질의 AI 소프트웨어 및 로봇 관련 기업에 대한 비중을 점진적으로 축적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이는 구조적 성장 트렌드에 투자하는 것이다.68


결론


대한민국 주식시장은 위태로운 변곡점에 서 있다. 코스피 3,000선 돌파를 이끌었던 밸류업 프로그램과 MSCI 편입 기대감이라는 국내의 견고한 기둥 위에 세워진 낙관론이, 미국-이란 간 군사 충돌과 반도체 산업을 겨냥한 지정학적 위협이라는 외부의 거대한 충격파에 의해 격렬하게 흔들리고 있다. 이로 인해 시장의 지배적인 전망이었던 ‘상저하고’ 시나리오는 근본적인 도전에 직면했다. 국내의 개혁 동력이 시장의 중요한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외부에서 불어오는 역풍의 강도를 고려할 때 단기적인 추가 상승은 어려워 보인다. 본 보고서의 중립(Neutral) 투자의견은 이러한 팽팽한 균형 상태를 반영한다. 투자자들은 지정학적, 지경학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며, 바이오/헬스케어와 같은 안정적인 성장주와 장기적인 정책 수혜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압축하고, 글로벌 경기에 민감한 순환주에 대해서는 극도의 신중함을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참고 자료

  1. sk하이닉스 : 뉴스 : 검색 - SBS,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m.sbs.co.kr/search/allSearchList.do?collection=nnews&ex=en&sort=DATE&query=sk%ED%95%98%EC%9D%B4%EB%8B%89%EC%8A%A4

  2. [주간증시전망] 마침내 '3000피'… MSCI 관찰대상국 재지정 주목 - 조선일보,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6/22/HMKQCF5WPW7TONK2QB3BORXPDM/

  3. 원/달러 환율, 美 이란 공습에 급등…1377.8원 - 연합뉴스,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3030100002

  4. [외환] 원/달러 환율 18.7원 오른 1,384.3원(15:30 종가) | 연합뉴스,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3113500002?section=economy/finance

  5. 기간별환율조회 - 우리은행,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spot.wooribank.com/pot/Dream?withyou=CMCOM0185

  6. 외국인 이달만 5조 쓸어담아... 코스피, 세계 증시서 '나홀로 질주' - 조선일보,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6/20/DWHXJZS7YNBDPETY6AKYU666VI/

  7. Iran weighs retaliation for U.S. strikes as Trump raises idea of regime change - News5,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news.tv5.com.ph/breaking/read/iran-weighs-retaliation-for-u-s-strikes-as-trump-raises-idea-of-regime-change

  8. Iran Israel War Live Updates: Paris, Berlin, London urge Iran to refrain from 'action that could destabilise the region' - The Economic Times,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m.economictimes.com/news/newsblogs/israel-iran-conflict-trump-says-after-strikes-iran-must-now-agree-to-end-this-war-with-israel/liveblog/122000575.cms

  9. 트럼프 리스크 : 뉴스 : 검색 - SBS,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m.sbs.co.kr/search/allSearchList.do?collection=nnews&ex=sn&sort=DATE&query=%ED%8A%B8%EB%9F%BC%ED%94%84%20%EB%A6%AC%EC%8A%A4%ED%81%AC

  10. Samsung, SK hynix on edge over US chip waiver rollback - The Korea Herald,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m.koreaherald.com/article/10515681

  11. U.S. May Restrict Equipment Shipments to Samsung, SK hynix's ...,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5255

  12.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stocks drop amid U.S. semiconductor supply restrictions,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en/en-finance/2025/06/23/7SQMQUXANVG6VAMOGAPT4Q2PMQ/

  13. Seoul on edge as US considers revoking chip equipment waivers,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nglish/industry-en/2025/06/23/QN2HHYE6RZFJNPY25GXZYKEKSM/

  14. 미국 연방기금 금리 | 1971-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 경제 지표,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interest-rate

  15. 연준 금리 동결, 2025년 2회 금리 인하 전망 유지 - 경제 지표,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interest-rate/news/452023

  16. 2025년 3월 연준 FOMC는 현재 기준금리 수준인 4.25~4.50%를 유지하기로 했다. 2회 연속,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bondweb.co.kr/_research/downloadPage.asp?number=837223&gn=1

  17. 2025년 미국 경제 전망 - KCIF 국제금융센터 - 핫이슈,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kcif.or.kr/hotissue/hotissueView?rpt_no=35254&hot_no=52

  18. 美연준, 신중한 금리정책 지속…연준 내부선 '전망 양분' - 한국무역협회,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kita.net/board/totalTradeNews/totalTradeNewsDetail.do;JSESSIONID_KITA=50AA298B79EB910AE323F84439F06EDD.Hyper?no=92703&siteId=2

  19. ko.tradingeconomics.com,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south-korea/interest-rate#:~:text=%EC%A0%84%EB%A7%9D%20%ED%95%98%ED%96%A5%20%EC%A1%B0%EC%A0%95-,%ED%95%9C%EA%B5%AD%EC%9D%80%ED%96%89(BoK)%EC%9D%80%202025%EB%85%84%205%EC%9B%94%20%ED%9A%8C%EC%9D%98%EC%97%90%EC%84%9C,%EC%88%98%EC%B6%95%ED%95%A8%EC%97%90%20%EB%94%B0%EB%9D%BC%20%EC%9D%B4%EB%A3%A8%EC%96%B4%EC%A1%8C%EB%8B%A4.

  20. 한국 이자율 | 1999-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 경제 지표,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south-korea/interest-rate

  21. 2025년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 단순한 '완화'가 아니다 - 뱅크몰,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bank-mall.co.kr/plus/blog/12067

  22. [속보] 한은, 기준금리 연 2.75% 동결 /2025년 4월 17일(목)/KBS - YouTube,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hkqx5828_xI

  23. KDI 경제전망, 2025 상반기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kdi.re.kr/research/economy

  24. 2025년 한국 경제 전망(수정) - 현대경제연구원,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hri.co.kr/upload/board/2887055909_vDf0PB9V_20250507061207.pdf

  25. 2025년 1분기 수출 실적 평가 및 2분기 전망 | 국내연구자료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4820&pg=&pp=&issus=M

  26. KDI 경제전망 수정(2025. 2) - 정책브리핑,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156673779

  27. KDI의 2025년 경제전망 1.6%. 내수시장 침체는 어디까지 가는가? KDI는 금리인하를 요구하고, 한국은행은 추경을 추천하는데.... [즉시분석] - YouTube,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1rI-Thq0NTU

  28. 2025년 미국 금리 동결 전망과 원화 환율 영향 분석 | EBC Financial Group,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ebc.com/kr/forex/232760.html

  29. 평균 환율도 역대급…"최소 2025년 9월까지 상승세 전망" - 노컷뉴스,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nocutnews.co.kr/news/6269821

  30. [이슈] 관세 전쟁 다음은 환율 전쟁!/원화 '폭망' 비상...IMF 외환 위기 오나?/원-달러 환율 곧 1,500원대 전망/2025년 4월 9일(수)/KBS - YouTube,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T5NNHBkmMfo

  31. 국제유가, 60달러대 재진입 어렵다 - 현대경제연구원,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hri.co.kr/upload/board/2887056041_V8mMW5bG_20250304050552.pdf

  32. 2025년 WTI 유가, 60달러 밑돌 전망…은행권 “공급 증가·수요 정체” - 투데이에너지,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84160

  33. “국제유가, 점진적 하락 전망… WTI, 배럴당 55~70달러” - 조선일보,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4/18/O3RRAVCRAQO25UDF2AHEIRMGGA/

  34. '1주년' 맞은 밸류업 프로그램 … 정은보 “코리아 프리미엄 도약할 것” - 뉴데일리 경제,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5/27/2025052700354.html

  35. 밸류업 우수기업에 HD현대일렉·KB금융 등 10곳… 거래소 “정책 지속돼야” - 조선일보,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5/27/6NSNJQMCYJ25U6GNXLI7HYC7LU/

  36. 한국 증시의 전환점, 배당에서 답을 찾다 - Barings,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barings.com/ko-kr/individual/perspectives/viewpoints/dividends-drive-korea-shift

  37. 거버넌스, 너 뭐 돼,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money2.daishin.com/PDF/Out/intranet_data/product/researchcenter/report/2025/05/53638_esg_governance1.pdf

  38. 밸류업 우수기업 - 상장공시시스템(KIND),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kind.krx.co.kr/valueup/excntcorp.do?method=valueupExcntCorpMain

  39. 삼양식품, '2025 밸류업 우수기업' 금융위원장상 수상 - 직썰,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ziksir.com/news/articleView.html?idxno=92250

  40.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준비 – 8. 밸류업 우수기업 선정기준(안) 발표 - 법무법인 세종,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shinkim.com/kor/media/newsletter/2735;shinkimfront=4A40D9A6003640444B9B5795A608FBAA

  41. KOREA Sustainability 기업 밸류업 선결과제와 장기과제 > 글로벌 핫이슈 - 미래에셋증권 웹진,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ebzine.securities.miraeasset.com/bbs/board.php?bo_table=MD21&wr_id=241

  42. [NEWS]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하반기 본격 시행 예정 - 네이버블로그,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aceetf/223365710841

  43. “8월 MSCI 베팅 지금부터”… 편입 예상 종목은 - 조선일보,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6/21/NBHZEX25UECT4WXPEDAZVQYG2M/

  44. 2025년 MSCI 분기리뷰 리밸런싱 일정, 선진국 편입 가능성은? - Naver Blog,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totoro3123/223747927493

  45. 살아나는 코스피, 내친김에 'MSCI 선진 지수' 편입될까 - 문화일보,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munhwa.com/article/11512326

  46. 한국증시, MSCI 선진국 편입 재시동···관찰대상국 등재 기대감 - 서울파이낸스,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560444

  47.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의 효과, 선결과제 및 시사점 - 자본시장연구원,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kcmi.re.kr/common/downloadw?fid=25410&fgu=002002&fty=004003

  48. 韓, MSCI 관찰대상국 재진입 '도전'…증시엔 벌써 자금 '선반영' - 메트로신문,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618500342

  49. "한국 MSCI 선진지수 편입 가능성 높아져", 이재명 정책과 상법 개정안에 해외언론 주목,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9426

  50. AI 활황으로 서버용 메모리 수요 넘쳐…내년 공급 부족할 수도 - 한국경제,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92605201

  51. 삼성전자, 하반기 반도체 전략 수립 착수…HBM·美 투자 돌파구 '절실' - 지디넷코리아,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zdnet.co.kr/view/?no=20250617233113

  52. '메모리 반도체 풍향계' 마이크론, 'HBM 꼴찌의 반란' 숫자로 증명한다 - Chosun Biz,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5/06/23/LQSA2TYW65C7BIPQEYJVGBB7GQ/

  53. 하반기 전략회의 마친 삼성전자…'HBM·파운드리' 살리기 총력 - 연합뉴스,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0144000003

  54. [25년] 반도체 산업 수준 전망 (feat. 한국수출입은행) : 네이버 블로그,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ghdtjr1212/223715381360

  55. 2025 연간 전망 2차전지(NEUTRAL): 난항, 2차전지 - YouTube,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OwKuHuMv9Rg

  56. 올해 전세계 전기차 시장 16.4백만대-전년대비 16.6% 성장전망 - SNE리서치,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sneresearch.com/kr/insight/release_view/246/page/0?

  57. [2025년 하반기 전망] 이차전지편 : 美 전기차 수요 둔화 속 기회는? - YouTube,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cyxByHQuipw

  58. 이차전지 2025년 연간 전망: 확증편향의 함정(2) : 네이버 블로그,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kiwoomhero/223680746443

  59. 니켈 시장 : 형태별, 용도별 - 세계 예측(2025-2030년),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giikorea.co.kr/report/ires1594496-nickel-market-by-form-nickel-alloys-wrought-nickel.html

  60. 2025년 니켈 가격: 인도네시아의 40% 공급 감축 계획과 EV 시장 변화 - 네이버 블로그,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tama2020&logNo=223721868691

  61. 25년 비철전망-니켈] 공급 과잉 전망의 하향 조정 - 스틸프라이스,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www.steelprice.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443

  62. [2025 상반기 결산 ③] 올해 벌써 8.6조 원 기술수출 달성한 K-바이오, '10조 원 돌파' 임박,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70

  63. 제약바이오 올해 기술수출 '신기록' 쓸까···마일스톤 수확도 착착 - 메디칼업저버,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4650

  64. K바이오 기술수출 10조원 돌파, 글로벌 러브콜 쇄도,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kspost.biz/news/articleView.html?idxno=1113

  65. 2025 바이오산업 전망 K바이오 핫이슈 - 한국바이오협회,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bio.org/board/board.php?bo_table=report&idx=447

  66. 기술 수출 9년치 보니 리가켐 1위...바이오벤처가 절반 넘어 '주도',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579

  67. [보고서] 2025 반도체산업 기술개발 동향 및 시장전망 (Ⅰ, Ⅱ 세트) - Naver Blog,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es760/223862321042?viewType=pc

  68. 로봇주 2025년 주도 업종 급부상 - 한국경제TV,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412300236

  69. [2025년 최신] AI 관련주 & 테마주 32종목 총정리 - 알파스퀘어,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alphasquare.co.kr/home/theme-factor?theme-id=67

  70. 2025년 상반기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자금 조달 폭발적 성장,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0547

  71. [2025 증시전망] 불확실성 크지만 '상저하고'…코스피 2,250~3,200 예상 | 연합뉴스,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1230030300008

  72. 2025년 3월 한국 주식시장 전망과 전략 - 수급 주도 주체의 변화 - 삼성증권,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samsungpop.com/common.do?cmd=down&saveKey=research.pdf&fileName=1010/2025022809340223K_02_02.pdf

  73. 은행주, 규제 우려 속에서도 외국인 매수세 지속…밸류업 모멘텀 유지 - 글로벌에픽,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globalepic.co.kr/view.php?ud=2025062315522527345ebfd494dd_29

  74. [마켓칼럼] 美와 큰 격차 보인 韓증시…그러나 2025년은 다르다 - 한국경제,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21814i

  75. 6월 들어 대미 수출 4.3% '깜짝 증가'...반도체는 51.6% 늘어 - 미주중앙일보, 6월 23,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daily.com/article/2025062300264053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5년 6월 27일 주식시장 분석 - 외국인 매도세 속 숨은 기회와 위기 요인 심층 분석

  25년 6월 27일 주식시장 분석 - 외국인 매도세 속 숨은 기회와 위기 요인 심층 분석 2025년 6월 27일 주식시장 분석 목차 초록 (Abstract) I. 2025년 6월 27일 시장 종합 분석 (Market Overview: June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