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21일 토요일

GS리테일: 변화하는 유통 환경 속 본업 집중 전략과 투자 전망

 



GS리테일: 변화하는 유통 환경 속 본업 집중 전략과 투자 전망


GS리테일: 변화하는 유통 환경 속 본업 집중 전략과 투자 전망


보고서 초록

  • GS리테일 시장 및 기업 분석 요약

  • 주요 투자 의견 및 핵심 근거

I. 시장 분석: 한국 소매 시장 동향 및 전망

  • 1.1 거시 경제 환경 및 소비 심리

  • 1.2 주요 소매 유통 채널별 분석 (편의점, 슈퍼마켓, 온라인 커머스)

II. 기업 분석: GS리테일 사업 현황 및 재무 성과

  • 2.1 사업 부문별 실적 및 경쟁력 (편의점, 슈퍼마켓, 홈쇼핑 등)

  • 2.2 재무 성과 분석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재무건전성)

  • 2.3 경영 전략 및 향후 성장 계획

III. 투자 의견 및 리스크 분석

  • 3.1 투자 의견

  • 3.2 투자 리스크 분석

  • 3.3 단기 투자 (3개월 내) 수익 가능성 및 이재명 지원금 효과 선반영 여부

IV. 관련 대장주 및 관련 종목

  • 4.1 한국 유통업 대장주

  • 4.2 GS리테일 관련 종목



보고서 초록



GS리테일 시장 및 기업 분석 요약


한국 소매 시장은 현재 고물가와 고금리라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의 지갑을 닫게 하고 전반적인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1 2025년 4월 한국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0.90% 감소하고 연간 기준으로는 0.1% 하락하는 등 전반적인 침체 양상을 보입니다.1 특히 신선식품 물가가 9개월 연속 10% 이상 폭등하면서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은 더욱 커져, 필수 소비재 외 지출을 억제하는 '불황형 소비' 패턴이 심화되고 있습니다.2 이러한 거시 경제적 압박은 유통업체 전반의 매출 성장 둔화와 수익성 압박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유통 채널별로는 명확한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온라인 커머스 시장은 2023년 연간 8.4% 성장하며 성숙기에 진입했지만, 과거 두 자릿수 성장세에 비해서는 둔화된 모습을 보입니다.3 쿠팡과 네이버 등 선두 주자들의 시장 지배력이 강화되고 중국 저가 플랫폼의 공세가 거세지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3 대형마트는 2024년 국내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약 0.5% 하락한 23조 5천억 원으로 추정되며, 2020년 이후 지속적인 매출 하락세를 겪고 있습니다.2 이는 소비자들이 대량 구매를 온라인으로 전환하고 근거리에서 소량 구매를 선호하는 경향이 짙어졌음을 시사합니다. 반면, 편의점은 소규격 상품 및 즉시 구매 특성, 그리고 고물가 시대 가성비 선호 트렌드에 힘입어 2024년 상반기 유통업계 매출 비중 16%를 기록하며 오프라인 유통업태 중 유일하게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5 SSM(기업형 슈퍼마켓) 시장 또한 GS더프레시를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2

GS리테일은 편의점(GS25), 슈퍼마켓(GS THE FRESH), 홈쇼핑(GS샵) 등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4년 연결 매출액은 11조 6,2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4.43% 증가하며 외형 성장을 지속했으나, 영업이익은 2,391억 원으로 18.05%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98억 원으로 85.59% 급감하며 수익성 악화를 겪었습니다.9 특히 핵심 사업인 GS25 편의점은 매출액이 5.1%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임차료, 물류비, 인건비 등 운영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10.9% 감소하며 수익성 압박을 받고 있으며, CU와의 매출 격차가 1,000억 원 이내로 좁혀지면서 업계 1위 자리가 위협받고 있습니다.11 반면, 슈퍼마켓 부문인 GS더프레시는 매출 1조 4,476억 원, 영업이익 276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9.5%, 27.2%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SSM 시장 1위로 부상했습니다.7

GS리테일은 2024년 파르나스호텔 등 비핵심 사업부의 인적분할을 단행하며 소매 유통업 본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12 이는 재무제표상 총자산 감소로 이어졌으나, 군살을 빼고 핵심 근육을 남기는 '체질 개선'의 결과로 해석됩니다.12 그러나 온라인 커머스 통합 플랫폼 '마켓포'는 차별점 부족과 오픈마켓 미도입 등으로 시너지 창출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으며, 온·오프라인 시너지 구현에도 어려움이 존재합니다.14


주요 투자 의견 및 핵심 근거


투자 의견: 중립 (Hold)

핵심 근거:

GS리테일은 현재 사업 구조 재편과 함께 핵심 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GS더프레시를 중심으로 한 SSM 사업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입니다.7 또한 파르나스호텔 등 비핵심 사업부의 인적분할을 통해 소매 유통업 본업에 집중하고 재무 구조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12 실제로 2025년 예상 실적은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의 유의미한 증가가 예측되고 있어, 향후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게 합니다.9

그러나 지속되는 고물가 및 고금리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은 GS리테일을 포함한 유통업 전반에 걸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2 주력 사업인 편의점(GS25)의 경우 매출은 증가했으나 임차료, 물류비, 인건비 등 비용 증가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으며, CU와의 치열한 경쟁 구도 또한 수익성 개선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입니다.11 온라인 커머스 부문에서의 경쟁력 부족과 시너지 창출의 한계 14 또한 단기적인 실적 개선에 대한 우려를 가중시키는 요인입니다. 2024년 당기순이익의 급감 9은 일회성 요인과 비용 압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단기적인 실적 불확실성을 시사합니다.

단기 투자(3개월 내) 수익 가능성은 불확실성이 높습니다. 인적분할로 인한 밸류에이션 상향 가능성이 일부 언급되나 15, 시장의 불확실성과 편의점 사업의 경쟁 심화 및 수익성 개선 지연 등의 리스크가 상존하여 단기간 내 유의미한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17 이재명 지원금과 같은 정부 소비 진작책은 단기적인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정책 효과는 이미 시장에 상당 부분 선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19, 그 효과의 지속성이나 GS리테일 주가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21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기업의 체질 개선 노력과 시장 환경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며 '중립' 의견을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됩니다.


I. 시장 분석: 한국 소매 시장 동향 및 전망



1.1 거시 경제 환경 및 소비 심리


한국 소매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고물가와 고금리의 압박 속에서 소비 심리가 지속적으로 위축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기준 한국의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0.90% 감소했으며, 연간 기준으로도 0.1% 하락하여 이전 달의 증가세에서 반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1 이는 소비자 행동과 전반적인 경제적 심리 변화를 반영하는 주요 지표로서, 현재의 소비 둔화 흐름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특히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은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2024년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2%대로 안정세를 찾았지만, 장바구니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선식품 물가는 2023년 10월부터 2024년 6월까지 9개월 연속 10%를 상회했으며, 2024년 2월부터 5월까지는 20% 전후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2 이러한 신선식품 물가의 폭등은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약화시키고, 필수 소비재 외 지출을 더욱 억제하는 '불황형 소비' 패턴을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전반적인 물가 안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물가 부담을 느끼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금리 환경 또한 소비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1%대였던 기준금리가 현재 3%대를 유지하고 있어 가계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2 이는 가처분 소득 감소로 이어져 소비자들의 지출 의향을 반영하는 소비지출전망지수가 2024년 12월 현재 2023년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하는 데 기여했습니다.2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연이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등 국내 경제 전체가 침체된 상황이라는 점도 소비 심리 위축을 더욱 부추기고 있습니다.2

과거 소비 지출 패턴을 살펴보면,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019년 대비 2.3% 감소했습니다.23 특히 의류·신발, 오락·문화, 교육, 음식·숙박 등 대면 활동과 밀접한 소비는 크게 위축되었습니다. 반면, 식료품·비주류음료, 주류·담배, 주거·수도·광열, 가정용품·가사서비스, 보건 등 '집'과 관련된 비목, 즉 '홈코노미' 관련 지출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23 2021년에는 위축되었던 대면 소비가 소폭 회복되었으나 2019년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으며, 2022년 2분기에는 외식, 숙박 등 대면 소비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는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연료비, 외식, 식료품 등의 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타나면서 지출액이 명목상 증가한 측면도 있습니다.23 이러한 흐름은 소비자들이 외식을 줄이고 집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집밥' 트렌드를 강화하며, 이는 식료품 및 근린 상권 유통 채널에 영향을 미 미칠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 소매 시장은 고물가와 고금리라는 경제적 압박 속에서 소비 심리가 전반적으로 얼어붙어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소비자들이 필수재 위주로 지출을 줄이고, 가성비를 중시하며, 근거리에서 소량 구매를 선호하는 '불황형 소비' 경향이 짙어집니다. 유통업체들은 단순히 외형적인 매출 증대보다는 '수익성' 확보와 '비용 효율화'에 더욱 집중해야 하는 시기임을 시사합니다.


1.2 주요 소매 유통 채널별 분석 (편의점, 슈퍼마켓, 온라인 커머스)


한국 소매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 속에서도 각 유통 채널은 상이한 성장 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 채널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편의점 시장은 오프라인 유통업태 중 유일하게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편의점은 유통업계에서 16%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며 백화점과의 격차를 0.8%p로 좁혔습니다.5 이러한 성장은 고물가 시대에 소비자들이 가성비와 초저가 상품을 선호하고, 소규격 상품 및 즉시 구매의 특성상 온라인으로 대체되기 어렵다는 점에 기인합니다.5 팬데믹 시기 비대면 소비가 확산되었음에도 편의점이 안정적인 성장을 보인 것은 이러한 고유한 특성 때문입니다.5 편의점의 주요 고객층은 20~30대로, 트렌드에 민감한 이들을 사로잡기 위한 차별화된 상품 개발 및 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5 2024년 편의점 매출 성장률은 통계청 기준으로 3.6%를 기록했습니다.6 점포 수 측면에서는 2024년 12월 기준 CU가 17,762개로 GS25(17,390개)를 근소하게 앞서며 업계 1위 경쟁이 치열합니다.16 그러나 점포 포화 상태와 극심한 경쟁, 그리고 최저임금 인상과 같은 비용 압박 및 정부 규제는 편의점 산업의 과거와 같은 높은 성장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편의점 성장률은 3.5% 전후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며, 업체들은 차별화된 상품 경쟁력 확보와 내실 경영에 주력해야 하는 시점입니다.6

슈퍼마켓(SSM) 시장은 대형마트의 부진 속에서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습니다. 2024년 국내 대형마트 시장은 전년 대비 약 0.5% 하락한 23조 5천억 원 규모로 추정되며, 2020년 이후 지속적인 매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2 이는 대량 구매의 온라인 전환과 함께, 소비자들이 근거리에서 소량 구매를 선호하는 경향이 짙어졌음을 시사합니다. 반면 슈퍼마켓은 2024년 1.5%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대형마트(1.2%)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나, 시장 평균 성장률(3.2%)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29 특히 GS더프레시는 2024년 매출 1조 4,476억 원(전년 대비 9.5% 증가), 영업이익 276억 원(전년 대비 27.2% 증가)을 기록하며 이마트에브리데이와 롯데슈퍼를 제치고 SSM 시장 매출 1위로 부상했습니다.7 GS더프레시는 2020년 320개였던 점포 수를 2024년 말 531개까지 확대하며 4년 만에 1.6배 증가시키는 등 공격적인 출점 전략으로 업계를 압도하고 있습니다.8 이는 근린 상권에서의 신선식품 및 소량 구매 수요를 효과적으로 공략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온라인 커머스 시장은 급속도로 팽창하던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20.4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성장했으며 30, 2023년 연간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228조 8,607억 원으로 전년 대비 8.4% 성장했습니다.3 이는 2018년 이래 유지되던 두 자릿수 성장률이 한 자릿수로 둔화된 것으로, 시장 포화와 경쟁 심화를 의미합니다. 국내 소매 시장의 온라인 침투율은 2023년 44.9%를 기록하며 온라인 중심의 소비 습관이 일상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3 고물가로 인해 가격 비교가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물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채널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가 높아지는 경향이 관찰됩니다.3 주요 온라인 유통업체의 매출 비중은 2023년 오프라인 업체를 넘어서 50.5%를 차지했습니다.3 시장 내에서는 쿠팡이 2024년 이커머스 시장점유율 22.8%로 추산되며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네이버와의 격차를 확대하고 있습니다.4 온라인 소비 비중의 확대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직과 대면 서비스업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택배 및 물류 수요 증가로 운수·창고업의 고용은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31 온라인 시장의 성숙기 진입은 신규 진입자에게 더 높은 장벽으로 작용하고, 기존 업체 간에는 수익성 확보를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임을 시사합니다.


II. 기업 분석: GS리테일 사업 현황 및 재무 성과



2.1 사업 부문별 실적 및 경쟁력 (편의점, 슈퍼마켓, 홈쇼핑 등)


GS리테일은 편의점(GS25), 슈퍼마켓(GS THE FRESH), 홈쇼핑(GS샵)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며, 부동산 개발업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13 2024년 GS리테일의 연결 매출액은 11조 6,269억 원으로 전년 대비 4.43% 증가하며 외형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2,391억 원으로 18.05% 감소했으며, 당기순이익은 98억 원으로 85.59% 급감하며 수익성 측면에서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9 이러한 수익성 악화는 주로 비용 증가와 일부 사업 부문의 부진에 기인합니다.

**편의점 사업부 (GS25)**는 GS리테일의 핵심이자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부문입니다. 2024년 GS25의 매출액은 8조 6,6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을 보였습니다.11 그러나 임차료, 물류비, 인건비 등 운영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은 10.9% 감소한 2,183억 원에 그쳤습니다.11 이는 편의점 사업의 외형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관리가 시급한 과제임을 나타냅니다. 특히 CU와의 매출 격차가 1,000억 원 이내로 좁혀지면서 업계 1위 자리가 위협받고 있으며, 경쟁 심화에 따른 수익성 압박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11 GS25는 30년 이상 성장해온 국내 최초의 토종 편의점 브랜드로서,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20년 연속 1위 수상 등 고객 충성도가 높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32

**슈퍼마켓 사업부 (GS THE FRESH)**는 GS리테일의 성장 동력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2024년 GS리테일 슈퍼마켓 부문은 매출 1조 4,476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9.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7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7.2% 성장하며 경쟁사 대비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7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GS더프레시는 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슈퍼를 제치고 SSM 시장 매출 1위로 올라섰습니다.7 GS더프레시는 2020년 320개였던 점포 수를 2024년 말 531개까지 확대하며 공격적인 출점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이는 근린 상권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8 슈퍼마켓 사업부의 주요 고객층은 수도권 중장년 여성으로 분석됩니다.25

**홈쇼핑 사업부 (GS샵)**는 전반적인 실적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며 부진한 성과를 보였습니다.11 TV 시청 인구 감소 등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매출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이는 GS리테일 전체 영업이익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됩니다.11 GS샵은 '브랜드 커머스'를 지향하며 KBP(Key Brand Partner) 관리를 통해 마케팅 자원과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32

GS리테일은 2024년 파르나스호텔 및 후레쉬미트 등 비핵심 사업부를 인적분할하기로 결의하며 소매 유통업 본업에 역량을 집중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12 이러한 사업 구조 재편은 단기적으로 재무제표상 총자산 감소(2023년 말 10조 원에서 2024년 말 7조 5,816억 원으로 약 25% 감소)로 이어졌으나, 이는 군살을 빼고 핵심 근육을 남기는 '체질 개선'의 결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12 분할 후 존속법인인 GS리테일은 편의점, 슈퍼마켓, 홈쇼핑 등 소매 유통업 및 부동산 개발업 중심의 기존 사업에 집중하여 시장 경쟁력과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13


2.2 재무 성과 분석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재무건전성)


GS리테일의 최근 3년간(2022년~2024년) 연결 재무 성과를 살펴보면,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했으나 수익성은 악화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구분 (단위: 백만원)

2022년

2023년

2024년

매출액

10,666,846

11,134,149

11,626,920

매출총이익

2,740,427

2,836,767

2,886,876

판매비와관리비 등

2,450,465

2,544,985

2,647,771

영업이익

289,962

291,782

239,105

당기순이익

47,610

22,147

9,792

총자산

9,832,423

10,042,016

7,581,643

부채총계

5,412,418

5,608,277

4,400,125

자본총계

4,420,005

4,433,739

3,181,518

10




매출액은 2022년 10조 6,668억 원에서 2024년 11조 6,269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습니다.10 이는 주로 신규 점포 출점과 기존점 매출 신장에 따른 외형 성장 효과로 풀이됩니다.33 그러나 매출총이익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비와관리비 등 비용이 매출액 증가율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2023년에 소폭 증가한 후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8.05% 감소한 2,39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9 이는 임차료, 물류비, 인건비 등 고정비 증가가 수익성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11

당기순이익은 2022년 476억 원에서 2024년 98억 원으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10 특히 2024년에는 전년 대비 85.59%나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9 이러한 급감은 영업이익 감소뿐만 아니라 기타손익, 금융손익, 지분법손익 등 영업외손익의 악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10 2024년 손익계산서상 지배기업 소유주에게 귀속된 당기순이익이 25억 원으로 급감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파르나스호텔 등 인적분할된 사업부의 손익을 따로 분리해 표시하는 '중단영업손익' 항목에 따른 회계상의 착시입니다. 핵심 사업의 성과를 보여주는 '계속영업이익'은 2,391억 원으로, 사업 구조 재편 속에서도 본업의 이익 창출 능력은 굳건하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12

재무건전성 측면에서는 총자산이 2023년 말 10조 420억 원에서 2024년 말 7조 5,816억 원으로 약 25% 감소했습니다.10 이는 파르나스호텔 등 비핵심 사업부의 인적분할로 인해 관련 자산, 부채, 자본이 장부에서 빠져나간 결과로, 기업의 규모가 축소된 것이 아니라 '체질 개선'을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12 부채비율은 2023년 말 126.5%에서 2024년 말 138.3%로 소폭 상승했으나, 이는 거대 사업 분할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변동 범위 내에 있으며 여전히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12 PBR(주가순자산비율)은 1배 이하의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주식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15

향후 실적 전망을 보면, 2025년 예상 매출액은 11조 9,52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0%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2,519억 원으로 5.3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기순이익은 1,214억 원으로 4,666.29%라는 큰 폭의 증가가 예측됩니다.9 이는 2024년의 일시적인 실적 부진을 딛고 2025년부터는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를 반영합니다. 2026년에는 매출액 12조 3,436억 원, 영업이익 2,858억 원, 당기순이익 1,522억 원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9


2.3 경영 전략 및 향후 성장 계획


GS리테일은 급변하는 유통 환경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수익성 위주 재편'과 '데이터 기반 유통 혁신'을 핵심 경영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32

첫째, 사업 구조 재편을 통한 핵심 사업 집중입니다. GS리테일은 2024년 파르나스호텔 및 후레쉬미트 등 비핵심 사업부를 인적분할하여 소매 유통업 본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실행했습니다.12 이는 재무제표상 총자산 감소로 이어졌지만, 복잡하게 얽혀있던 사업 구조를 단순화하고 편의점, 슈퍼마켓, 홈쇼핑이라는 핵심 소매 유통업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명확한 선언으로 해석됩니다.12 이러한 '체질 개선'은 장기적인 수익성 개선과 기업 가치 제고를 목표로 합니다.

둘째, 데이터 기반의 유통 혁신 및 O4O(Offline-for-Online) 경쟁력 강화입니다. GS리테일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의 모든 경험을 연결하고, 상품과 서비스로 신뢰받는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합니다.32 이를 위해 통합 앱 '우리동네GS'를 통해 고객이 편의점과 슈퍼에서 상품을 픽업하거나 집으로 배달 주문하는 퀵커머스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기존 '나만의 냉장고', '반값택배 예약' 등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통합하여 고객의 점포 내점 유도에 주력하고 있습니다.34 또한 스마트 스토어 개발 및 프랜차이즈 확대를 통해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합하여 소비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매출을 증대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11

셋째, 차별화된 상품 및 서비스 경쟁력 확보입니다. 특히 편의점 GS25는 대한민국 대표 편의점으로서 고객이 가장 좋아하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11 트렌드에 민감한 20~30대 고객층을 사로잡기 위해 넷플릭스 협업 상품, 동원 협업 도시락 등 독점 상품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5 슈퍼마켓 GS THE FRESH는 신선하고 다양한 상품을 제공하며 친근하고 신속하며 편리한 쇼핑 환경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32 홈쇼핑 GS SHOP은 '브랜드 커머스'를 지향하며 KBP(Key Brand Partner)를 선정하여 관리하고, 중소기업을 포함한 파트너의 성장을 함께하며 좋은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고자 합니다.32

넷째, 점포 운영 효율화 및 상생 제도 강화입니다. GS리테일은 '수익을 낼 수 있는 가맹점을 늘린다'는 프랜차이즈의 대원칙을 고수하며 경영주와 본사의 파트너십 구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32 이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을 전개하고 점포주 중심으로 인당 생산성을 개선하여 수익성을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34

이러한 전략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GS리테일의 온라인 커머스 통합 플랫폼 '마켓포'는 아직 뚜렷한 차별점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며, 오픈마켓 모델을 적용하지 않아 규모 확장에 불리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14 신세계, 롯데, 쿠팡, 네이버 등 온라인 유통 강자들이 이미 시장을 선점한 상황에서 후발 주자로서의 진입 장벽은 여전히 높습니다.14 온·오프라인 시너지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존재하는데, 이는 GS리테일의 오프라인 점포가 근거리 도보 고객을 대상으로 하며 대형마트나 백화점과 달리 넓은 물류 전용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14 GS리테일의 향후 성장은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고 추진 중인 전략들의 성공적인 실행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III. 투자 의견 및 리스크 분석



3.1 투자 의견


GS리테일에 대한 현재 투자 의견은 **중립 (Hold)**입니다.

이러한 의견은 GS리테일이 현재 중요한 사업 구조 재편과 함께 핵심 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는 전환점에 있다는 판단에 기반합니다. GS더프레시를 중심으로 한 슈퍼마켓 사업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SSM 시장의 리더로 자리매김했습니다.7 이는 GS리테일의 오프라인 유통 채널 중 가장 긍정적인 성장 동력으로 평가됩니다. 또한 파르나스호텔 등 비핵심 사업부의 인적분할을 통해 소매 유통업 본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재무 구조를 효율화하려는 노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입니다.12 실제로 시장 분석가들은 2025년과 2026년에 GS리테일의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이러한 체질 개선 노력이 결실을 맺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어 있습니다.9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요소에도 불구하고, GS리테일은 여전히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고물가와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소비 심리가 전반적으로 위축되어 유통업 전반에 걸쳐 매출 성장 둔화와 수익성 압박이 상존하고 있습니다.2 주력 사업인 편의점(GS25)은 매출은 증가했으나, 임차료, 물류비, 인건비 등 운영 비용 증가와 CU와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습니다.11 이는 GS리테일 전체 수익성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커머스 부문에서는 통합 플랫폼 '마켓포'가 뚜렷한 차별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미 시장을 선점한 거대 온라인 플랫폼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14 2024년 당기순이익의 급감은 이러한 복합적인 비용 압박과 일부 사업 부진의 결과로, 단기적인 실적 불확실성을 가중시킵니다.9

따라서, GS리테일은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위한 전략적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거시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 핵심 사업의 수익성 압박, 그리고 온라인 경쟁력 확보의 과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은 기업의 체질 개선 노력이 실제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지는지, 그리고 시장 내 경쟁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지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립' 의견은 이러한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를 균형 있게 반영한 판단입니다.


3.2 투자 리스크 분석


GS리테일 투자에 있어 고려해야 할 주요 리스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거시 경제 환경의 지속적인 악화입니다. 고물가와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은 더욱 감소하고 소비 심리는 회복되기 어려울 것입니다.2 이는 GS리테일의 매출 성장률을 둔화시키고, 특히 마진율이 낮은 필수 소비재 판매 비중이 높은 편의점과 슈퍼마켓 사업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경제 침체는 소비자들이 지출을 더욱 줄이거나 가성비 제품으로 이동하게 하여, 유통업체들의 수익성 확보를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2

둘째, 유통 산업 내 경쟁 심화 및 비용 압박입니다.

  • 편의점 시장의 포화 및 경쟁 심화: 국내 편의점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며, GS25는 CU와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점유율과 수익성을 방어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11 CU가 GS25의 매출 격차를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다는 점은 GS25의 시장 지배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11

  • 최저임금 인상 및 운영 비용 증가: 편의점 사업은 인력 의존도가 높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큽니다.27 또한 임차료, 물류비 등 전반적인 운영 비용의 증가는 GS25의 영업이익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11 이러한 비용 압박은 향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정부 규제 리스크: 편의점 산업은 대규모 유통업의 일종으로 정부 규제를 받고 있으며, 점포 확장 제한, 영업시간 규제, 특정 품목 판매 제한 등 추가적인 규제 강화는 사업 성장에 제약이 될 수 있습니다.27

셋째, 온라인 커머스 경쟁력 부족입니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하고 쿠팡, 네이버 등 거대 플랫폼들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GS리테일의 온라인 통합 플랫폼 '마켓포'는 뚜렷한 차별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3 오픈마켓 모델을 도입하지 않아 규모의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으며, 온·오프라인 시너지 창출 또한 기대만큼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평가가 있습니다.14 온라인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실패는 장기적인 성장 동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넷째, 수익성 개선 지연 가능성입니다. 2024년 당기순이익이 크게 감소한 것은 비핵심 사업 분할이라는 일회성 요인과 함께 핵심 사업의 수익성 악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9 2025년 수익성 개선이 전망되지만, 예상보다 거시 경제 회복이 더디거나 경쟁 환경이 더욱 심화될 경우, 수익성 개선 목표 달성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특히 편의점 사업의 수익성 회복이 더딜 경우, 전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미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밸류에이션 트랩 가능성입니다. GS리테일의 PBR이 1배 이하로 낮아 저평가되어 보일 수 있으나 15, 낮은 영업이익률과 변동성이 큰 순이익은 '밸류 트랩'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15 즉, 기업의 근본적인 수익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단순히 낮은 밸류에이션만으로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3.3 단기 투자 (3개월 내) 수익 가능성 및 이재명 지원금 효과 선반영 여부


GS리테일에 대한 단기 투자(3개월 내) 수익 가능성은 불확실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GS리테일의 주가는 최근 몇 년간 장기적인 하락 추세를 보여왔습니다.15 2023년 2월 30,900원에서 2024년 4월 18,350원까지 40.61% 하락한 바 있습니다.40 비록 2024년 4월부터 11월까지 23.43% 상승하는 반등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이는 일시적인 움직임일 수 있습니다.40 기업의 인적분할이 기존 주주에게 친화적이라 할지라도, 명확한 비전이나 경영진에 대한 신뢰가 구축되지 않으면 새로운 투자자의 진입을 주저하게 만들고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17 또한, 인적분할로 인한 소폭의 밸류에이션 상향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단기적으로 유의미한 수익을 내기에는 시장 불확실성, 경쟁 심화, 그리고 핵심 사업의 수익성 개선 지연 등의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합니다.18 주가의 기술적 분석에서도 20일 이동평균선에서 저항을 받고 있으며, 중장기 이평선인 240일선도 상승을 막고 있는 상황으로 단기적인 강한 돌파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40

이재명 지원금(전 국민 소비 쿠폰) 효과의 선반영 여부에 대해서는, 해당 정책이 GS리테일 주가에 미치는 직접적인 단기 상승 효과는 제한적이거나 이미 상당 부분 시장에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재명 후보(당시)가 제안한 전 국민 민생회복 소비 쿠폰은 1인당 15만 원에서 50만 원 규모로 총 13조 원 수준의 소비 여력을 보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9 이러한 대규모 소비 진작책은 이론적으로 유통업체들의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41 그러나 몇 가지 측면에서 GS리테일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첫째, 정책 발표 및 논의 과정에서의 선반영 가능성입니다. 대규모 정부 지원금 정책은 발표 시점이나 논의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이미 시장의 기대감으로 주가에 선반영되는 경향이 있습니다.19 실제 지급 시점에는 오히려 재료 소멸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둘째, 지원금의 사용처 및 효과의 분산입니다. 민생회복 소비 쿠폰은 주로 지역화폐나 카드 형태로 지급되며, 소상공인 지원 및 골목 상권 활성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19 대형 유통업체보다는 영세 자영업자나 지역 내 소규모 점포에서 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21 따라서 GS리테일과 같은 대형 유통 기업이 직접적으로 받는 수혜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셋째, 지속성 및 근본적인 소비 심리 개선의 한계입니다. 일회성 지원금은 단기적인 소비 활성화에는 기여할 수 있지만, 고물가 및 고금리라는 근본적인 거시 경제적 압박이 지속되는 한 소비 심리를 장기적으로 개선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37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는 주요 원인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지원금 효과는 단기적인 반짝 효과에 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GS리테일은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을 이끌 만한 강력한 모멘텀이 부족하며, 이재명 지원금과 같은 정책 효과 또한 이미 선반영되었거나 GS리테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어 단기 투자 관점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IV. 관련 대장주 및 관련 종목



4.1 한국 유통업 대장주


한국 유통업 시장은 과거 전통적인 백화점, 대형마트 중심에서 온라인 커머스와 편의점, SSM 등 근린형 채널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현재 시장을 주도하는 주요 대장주 및 그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온라인 커머스 대장주:

  • 쿠팡 (Coupang):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압도적인 1위 사업자로, 2024년 이커머스 시장점유율은 22.8%로 추산되며, 매출 40조 원을 돌파하며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습니다.4 로켓배송, 로켓그로스 등 강력한 물류 인프라와 PB 상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45 대만 등 해외 사업 확장도 적극적입니다.4

  • 네이버 (NAVER): 국내 2위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2024년 커머스 부문 연간 매출액은 2조 9,230억 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46 AI 기반 개인화 추천 쇼핑 앱 '플러스스토어' 출시, 네이버페이 결제액 증가 등 기술력과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커머스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46

  • 오프라인 유통 대장주:

  • BGF리테일 (CU): 국내 편의점 업계 1위 경쟁에서 GS25를 턱밑까지 추격하며 점포 수에서 앞서고 있습니다.16 2024년 매출 8조 6,988억 원을 기록하며 6.1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516억 원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50 차별화된 상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통해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6

  • 신세계 (Shinsegae): 백화점 부문에서 강점을 보이며, 2024년 백화점 총매출이 7조 2,435억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53 특히 강남점의 연속 거래액 3조 원 돌파, 센텀시티의 지역 점포 최초 백화점 전국 3위 등 핵심 점포의 성장이 두드러집니다.53 다만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일부 계열사는 실적 부진을 겪기도 했습니다.53

  • 롯데쇼핑 (Lotte Shopping): 백화점, 마트, 슈퍼, 홈쇼핑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보유한 대형 유통사입니다. 2024년 연결 매출은 13조 9,866억 원으로 전년 대비 3.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4,731억 원으로 6.9% 감소했습니다.54 그러나 해외 사업(특히 베트남)의 매출 및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자산 재평가를 통해 재무 구조를 개선했습니다.54

  • 이마트 (Emart): 대형마트 부문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2025년 1분기 8년 만에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하는 등 체질 개선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57 통합 매입 체계 구축, 상시 최저가 제공, 점포 리뉴얼 등을 통해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57 2027년까지 영업이익 1조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57


4.2 GS리테일 관련 종목


GS리테일의 사업 영역과 경쟁 관계를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종목들을 관련 종목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경쟁사:

  • BGF리테일 (CU): 편의점 시장의 최대 경쟁사이자 업계 선두 다툼을 벌이는 기업입니다.16

  • 코리아세븐 (세븐일레븐): 편의점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중 하나입니다.26

  • 이마트24: 이마트 계열의 편의점으로, 후발 주자이지만 이마트 PB 상품 등을 활용하여 경쟁하고 있습니다.26

  • 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슈퍼: SSM 시장에서 GS더프레시와 경쟁하는 주요 기업들입니다.7

  • CJ ENM, 현대홈쇼핑, 태광산업: 홈쇼핑 시장에서 GS샵과 경쟁하거나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입니다.59

  • 온라인/퀵커머스 관련 협력 및 경쟁사:

  • 쿠팡, 네이버: 온라인 커머스 시장의 절대 강자로, GS리테일의 온라인 사업 확장 시 경쟁 및 협력 관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4

  • 요기요: GS리테일이 투자한 배달 플랫폼으로, 퀵커머스 사업 확장에 중요한 파트너입니다.18

  • 물류 및 IT 인프라 관련:

  • GS네트웍스: GS리테일의 물류 전문 자회사로, 물류 경쟁력 강화를 담당합니다.13

  • KCTC, 동방: 쿠팡 등 주요 이커머스 업체와 물류 제휴를 맺고 있는 종합 물류 기업들로, 유통업 전반의 물류 수요 증가에 따라 간접적인 연관성을 가집니다.61

  • 나이스정보통신, 다날, 갤럭시아머니트리: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제공 업체로, 유통업체들의 결제 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61

  • 식품 제조 및 유통 관련:

  • 후레쉬미트, 퍼스프, 쿠캣: GS리테일이 지분을 보유하거나 협력하는 식품 제조 및 유통 관련 기업들로, 신선식품 및 PB 상품 경쟁력 강화에 기여합니다.13

  • 흥국에프엔비, 서울식품: 쿠팡 등 온라인 채널에 간편식품을 공급하는 기업들로, 간접적으로 간편식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61


V. 결론


GS리테일은 현재 한국 소매 시장의 복합적인 변화 속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은 유통업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대형마트와 같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채널은 매출 감소를 겪고 있습니다. 반면, 편의점과 SSM은 근거리 소비 및 가성비 트렌드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온라인 커머스 시장은 성숙기에 진입하며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GS리테일은 2024년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주력 사업인 편의점의 수익성 악화와 홈쇼핑 부문의 부진으로 인해 전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크게 감소하는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특히 GS25는 비용 증가와 CU와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수익성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했습니다. 그러나 슈퍼마켓 부문인 GS더프레시는 공격적인 출점과 매출 및 영업이익의 견조한 성장을 통해 SSM 시장의 리더로 부상하며 긍정적인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GS리테일은 파르나스호텔 등 비핵심 사업부의 인적분할을 통해 소매 유통업 본업에 집중하고 경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수익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실제로 2025년에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의 유의미한 회복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온라인 커머스 부문에서의 경쟁력 부족과 온·오프라인 시너지 창출의 한계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종합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GS리테일에 대한 투자 의견은 **중립 (Hold)**입니다. 기업의 사업 구조 재편과 GS더프레시의 성장 잠재력은 긍정적이나,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 편의점 사업의 수익성 압박, 온라인 경쟁 심화 등 단기적인 리스크 요인들이 상존하기 때문입니다. 단기 투자(3개월 내) 관점에서는 주가 상승 모멘텀이 불확실하며, 이재명 지원금과 같은 정부 소비 진작책의 효과는 이미 시장에 상당 부분 선반영되었거나 GS리테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GS리테일의 전략 실행과 시장 환경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자료

  1. 한국 소매 판매 월간 | 1995-2025 데이터 | 2026-2027 예상 - 경제 지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o.tradingeconomics.com/south-korea/retail-sales

  2. 2024 유통업계 결산 및 2025 전망 : Issue - 리테일톡, retailtalk,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retailtalk.co.kr/Issue/?bmode=view&idx=132363197

  3. 성숙기에 접어든 이커머스 시장의 현주소와 도전 과제 - KPMG International,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assets.kpmg.com/content/dam/kpmg/kr/pdf/2024/business-focus/kpmg-korea-ecommerce%20trends-20241104.pdf

  4. [24년 4분기 실적] 이커머스 시장 과점 넘보는 쿠팡, 앞으로도 성장할까 - 비욘드엑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eyondx.ai/24nyeon-4bungi-siljeog-ikeomeoseu-sijang-gwajeom-neomboneun-kupang-apeurodo-seongjanghalgga/

  5. 국내 편의점 수 5만5000개 돌파...인구 920명 당 1개 꼴 더 늘어날까? - 더밸류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valuenews.co.kr/news/186115

  6. 2024 편의점 쇼퍼 트렌드_고물가 시대, "식당 대신 편의점 간다"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voicec/223631009487?viewType=pc

  7. 다시 1위 뒤집힌 SSM시장… GS더프레시, 이마트·롯데 제치고 매출 1위 부상 - 뉴데일리 경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4/02/27/2024022700145.html

  8. [단독] 'SSM 1위' 굳히기 들어간 GS더프레시, 점포 확장 속도 - EBN,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eb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9964

  9. GS리테일 - 기업현황 - 기업모니터 - 삼성전자 - 기업현황,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mp.wisereport.co.kr/company/c1010001.aspx?cmp_cd=007070

  10. 경영성과 | GSretail Site,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www.gsretail.com/gsretail/ko/ir/business-results?tab=2

  11. GS리테일의 실적 감소 속 디지털 전환과 마케팅 전략 변화 분석 - Goover,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seo.goover.ai/report/202502/go-public-report-ko-6391cf5f-b4ee-4af9-8986-dff17737181d-0-0.html

  12. [재무제표 분석 165] 편의점에서 수박을? GS리테일의 놀라운 변신과 미래 전망,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economist/academy/contents/250615134334129uj

  13. PDF다운로드 - GS리테일,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www.gsretail.com/medias/sys_master/root/h14/h00/9113223069726/-GS-2024.11.14-.pdf?attachment=true

  14. GS리테일 '마켓포'에 붙은 의문…"뭐가 다르지?" - 비즈워치,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news.bizwatch.co.kr/article/consumer/2021/04/22/0023

  15. GS리테일 기업 주가 분석 및 전망, 편의점 사업과 재무 상태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darknum/223623148894?viewType=pc

  16. [2024 유통결산-편의점] 성장정체·장기불황에 '주춤'…CU '1위' 턱밑 추격 - 한국금융신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fntimes.com/html/view.php?ud=202412271539321281b5b890e35c_18

  17. [GS리테일 분할後] 한 달만에 무색해진 밸류업 - 뉴스톱,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26146

  18. 호재일까 아닐까 (feat. GS리테일)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hodolry/223675096000?viewType=pc

  19. 갓 태어난 아기부터 이재용까지 받는다…전 국민 지원금, 언제 얼마나? - 김명준의 뉴스파이터,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X0TJlbCz_pg

  20. 이재명 “경제 살리기 중심은 기업…주식 장기보유 세제 혜택” / KBS 2025.05.08. - YouTube,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XKvJl_7qk8s

  21. 이재명 대통령, 민생행보 가속...전 국민 15만~50만 원 '소비쿠폰' 받는다! - YouTube,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UNaVj8L1S1Y

  22. 이재명 정부, 전국민 '소비쿠폰' 푼다… 7월부터 1인당 15만~50만원 - YouTube,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eYnMLb8HXFA

  23. 코로나19 발생 이후 우리 집 소비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 통계청,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ostat.go.kr/boardDownload.es?bid=11918&list_no=422580&seq=1

  24. 한국의 사회동향 - 통계청,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kostat.go.kr/boardDownload.es?bid=12308&list_no=415884&seq=2

  25. GS리테일 기업분석보고서 | 잡코리아,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jobkorea.co.kr/starter/companyreport/view?Inside_No=11452&schCtgr=0&schGrpCtgr=0&Page=1

  26. 점포수 5만5000개로 포화된 국내 편의점 시장...CU·GS25·세븐일레븐 올해 전략은 - 뉴스워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www.newswor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4144

  27. [평판64] ′한계봉착′ CU편의점, 매장별 핀셋전략 절실.."평판 악화도 숙제" - 알파경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alphabiz.co.kr/news/view/1065613316944257

  28. “실효성 의문투성이”…편의점, 각종 규제에 속앓이 [역주행하는 유통 규제] - 아시아경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m.asiae.co.kr/article/2022051308123657098

  29. "소매시장 연평균 3.2%↑…온라인쇼핑 성장속도, 대형마트 10배" | 연합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0910147000003

  30. 최근 온라인 유통시장 동향과 시사점 | 국내연구자료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88338

  31.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경제전망,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kdi.re.kr/research/analysisView?art_no=3618

  32. 2022 GS리테일 지속가능경영보고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hpimg.gsretail.com/_ui/desktop/common/docs/gsr_sustainability_report_2022.pdf

  33. 2024년 1분기 경영실적 - GS리테일,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www.gsretail.com/medias/sys_master/root/h7a/hbd/9099331239966/1Q-2024-.pdf?attachment=true

  34. [MD&A] GS리테일(007070) 사업보고서(2023.12)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clceo/223562934751

  35. GS리테일, 유통업 100년 기업 경영전략 제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coldchainnews.kr/news/article.html?no=25926

  36. 고물가에 식료품 소비도 감소...외환위기 이후 최대 폭 - YTN,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ytn.co.kr/_ln/0102_202402042220598604

  37. 정부 “경기 곧 회복될 것” 낙관적 전망에도…지갑 닫는 소비자들 - 세계일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204500689

  38. GS리테일 기업분석보고서 - 잡코리아,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jobkorea.co.kr/starter/companyreport/view?Inside_No=11453&schCtgr=101003&schGrpCtgr=0&Page=1

  39. 편의점관련주 GS리테일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jjossun2/223684897781

  40. GS리테일 주가 전망: 배당금 꾸준하게 줄까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rcncap1/223671570671?viewType=pc

  41. 내수 활성화를 위한 소비촉진정책 추진 동향 - CSF 중국전문가포럼,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sf.kiep.go.kr/issueInfoView.es?article_id=49015&mid=a20200000000&board_id=18&search_option=&search_keyword=&search_year=&search_month=¤tPage=8&pageCnt=10

  42. 이재명 “재난지원금 더” …전문가들 “소상공인 지원이 우선” - 한겨레,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17517.html

  43. www.inthenews.co.kr,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inthenews.co.kr/news/article.html?no=69737#:~:text=%5B2024%20%EC%97%B0%EA%B0%84%EC%8B%A4%EC%A0%81%5D%20KGM%2C%20%EC%97%B0%EC%86%8D%20%EC%97%B0%EA%B0%84%20%ED%9D%91%EC%9E%90%20%EA%B8%B0%EB%A1%9D%E2%80%A6&text=%EC%9D%B8%EB%8D%94%EB%89%B4%EC%8A%A4%20%EA%B9%80%EC%9A%A9%EC%9A%B4%20%EA%B8%B0%EC%9E%90%E3%85%A3,%ED%96%88%EB%8B%A4%EA%B3%A0%2024%EC%9D%BC%20%EB%B0%9D%ED%98%94%EC%8A%B5%EB%8B%88%EB%8B%A4.

  44. 쿠팡, 연간 매출 41조원 돌파…이젠 신사업 수익성 확보가 숙제,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26/2025022680066.html

  45. 임팩트 리포트로 살펴보는 2024년 쿠팡 '와우(WOW)' 모먼트: 소상공인 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news.coupang.com/archives/50391/

  46. 네이버 커머스 2024년 성과 - 브런치스토리,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runch.co.kr/@cmin4411/945

  47. NAVER 2024년 4분기 실적발표 어닝서프라이즈의 연속 매출 10조 시대 개막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johnkth/223750916255?viewType=pc

  48. [24년 4분기 실적] 모든 서비스에 AI 붙인다는 네이버, 커머스의 변화는?,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connectx/us/contents/250207174855532cs

  49. [25년 1분기 실적]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정말 잘 나가요? 왜 불안감이 스치죠?,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connectx/us/contents/250514105310454cv

  50. BGF리테일 - 기업현황 - 기업모니터,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mp.wisereport.co.kr/company/c1010001.aspx?cmp_cd=282330

  51. BGF리테일 (282330) - IBK투자증권,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m.ibks.com/iko/IKO01/download.do?seq=11413&menuCode=IKO010201&attatchCd=ATTATCH1

  52. [2025 주총] 민승배 BGF리테일 대표 “업계 1강 굳힐 것” - 인더뉴스,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inthenews.co.kr/news/article.html?no=70707

  53. 신세계, 2024년 연간 매출 11조 4974억∙∙∙ 백화점 7조2435억 역대 최대 - 동아일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50205/130975814/1

  54. 롯데쇼핑, 2024년 연매출 13조9866억·영업익 4731억 - 머니S,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20615594153016

  55. [2024 연간실적] 롯데쇼핑, 영업익 4731억·전년비 6%↓…“일회성 비용 탓”,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inthenews.co.kr/news/article.html?no=69116

  56. 롯데쇼핑 1분기 영업이익 1482억으로 29% 증가, 국내외 백화점 호조 덕분 - 비즈니스포스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4464

  57. [재무제표 분석 152] 본업 경쟁력 강화 성공? 이마트의 1분기 깜짝 실적(feat. 롯데마트, 홈플러스, 컬리),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economist/academy/contents/250514122607321bt

  58. 편의점 관련주 GS리테일, 롯데지주, 이마트 주가 총정리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quittingajobtwice/223484861082?viewType=pc

  59. 롯데쇼핑 GS리테일 CJENM 현대홈쇼핑 태광산업 주가(소매 유통 관련 주식)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jhpark0680/223345601713

  60. 2025 쿠팡 정산에 대한 모든 것 (주정산, 월정산, 빠른정산) - 윈들리,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www.windly.cc/blog/coupang-settlement-policy

  61. [2025년 최신] 쿠팡 관련주 & 테마주 25종목 총정리 - 알파스퀘어,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alphasquare.co.kr/home/theme-factor?theme-id=222

  62. 쿠팡 관련주, '전국 인구 100% 로켓배송' 본격화에 수혜주 찾기 : 네이버 블로그,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goldmap7/223570820313?viewType=pc

  63. 전자결제·택배 관련주, 온라인쇼핑액 '역대 최대'에 이어 C커머스 시장 확대!! - Naver Blog, 6월 2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goldmap7/223388391137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5년 6월 27일 주식시장 분석 - 외국인 매도세 속 숨은 기회와 위기 요인 심층 분석

  25년 6월 27일 주식시장 분석 - 외국인 매도세 속 숨은 기회와 위기 요인 심층 분석 2025년 6월 27일 주식시장 분석 목차 초록 (Abstract) I. 2025년 6월 27일 시장 종합 분석 (Market Overview: June 27...