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6월 26일 주식시장 분석 - 대한민국 증시 전략 보고서: 정책 지원과 외부 불확실성의 교차점
목차
초록
1. 2025년 6월 26일 시장 종합 및 투자 전략
1.1. 시장 동향: 차익 실현 압력 속 지수 하락
1.2. 수급 분석: 외국인 및 기관 중심의 매도세
1.3. 종합 투자 전략: '중립' 의견 속 선별적 접근 유효
2. 거시 경제 및 정책 환경 심층 분석
2.1. 대한민국 정부 재정정책: '민생 안정'과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확장 재정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과 영향 분석
2.2. 한국은행 통화정책: 경기 부양과 금융 안정 사이의 딜레마
금융안정회의 주요 결과 및 잠재 리스크 점검
공개시장운영 개편의 의미와 시장 유동성 전망
2.3. 글로벌 경제 동향: 미국 경기 둔화 신호와 아시아의 미온적 회복
3. 주요 산업 및 테마 분석
3.1. K-방산: 구조적 성장 사이클 진입
3.2. K-뷰티: 비(非)중국 시장 개척의 성과 가시화
3.3. 금융: 밸류업 프로그램의 최대 수혜주
3.4. 여행/레저: 견조한 수요 회복세 지속
4. 개별 기업 분석 및 투자의견
4.1. 대한민국 주요 기업
4.2. 주요 해외 기업 동향 및 시사점
결론
참고 자료
초록
2025년 6월 26일 대한민국 주식시장은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하락 마감했다. 특히 미국 주택 지표 부진 등 경기 둔화 신호가 감지되면서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 중심의 매도세가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현재 국내 증시는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확장 정책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그리고 한국은행의 완화적 통화 기조라는 강력한 내부 부양 요인과, 미국의 경기 둔화 가능성 및 한국은행 스스로 경고하는 금융 불균형 리스크라는 외부 및 내부 제약 요인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복합적인 국면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상충된 신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시장 전반에 대한 투자의견은 '중립(Neutral)'을 제시한다. 지수 전체의 방향성에 베팅하기보다는, 명확한 정책적 수혜가 기대되거나 구조적 성장 동력을 확보한 특정 테마와 업종에 선별적으로 집중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정학적 리스크의 구조적 수혜가 예상되는 방산, 비(非)중국 시장으로의 성공적 확장을 증명하고 있는 뷰티, 그리고 밸류업 프로그램의 최대 수혜주로 부상한 금융 업종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유지한다.
1. 2025년 6월 26일 시장 종합 및 투자 전략
1.1. 시장 동향: 차익 실현 압력 속 지수 하락
2025년 6월 26일, 대한민국 증시는 3거래일 만에 하락세로 전환하며 숨 고르기 장세를 보였다. 코스피(KOSPI)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8.69포인트(0.92%) 하락한 3,079.56으로 장을 마감했으며, 장중 3,100선이 붕괴되는 모습을 보였다.1 코스닥(KOSDAQ) 지수 역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전일 대비 10.26포인트(1.29%) 내린 787.95에 마감했다.4
이날 시장의 움직임은 전형적인 '차익 실현(profit-taking)' 장세의 특징을 보였다.5 오전 장에서는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 합의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기대감에 코스피가 1.55% 급등 출발하고, 원/달러 환율이 15원 이상 급락하는 등 긍정적인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7 그러나 최근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감과 미국에서 발표된 부정적인 경제 지표가 투자 심리를 압박하면서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하락으로 마감했다. 이는 시장이 패닉에 의한 투매보다는, 과열된 심리를 진정시키고 이익을 확정하려는 합리적인 매도 압력이 우세했음을 시사한다.
표 1: 2025년 6월 26일 KOSPI/KOSDAQ 주요 지수 현황
1.2. 수급 분석: 외국인 및 기관 중심의 매도세
이날 지수 하락은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동반 매도세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4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합산하여 약 8,000억 원 규모의 순매도를 기록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3 이러한 매도세는 최근 증시 상승을 이끌었던 주체들이 글로벌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이 부각되자 선제적으로 위험 관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순매수 기조를 보이며 하방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 언론에서는 "개미가 살렸다"는 표현을 사용할 정도로 개인의 매수세가 지수의 추가적인 급락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다.6 이처럼 투자 주체별 수급이 명확하게 엇갈리는 현상은 시장의 단기 변곡점에 대한 시각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글로벌 매크로 변수에 민감한 외국인과 기관은 이익을 실현하며 리스크를 줄이는 반면, 국내 유동성과 시장 모멘텀에 더 집중하는 개인 투자자들은 조정 시점을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수급 구도는 당분간 시장이 방향성을 탐색하며 변동성 장세를 이어갈 가능성을 높인다.
표 2: 2025년 6월 26일 투자 주체별 순매매 동향 (KOSPI, 억원)
주: 추정치이며, 실제 집계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기관은 금융투자, 보험, 투신, 연기금 등을 포함.
1.3. 종합 투자 전략: '중립' 의견 속 선별적 접근 유효
현재 시장 상황은 강력한 내부 정책 지원과 점증하는 외부 리스크가 충돌하는 복잡한 양상이다. 이에 따라 시장 전체에 대한 투자 의견으로 **'중립(Neutral)'**을 제시한다. 지수 추종형 패시브 투자 전략의 매력은 단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초과 수익(Alpha) 창출을 위해서는 거시 경제 흐름과 상관관계가 낮거나 명확한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특정 테마와 종목을 선별하는 액티브 전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최근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는 시장 붕괴를 우려한 '패닉 셀링(Panic Selling)'이 아닌, 합리적인 판단에 근거한 '이성적 위험 축소(Rational De-risking)' 과정으로 해석해야 한다. 그 배경을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은 최근까지 뚜렷한 상승세를 보여왔다.5 둘째, 미국 주택시장 급랭과 같은 부정적인 외부 경제 지표가 새롭게 등장했다.8 셋째, 글로벌 거시 경제 동향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들은 이러한 신호를 이익 실현의 촉매제로 활용하여, 높아진 외부 위험 프리미엄에 대응해 선제적으로 포트폴리오 비중을 조절한 것이다.3 넷째,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정부의 부양 의지와 같은 국내 요인에 더 큰 비중을 두며 조정 국면을 저가 매수의 기회로 인식했다.6 결론적으로, 이는 한국 자산 시장으로부터의 전면적인 자금 이탈이 아니라, 새로운 부정적 정보에 직면하여 계산된 위험 관리 행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시장의 하방은 국내 정책 기대로 인해 어느 정도 지지되겠지만, 상승 동력은 외부 변수로 인해 제약받는 박스권 장세가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2. 거시 경제 및 정책 환경 심층 분석
2.1. 대한민국 정부 재정정책: '민생 안정'과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확장 재정
2025년 대한민국 정부의 경제 정책 방향은 명백한 확장 기조를 띠고 있다. 정부는 '민생경제 회복', '대외신인도 관리', '산업경쟁력 강화'라는 세 가지 큰 틀 아래 적극적인 재정 운용을 예고했다.10 구체적으로는 서민 생계비 부담 경감을 위해 11.6조 원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여 물가 안정을 도모하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통해 내수 진작을 꾀하고 있다.11 또한, 소상공인, 청년, 고령층 등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지원책을 강화하고 있다.11 정부는 이러한 정책이 담긴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을 통해 2025년 경제성장률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12
이러한 재정 정책의 또 다른 한 축은 미래 성장 동력 확보다. 정부는 반도체 생태계 지원 가속화, 이차전지 산업의 IRA 불확실성 대응, K-방산 수출 펀드 조성 등 첨단 전략 산업 육성에 재정적, 정책적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11 이는 수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10, 내수 활성화와 미래 산업 경쟁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는 다각적인 전략으로 평가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감세 및 규제 완화 중심의 정책이 아직 뚜렷한 경기 회복을 이끌지 못했다는 비판과 함께, 가계의 가처분소득을 직접적으로 늘리는 더 과감한 재정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14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과 영향 분석
정부의 성장 동력 확보 전략 중 자본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것은 단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핵심인 '코리아 밸류업 지수'는 2025년 6월 정기 변경을 통해 본격적인 옥석 가리기에 나섰다. 이번 리밸런싱에서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성실히 공시한 기업들이 대거 신규 편입된 반면, 소극적인 기업들은 편출되었다.15 특히 '밸류업 표창기업'으로 선정될 경우 특례 편입의 기회를 부여하는 등 16,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구조가 구체화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가장 큰 수혜 업종은 금융이다. KB금융과 같은 선도적인 금융지주사들은 업계 최초로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정례화하고 배당을 확대하는 등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이행하며 시장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17 그 결과 주가가 크게 상승하고 시가총액 순위가 급등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19 이는 밸류업 프로그램이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실제 기업가치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촉매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같은 대형주가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공시하지 않았고, 지수 구성 종목 중 상당수가 여전히 미공시 상태로 남아있는 점은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해 세제 지원 확대 등 추가적인 유인책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다.15
2.2. 한국은행 통화정책: 경기 부양과 금융 안정 사이의 딜레마
한국은행은 2024년 하반기부터 명확한 통화 완화 기조로 전환했다. 물가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흐름을 배경으로, 경기 하방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연 3.50%에서 수차례에 걸쳐 인하하여 2025년 5월에는 연 2.50%까지 낮췄다.21 한국은행은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하향 조정하는 등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금리 인하의 정당성을 설명했다.21 이러한 금리 인하는 올해와 내년 GDP 성장률을 소폭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23
금융안정회의 주요 결과 및 잠재 리스크 점검
그러나 한국은행은 통화 완화의 이면에서 꿈틀대는 리스크에 대해서도 강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2025년 6월 발표된 '금융안정보고서'는 현재 금융 시스템이 대체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몇 가지 심각한 잠재 불안 요인을 지적했다.25 첫째, 가계 부문에서는 취약차주, 기업 부문에서는 자영업자 및 중소기업의 대출 연체율이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25 특히 취약 자영업자의 연체율은 12.2%에 달하는 등 우려스러운 수준이다.26
둘째, 수도권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이 재차 급등하며 '금융불균형 누증'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는 점이다.25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일부 지역의 주간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연율로 환산 시 30%에 달하는 등 매우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26 이는 완화적 통화정책이 경기 부양이라는 순기능과 함께 자산시장 버블이라는 부작용을 동시에 낳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처럼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내리는 정책이 되려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키우는 딜레마에 한국은행이 직면해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개시장운영 개편의 의미와 시장 유동성 전망
이러한 정책적 딜레마 속에서 한국은행은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정비에 나섰다. 2025년 7월 10일부터 시행되는 공개시장운영(OMO) 제도 개편은 그 대표적인 예다.27 핵심은 기존의 유동성 흡수(RP 매각) 중심에서, 유동성 공급(RP 매입)과 흡수를 모두 정례적으로 실시하는 '양방향 유동성 조절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다.27 앞으로 한국은행은 매주 화요일에 14일 만기 RP를 매입하고, 목요일에 7일 만기 RP를 매각하는 방식으로 시장 유동성을 보다 정교하게 관리하게 된다.27
이러한 변화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과거 비정기적으로 시행되던 RP 매입은 시장에서 '긴급 유동성 지원'이라는 부정적 신호로 인식되는 '낙인 효과(stigma effect)'가 있었다. 하지만 이를 정례화함으로써 금융기관들이 부담 없이 한국은행의 유동성 공급 창구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단기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고, 예측치 못한 충격 발생 시 정책이 즉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효과가 있다. 즉, 한국은행이 경기 부양과 금융 안정이라는 상충된 목표 사이에서 보다 세밀한 정책 대응을 할 수 있는 정교한 도구를 확보하게 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의 거시 경제 환경은 '정책의 줄다리기(Policy Tug-of-War)'라는 한 단어로 요약될 수 있다. 한쪽에서는 정부가 재정 지출 확대와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성장의 끈을 힘껏 당기고 있고,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11 다른 한쪽에서는 바로 그 완화적 정책의 부작용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고 취약 부문의 부실 위험이 커지자, 한국은행이 금융 안정의 끈을 놓지 않으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25 이처럼 성장 촉진을 위한 정책이 금융 불안이라는 리스크를 키우는 모순적인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투자자들이 단순히 '추가 부양책'에 대한 기대로만 시장에 접근해서는 안 되며, 정책의 이면에 있는 리스크와 그로 인한 정책 기조의 급변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어야 함을 의미한다.
2.3. 글로벌 경제 동향: 미국 경기 둔화 신호와 아시아의 미온적 회복
국내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환경은 점차 악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 경제의 냉각 신호가 뚜렷해지고 있다. 2025년 5월 미국의 신규 주택 판매는 계절조정 연율 환산 기준 62만 3천 채로, 전월 대비 13.7% 급감하며 시장 예상치(69만 채)를 크게 하회했다.8 이는 7개월 만의 최저 수준이며, 3년 만에 가장 큰 월간 하락폭이다. 주택 재고는 판매 속도 대비 9.8개월 치까지 쌓이며 2022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8 주택 건설의 선행지표인 건축 허가 건수 역시 전월 대비 2.0% 감소하며 2020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29, 주택 시장 전반의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 이는 높은 모기지 금리와 자재 가격 상승이 실물 경기를 압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8
미국 국채 시장에서도 미묘한 변화가 감지되었다. 6월 25일 실시된 700억 달러 규모의 5년물 국채 입찰에서 발행 금리는 3.879%로 결정되어 지난달(4.071%)보다 크게 하락하며 강한 수요를 확인했다.32 그러나 세부 내용을 보면, 해외 중앙은행 등 외국인 투자 수요를 나타내는 간접 낙찰률(Indirect bidders)이 64.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전월 대비 급락한 반면, 미국 내 직접 투자자 수요인 직접 낙찰률(Direct bidders)은 급등했다.32 이는 글로벌 자금의 미 국채 선호도가 다소 약화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아시아의 주요 경제국인 일본 역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4월 경기동행지수(Coincident Index) 최종치는 115.5로 하향 조정되며 5개월 만의 최저 수준을 기록했고 34, 경기선행지수(Leading Economic Index) 또한 약세를 보이고 있다.35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일부 둔화 조짐을 보였으나, 여전히 기저의 인플레이션 압력은 남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36
표 3: 주요국 핵심 경제지표 요약
현재 미국 경제가 보내는 신호는 성장은 둔화되는데 물가는 쉽게 잡히지 않는 '스태그플레이션-라이트(Stagflation-lite)'에 가깝다. 이러한 상황 전개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가장 부정적인 시나리오 중 하나다. 단계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주택 시장의 급랭은 미국의 실물 경기 둔화를 알리는 명확한 신호탄이다.8 둘째,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주택 가격 자체는 전년 대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고 8, 높은 자재비가 문제로 지적되는 등 31 인플레이션 압력은 여전히 끈질기게 남아있다. 셋째, 이 두 가지 현상의 조합, 즉 '성장 둔화'와 '끈적한 물가'가 바로 스태그플레이션적 환경의 특징이다. 넷째, 이는 한국에 이중고를 안겨준다. 미국의 경기 둔화는 반도체, 자동차 등 한국의 주력 수출품에 대한 수요 감소로 직결된다. 동시에 미국의 끈적한 물가는 연준(Fed)의 공격적인 금리 인하를 제약하여 글로벌 금융 환경을 긴축적으로 유지시키고, 이는 원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3. 주요 산업 및 테마 분석
3.1. K-방산: 구조적 성장 사이클 진입
이스라엘-이란 분쟁 등 격화되는 글로벌 지정학적 갈등은 역설적으로 대한민국 방위산업에 구조적인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39 과거 특정 지역에 국한되었던 방산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겸비한 'K-방산'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국은 이미 세계 9위 무기 수출국으로 부상했으며, 정부는 2027년까지 세계 4위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40
이러한 성장세는 구체적인 외교 및 협력 성과로 가시화되고 있다. 최근 개최된 '한·우즈벡 방산·군수 공동위원회'는 중앙아시아 시장으로의 본격적인 진출을 알리는 신호탄이다.41 양국은 기존의 군사 교육 중심 협력을 넘어 항공기, 국경 경계 시스템 등 첨단 방산 장비 분야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42 이는 특정 국가와의 일회성 계약이 아닌, 정부 차원의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K-방산의 수출 영토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조적 성장 사이클은
LIG넥스원과 같은 종합 방산 체계 기업뿐만 아니라, 미사일 유도, 드론, 표적 탐지 등에 필수적인 적외선 영상센서를 생산하는 아이쓰리시스템과 같은 핵심 부품 기업에도 직접적인 수혜를 제공한다. 특히 글로벌 적외선 센서 공급 부족 현상은 아이쓰리시스템의 독보적인 시장 지위를 더욱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45
3.2. K-뷰티: 비(非)중국 시장 개척의 성과 가시화
한때 중국 시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로 어려움을 겪었던 K-뷰티 산업은 성공적인 시장 다변화 전략을 통해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그 성과가 집약적으로 드러난 현장이 바로 '2025 코스모프로프 아세안 방콕' 행사다.46 이 행사에서 국내 화장품 기업들은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아세안 지역 바이어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현장에서 수출 계약 및 MOU를 체결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47 이는 K-뷰티가 중국을 넘어 아세안, 북미, 유럽 등 새로운 주력 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이러한 전략적 전환은 개별 기업들의 실적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라네즈'를 필두로 북미와 유럽(EMEA)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에스트라', '한율'과 같은 후속 브랜드들이 미국 세포라(Sephora)에 잇달아 입점하며 성장 모멘텀을 이어가고 있다.49 화장품 ODM(제조자개발생산) 기업인
코스맥스 역시 태국과 인도네시아 법인이 자외선 차단제 등 현지 맞춤형 제품의 대규모 수주에 힘입어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며 전사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51 증권가에서는 두 기업 모두에 대해 비(非)중국 시장에서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는 등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50
3.3. 금융: 밸류업 프로그램의 최대 수혜주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 중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가장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수혜를 입고 있는 업종은 단연 금융이다. 과거 저평가의 주된 원인이었던 낮은 주주환원율과 불투명한 자본 정책에 대한 개선 압력이 커지면서, 은행 및 금융지주사들이 경쟁적으로 주주가치 제고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KB금융은 이러한 변화를 선도하는 모범 사례로 꼽힌다. KB금융은 밸류업 프로그램의 취지에 적극적으로 부응하여 업계에서 선도적으로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정례화하고,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연계한 명확하고 예측 가능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시장에 제시했다.17 이러한 노력은 시장의 신뢰를 얻으며 주가 재평가로 이어졌고, 15년 만에 코스피 시가총액 5위권에 재진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9 이는 밸류업 프로그램이 단순한 권고를 넘어, 기업의 실질적인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고 투자자들의 평가를 바꾸는 강력한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도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확고한 만큼, 금융주 전반에 대한 투자 매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3.4. 여행/레저: 견조한 수요 회복세 지속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여행 및 레저에 대한 소비자들의 보복 소비 심리는 여전히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최대 크루즈 기업인 **카니발(Carnival Corp)**의 실적은 이러한 추세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바로미터다. 카니발은 2025년 2분기,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역대 최고 수준의 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강력한 예약 수요를 바탕으로 연간 실적 전망치까지 상향 조정했다.52 이는 소비자들이 상품 소비를 줄이더라도 경험과 서비스에 대한 지출은 유지하려는 경향이 뚜렷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는 국내 여행업계에도 긍정적인 시그널이다. 국내 1위 여행사인 하나투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본격적인 실적 회복기에 진입했다. 해외여행 패키지 송출객 수가 견조한 회복세를 보이며 4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이를 바탕으로 대규모 특별배당을 실시하는 등 주주환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55 증권가에서는 여행 수요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하나투어의 올해 이익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 조정하고 있다.55 글로벌 소비 트렌드와 국내 여행 수요 회복세가 맞물리면서 여행/레저 섹터의 성장 모멘텀은 당분간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개별 기업 분석 및 투자의견
표 4: 주요 관심 종목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 요약
4.1. 대한민국 주요 기업
KB금융 (105560) -
분석: KB금융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가장 성공적인 이행 사례로, 국내 금융주 재평가를 이끌고 있다. 동사는 업계에서 가장 먼저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정례화하고, CET1 자본비율과 연동된 명확한 중장기 주주환원 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투자자 신뢰를 확보했다.17 경영진은 컨퍼런스콜을 통해 시장 상황에 맞춰 주주환원 시점을 유연하게 적용하되, 밸류업 프로그램의 원칙은 중단 없이 이행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17 이러한 선도적인 행보는 시장에서 프리미엄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주가 상승과 시가총액 상위권 복귀라는 가시적인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19 밸류업 테마가 지속되는 한, KB금융의 선도주 지위는 계속될 것으로 판단하여 '매수' 의견을 제시한다.
LIG넥스원 (079550) -
분석: LIG넥스원은 K-방산의 구조적 성장 사이클의 핵심 수혜주임이 분명하다. 천궁-II를 비롯한 유도무기 체계의 수출 확대 기대감은 유효하다. 그러나 최근 주가는 펀더멘털 개선 속도를 넘어 과도하게 상승한 측면이 있다. 이스라엘-이란 분쟁 등 지정학적 이벤트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단기적으로 집중 반영되면서 밸류에이션 부담이 크게 높아졌다.57 2025년 예상 주가수익비율(PER)은 45.3배에 달해, 글로벌 주요 방산 기업인 RTX(24.7배)나 국내 경쟁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28.1배) 등과 비교해도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57 최근 KB증권은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보유(Hold)'로 하향 조정하며 목표주가로 52만 원을 제시했는데, 이는 현재 주가(63만 원)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57 펀더멘털은 견고하지만, 주가가 미래의 모든 긍정적 시나리오를 선반영했다고 판단되므로,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하고 밸류에이션이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될 때까지 관망할 것을 권고한다.
아모레퍼시픽 (090430) -
분석: 아모레퍼시픽은 성공적인 체질 개선을 통해 강력한 턴어라운드를 보여주고 있다. 과거 절대적이었던 중국 시장 의존도에서 벗어나 북미, 유럽, 일본, 아세안 등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성공적으로 다변화시킨 것이 주효했다.49 특히 미국 시장에서 라네즈의 성공에 이어 에스트라, 한율 등 후속 브랜드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50 2025년 2분기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 법인의 흑자 기조 유지와 비중국 지역의 고성장이 이익 개선을 견인할 것이다. 하나증권은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0만 원을 유지하며, 자회사 코스알엑스(COSRX) 이익을 포함할 경우 2025년에는 해외 이익이 처음으로 국내 이익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50 이는 동사의 전략적 변곡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가적인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하여 '매수' 의견을 유지한다.
코스맥스 (192820) -
분석: 글로벌 K-뷰티 시장 성장의 숨은 공로자인 코스맥스는 ODM 기업으로서 다변화된 고객사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구가하고 있다. 특히 동남아시아 시장에서의 약진이 눈부시다. 태국 법인은 대규모 자외선 차단제 수주에 힘입어 예상을 뛰어넘는 이익 기여도를 보이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법인 역시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51 이는 특정 브랜드의 흥행 여부와 무관하게 K-뷰티 산업 전체의 성장에 따른 수혜를 입는 동사의 사업모델이 빛을 발하는 구간임을 의미한다. 신한투자증권은 동남아 법인의 가파른 성장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29만 원까지 상향 조정하는 등 시장의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51 글로벌 뷰티 시장의 구조적 성장을 가장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종목으로 판단하여 '매수' 의견을 제시한다.
하나투어 (039130) -
분석: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견고한 여행 수요는 하나투어의 실적 개선을 지속적으로 견인하고 있다. 동사는 4년 만의 흑자 전환을 발판으로 순이익을 넘어서는 규모의 특별배당을 결정하는 등 주주환원에도 적극적인 의지를 보였다.55 최근 배당락으로 인해 주가가 단기 조정을 받았으나, 이는 펀더멘털 훼손이 아닌 재료 소멸에 따른 기술적 움직임으로 판단된다. 7월과 8월 성수기 예약률이 전년 대비 50~70%에 육박하는 등 강력한 여행 수요는 여전히 유효하다.56 현대차증권 등 다수의 증권사가 투자의견을 '매수'로 상향하고 목표주가를 8만 원 수준으로 대폭 올리는 등 55, 실적 개선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높다. 단기 조정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매수' 의견을 유지한다.
아이쓰리시스템 (114090) -
분석: 아이쓰리시스템은 방산 섹터 내에서도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강소기업이다. 주력 제품인 적외선 영상센서는 야간 작전, 미사일, 드론 등 현대전의 핵심 장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다.45 최근 글로벌 전쟁 격화와 군사 기술 고도화로 인해 적외선 센서의 글로벌 공급 부족(shortage)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동사에 직접적인 수혜로 작용하고 있다. 현대차증권은 이러한 구조적 성장성을 높이 평가하며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97,000원을 제시했다.45 K-방산이라는 거시적 테마와 적외선 센서라는 마이크로 기술 트렌드의 교집합에 위치한 매력적인 투자처로 판단하여 '매수' 의견을 제시한다.
4.2. 주요 해외 기업 동향 및 시사점
카니발 (Carnival Corp, CCL): 글로벌 크루즈 선사 카니발의 역대급 2분기 실적과 긍정적인 연간 가이던스 상향은 52 글로벌 소비자들이 재화보다는 경험과 서비스에 우선적으로 지갑을 열고 있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다. 이는 국내 여행 및 레저 산업의 긍정적인 업황이 단기에 그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며, 하나투어 등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뒷받침한다.
프로그레스 소프트웨어 (Progress Software, PRGS): 동사는 AI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인프라 관리, 구독 기반의 반복 매출 모델로의 전환에 주력하고 있다.61 곧 발표될 2분기 실적에서 강력한 매출 성장이 예상되는 점은 64 글로벌 기업들의 IT 투자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의 소프트웨어 및 IT 서비스 기업들이 경쟁해야 할 글로벌 시장의 트렌드를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기타 일본/영국 기업 (Sugi, Naito, Zuiko, Wynnstay): 일본의 의약품 유통 기업 스기 홀딩스(Sugi Holdings) 66, 기계 공구 전문 상사 나이토(Naito & Co) 68, 위생용품 제조 설비 기업 즈이코(Zuiko) 70, 그리고 영국의 농업 자재 공급 기업 윈스테이 그룹(Wynnstay Group) 72 등의 동향은 각국의 내수 및 산업 경기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들 기업의 활동은 글로벌 경제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완만하게나마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참고 자료가 되지만, 본 보고서의 핵심 투자 테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결론
대한민국 증시는 현재 기회와 위협이 공존하는 중요한 변곡점에 서 있다. 내부적으로는 정부의 강력한 경기 부양 의지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라는 긍정적 동력이 시장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적으로는 미국의 경기 둔화 신호가 뚜렷해지며 글로벌 수요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고, 내부적으로도 한국은행이 직접 경고할 만큼 부동산 및 취약 부문의 금융 리스크가 잠재해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환경은 투자자들에게 과거와 다른 접근법을 요구한다. 시장 지수 전체의 상승에 기대는 전략의 유효성은 낮아졌으며, 이제는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을 이겨낼 수 있는 개별적인 성장 동력을 갖춘 테마와 기업을 발굴하는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따라서 시장 전반에 대한 '중립' 의견을 바탕으로, 철저한 선별적 투자 전략을 제안한다. 첫째,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수가 된 시대의 구조적 수혜주인 K-방산 테마, 특히 독보적 기술력을 갖춘 아이쓰리시스템에 주목한다. 둘째, 중국 리스크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북미, 아세안 등 신시장에서의 성과를 증명하고 있는 K-뷰티 산업의 대표주자인 아모레퍼시픽과 코스맥스의 성장성에 투자할 것을 권고한다. 셋째, 밸류업 프로그램의 가장 확실한 수혜주로서 주주가치 제고를 행동으로 보여주고 있는 KB금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넷째, 글로벌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견조한 회복세를 보이는 여행 섹터의 하나투어 역시 매력적인 투자 대안이다. 반면, 펀더멘털은 우수하나 단기 급등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과도해진 LIG넥스원과 같은 종목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현재 시장은 옥석을 가리는 지혜가 필요한 시기다. 맹목적인 낙관이나 비관을 경계하고, 명확한 논리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조적 성장 스토리를 보유한 기업에 집중하는 것이 지금과 같은 불확실성의 파고를 넘어 성공적인 투자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최선의 길일 것이다.
참고 자료
코스피, 0.92% 하락한 3079.56 마감…코스닥 1.29%↓(2보) - 뉴스1,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1.kr/finance/market-exr/5826916
코스피 3070선 하락 마감. 코스닥도 780선 내려 - 비즈니스포스트,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400793
코스피, 3100선 붕괴…외인·기관 8000억원 '팔자' By MoneyS - 인베스팅닷컴,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1529239
[마감 시황]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 코스닥 787.95( 10.26, -1.29%) 하락 마감 - 시그널,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signalm.sedaily.com/NewsView/2GU83KD9VC/GX16
[마감시황] 코스피, 차익실현 매물에 0.92% 내린 3079.56 마감 - 글로벌이코노믹,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g-enews.com/article/Securities/2025/06/202506261537222830288320b10e_1
[속보] 코스피, 0.92%↓ 마감…"개미가 살렸다" - 한국경제TV,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m.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6260892
코스피, 장중 2% 가까이 '뚝'…외인·기관 '팔자' - 연합뉴스TV,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yonhapnewstv.co.kr/news/MYH20250626115232887
5월 美 신축주택 62.3만채 판매·13.7%↓…"7개월 만에 저수준" - 뉴시스,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50626_0003228377
美 5월 신규주택 판매 62.3만채…전월비 대폭 감소 - 연합인포맥스,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2037
「2025년 경제정책방향」 발표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1994
2025년 경제정책 방향 - 2025 달라지는 정책 | 정책포커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cg.korea.kr/news/policyFocusView.do?pkgId=49500817&newsId=148938177&pWise=main&pWiseMain=F2
2025 새정부 추경예산안 | 정책포커스 | 정책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kr/news/policyFocusList.do
[9월호] [재정칼럼 ②] 2025년 정부예산 편성 방향과 특징: 전략적 경쟁시대, 똑똑한 정부가 되기 윤지웅 경희대 교수, 한국정책학회장 : 네이버 블로그,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kpfisnet/223595750179
[논평] 1% 성장률에도 줄푸세 답습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 - 참여연대 - 조세재정개혁센터,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peoplepower21.org/tax/1983702
밸류업 지수에서 '미공시' 삼성전자 안 뺀 거래소… 공시기업 확대 과제 여전 - 조선비즈,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biz.chosun.com/stock/stock_general/2025/05/27/QHNCOBJ7JRFE3P4RMNFNFTGRMM/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준비 – 8. 밸류업 우수기업 선정기준(안) 발표 - 법무법인 세종,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shinkim.com/kor/media/newsletter/2735;shinkimfront=4A40D9A6003640444B9B5795A608FBAA
KB금융 "밸류업 프로그램 중단 없이 지속" [컨콜] - 뉴스저널리즘,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nge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25175
KB금융 "밸류업 우수기업 경제부총리상 수상" - 연합뉴스,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8083700002
양종희 KB금융 밸류업 공시 1년 이정표, 15년 만의 '시총 톱5' 지켜낼까 - 비즈니스포스트,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6680
한국 상장사들이 KB금융 '밸류업'에서 배워야 할 5가지 - ESG경제,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02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5년 3월) - 한국은행,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156/view.do?nttId=10090271&menuNo=200067&programType=newsData&relate=Y&depth=200067
[전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2025년 5월 통화정책방향,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fntimes.com/html/view.php?ud=202505291033421177179ad43907_18
[한은금요강좌] 2025년 3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의 주요내용 (2025. 3. 28) - YouTube,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Eprle3rj5ng
통화정책방향(2025.2.25) - 한국은행,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bok.or.kr/portal/bbs/P0000559/view.do?nttId=10089951&menuNo=200690&programType=newsData&relate=Y&depth=200690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2025년 6월)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 ...,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8028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2025년 6월) 기자설명회 - YouTube,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KmPTy4MGg0Q
한은, 공개시장운영 '양방향' 체계로 바꾼다…정례 RP 매입 실시 | 연합 ...,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6080200002
미국 신규 주택 판매 | 1963-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 경제 지표,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new-home-sales
美 5월 신규주택 착공 125.6만건…시장 전망치 하회 - 연합인포맥스,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0873
미국 건축 허가 | 1960-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 경제 지표,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building-permits
"악재 증가"...미국 주택시장 '침체 지속' - 초이스경제,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9196
美 5년물 국채 입찰에 다소 부진한 수요…수익률 예상 소폭 상회 - KB의 생각,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bthink.com/news-list/view.html?newsId=20250626022102609
美 5년물 국채 입찰에 다소 부진한 수요…수익률 예상 소폭 상회 - 연합인포맥스,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2040
일본 동시지수 | 1985-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 경제 지표,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japan/coincident-index
일본 선행 경기 지수 | 1985-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 경제 지표,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japan/leading-economic-index
2025년 5월 16일 오늘 일본 엔 환율: PPI가 예상보다 낮아지면서 일본 엔이 소폭 상승했습니다.,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vietnam.vn/ko/ty-gia-yen-nhat-hom-nay-16-5-2025-yen-nhat-tang-nhe-sau-khi-ppi-thap-hon-so-voi-du-bao
일본 생상자물가지수 (PPI) <전월 대비> - 인베스팅닷컴,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ppi-990
일본 생산자물가지수(PPI) <전년 대비> - 인베스팅닷컴,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ppi-35
국고채 금리, 美 이란 공습에 일제히 상승…3년물 2.498%(종합) - 연합뉴스,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3128051008
2025년 한국의 대(對)중동정책 제언: 방산·원전 협력과 전후 재건 기여,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asaninst.org/contents/2025%EB%85%84-%ED%95%9C%EA%B5%AD%EC%9D%98-%EB%8C%80%E5%B0%8D%EC%A4%91%EB%8F%99%EC%A0%95%EC%B1%85-%EC%A0%9C%EC%96%B8-%EB%B0%A9%EC%82%B0%C2%B7%EC%9B%90%EC%A0%84-%ED%98%91%EB%A0%A5%EA%B3%BC-%EC%A0%84/
내달 한·우즈벡 방산·군수공동위…FA-50 등 K-방산 진출 기대 - 뉴스1,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1.kr/diplomacy/defense-diplomacy/5790377
한-우즈베키스탄 공동언론발표 - 연설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kr/briefing/speechView.do?newsId=132036742
韓·우즈베키스탄 “국방·방산 협력 강화” - 서울신문,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2.seoul.co.kr/news/politics/diplomacy/2023/08/03/20230803005003
이종섭, 우즈벡 국방장관과 회담…국방·방산협력 격상 합의 - 연합뉴스,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30801160000504
아이쓰리시스템 52주 신고가 경신, 외국인, 기관 각각 3일 연속 순매수, 7일 연속 순매도,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262113L
태국 코스모프로프 아세안 방콕 2025(COSMOPROF CBE ASEAN 2025) - 마이페어,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myfair.co/exhibition/108919
'아시아의 넘버원을 가리자' 방콕서 K-·T-·C-·J-뷰티 격돌 - 약업신문,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m.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2&nid=312373
강원테크노파크, 강원기업 태국 코스모프로프 방콕 전시회 참가지원 - Daum,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v.daum.net/v/20250626134832858
아모레퍼시픽, 글로벌 확장 기조 지속 #20250623#주식#증권정보#주식정보 - YouTube,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shorts/VBrkaEpur4U
아모레퍼시픽, 2Q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글로벌 확장 모멘텀-하나 - 마켓인,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marketin.edaily.co.kr/News/ReadE?newsId=01640006642204672
신한투자증권 "코스맥스, 자외선차단제 수주 급증... 목표가 상향" - 글로벌이코노믹,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g-enews.com/article/Securities/2025/05/20250514082909358144093b5d4e_1
카니발(CCL),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 및 2025년 전망 업데이트 | 뉴스 - 토스증권,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tossinvest.com/news?contentType=news&contentParams=%7B%22id%22%3A%22edaily_overseas_2025062422314401057%22%7D
Carnival Corporation & plc's Strong Q2 2025 Performance - Financial Modeling Prep,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site.financialmodelingprep.com/market-news/carnival-corporation-plc-strong-q2-2025-performance
카니발, 2분기 영업 실적 사상 최고치 기록, 2026년 목표 조기 달성 - 인베스팅닷컴,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news/company-news/article-93CH-1526604
하나투어 (039130),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122360.pdf?attachmentId=2122360
하나투어(039130) - 미래에셋증권,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download/2010673.pdf?attachmentId=2010673
KB證 "LIG넥스원, 현재 주가 장기 유지 어려워…투자의견↓",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624029900008
LIG넥스원 (079550) 주가전망, 목표주가 - 25.06.23 - KB의 생각,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bthink.com/securities-view.html?docId=20250623110744563K
아모레퍼시픽, 글로벌 확장 모멘텀으로 2분기 컨센서스 부합 전망,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m.globalepic.co.kr/view.php?ud=2025062313294390565ebfd494dd_29
[리포트 브리핑]코스맥스, '동남아가 만드는 주가 업사이드' 목표가 290000원 - 신한투자증권,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tossinvest.com/?contentType=news&contentParams=%7B%22id%22%3A%22newspim_20250613000101%22%7D
Progress Software - Wikipedia,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Progress_Software
Progress Software: Unleash the Power of AI for Your Business,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progress.com/
Progress Software Q2 2025 Earnings: Navigating Volatility with Strategic Momentum and Cloud-Fueled Growth - AInvest,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ainvest.com/news/progress-software-q2-2025-earnings-navigating-volatility-strategic-momentum-cloud-fueled-growth-2506/
Stay Ahead of the Game With Progress Software (PRGS) Q2 Earnings: Wall Street's Insights on Key Metrics,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nasdaq.com/articles/stay-ahead-game-progress-software-prgs-q2-earnings-wall-streets-insights-key-metrics
Progress Software Q2 2025 Earnings Release Date Set for June 30 | PRGS Stock News,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stocktitan.net/news/PRGS/progress-software-to-report-second-quarter-2025-financial-results-on-cjvt9vi0zg65.html
Sugi Holdings Co.,Ltd. (UGI) 매출 - Investing.com,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kr.investing.com/pro/DB:UGI/explorer/total_rev
Sugi Holdings 2025 Company Profile: Stock Performance & Earnings | PitchBook,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pitchbook.com/profiles/company/62354-80
Naito & Company Details - Investing.com India,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in.investing.com/equities/naito-co-ltd-company-profile
Naito & Co., Ltd.,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naito.net/en/
A Manufacturer that Designs, Manufactures, and Provides Consulting Services for Disposable Hygiene Product Machines - ZUIKO Corporation|Make the Impossible Possible,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zuiko.co.jp/en/business/
Zuiko 2025 Company Profile: Stock Performance & Earnings | PitchBook,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pitchbook.com/profiles/company/60447-43
WYN - WYNNSTAY GROUP PLC - Investor Meet Company,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investormeetcompany.com/companies/wynnstay-group-plc
Business Model - Wynnstay Agriculture, 6월 26, 2025에 액세스, https://www.wynnstayplc.co.uk/our-business/business-model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